고2 문학 창비 동동 단원

고2 문학 창비 동동 단원

작성일 2012.04.1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목 그대롭니다. 고2 문학 창비 교과서에 있는 동동이란 단원.

저희 숙제겸 수행평가에 점수받는거구요

내공100드리겠습니다.채택꼭 보장드려여. 왠만하면 월요일전까지만 해주세요.

동동 요점정리된거 글퍼와도 되시구요. 좀 파일도 괜찮구 그냥 올리셔도되구요.

최신꺼로 정리해두신것만 좀 부탁드려요. 저도 오늘 동동이란글을 읽어보고

한번 혼자 해석해보고 나름해봐야할것 같네요. 지식인분들도 혹여 도움주실수 있는분은

답변 올려두시면 바로바로 확인들어가도록 할게요.

 

동동이란 단원입니다. 못해도 그 글의 갈래성격특징주제정도는 알고있어야겠죠.

무슨시고.또 거기있는말과 한자 하나하나 다쓰셔서 해석꼭해주세요.

부탁드릴게요~


#고2 문학 교과서 #고2 문학 자습서 pdf #고2 문학 #고2 문학 자습서 #고2 문학 문제집 pdf #고2 문학 문제집 추천 #고2 문학 문제집 #고2 문학 비상 교과서 pdf #고2 문학 내신 문제집 #고2 문학 pdf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핵심 정리>

◉ 형식 : 고려 속요

◉ 형태 : 전 13연, 달거리(월령체 : 한 해 열두 달의 순서에 따라 노래한 시가의 형식)

◉ 표현 : 영탄법, 직유법, 은유법

◉ 성격 : 상징적, 비유적, 서정적, 민요적, 송축적, 월령체, 이별의 노래, 민요풍, 송도가

◉ 내용 : 계절의 변화에 따라서 남녀의 이별의 정한과 임을 그리는 한 여인의 그리움을 노래하였다.

◉ 제재 : 달마다 행하는 민속

◉ 주제 : 송축과 고독의 비애 또는 임에 대한 영원한 사랑 (각 연마다 주제가 다르다)

◉ 구성 : 달에 따라 구성으로 서사 1연과 본사 2연~13연

1연

서사

임에 대한 송축

2연

1월령

자신의 외로운 처지 (나릿물)

3연

2월령

임의 빼어난 모습 찬양 (등ㅅ불)

4연

3월령

임의 아름다운 모습 찬양 (달욋곳 = 진달래꽃)

5연

4월령

자신을 찾지 않는 임에 대한 원망 (곶고리)

6연

5월령

임의 장수에 대한 송축 (단오 : 아침약)

7연

6월령

임에게 버림받은 처지 비관 (유두절 : 빗)

8연

7월령

임을 따르고자 하는 염원 (백종)

9연

8월령

임 없는 한가위의 쓸쓸함 (한가위)

10연

9월령

임의 부재로 인한 고독 (중양절 : 황화)

11연

10월령

버림받은 신세에 대한 체념과 애상 표현 ( = 보리수나무)

12연

11월령

임 없이 살아가는 슬픔 - 독수공방의 외로움 (한삼)

13연

12월령

기구한 자신의 운명을 한탄 (져 = 나무젓가락)

 

각 연의 주제 / 풍속 / 제재의 관계

주 제

풍 속

제 재

주 제

풍 속

제 재

서사

송도

德,福

7월

연모

백중

百種

1월

고독

나릿믈

8월

연모

한가위

嘉排

2월

송축

연등

燈ㅅ블

9월

적막

중양절

黃花

3월

송축

욋곶

10월

애련



4월

애련

곳고리

11월

비련

汗衫

5월

기원

단오

아藥

12월

애련

6월

애련

유두

 

◉ 비유 : 시적 화자를 비유한 표현으로 6월령의 별해 버린 빗과 10월령의 져미연 은 임에게 버림받은 화자의 신세를 형상화한 것이고, 12월령의 반 져는 임이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선택받은 자신의 신세를 형상화함.

◉ 의의 : 고려 가요 중에서 유일한 우리 문학 최초의 달거리 노래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월령체이다.

◉ 특징 : 영탄법, 직유법, 은유법을 사용하고, 여음구 ‘동동’은 북소리의 의성어이고, ‘다리’는 악기 소리의 의성어를 나타 내고, 세시 풍속에 따라 사랑의 감정을 읊고, 임에 대한 송축과 연모의 정이 어우러짐

◉ 참고 : 고려와 조선을 통하여 궁중에서 연주되었고, 나례(궁중에서 악귀를 쫓기 위해 베풀던 의식) 뒤에도 처용지희 속 에 동동무가 있었으나, 중종 때에 와서 남녀상열지사라 하여 정읍사와 함께 폐지되었다.

 

▣ 본문 학습 ▣

 

[덕(德)으란 곰배예 받잡고, 복(福)으란 림배예 받잡고,

덕이여 복이라호날 나자아 오소이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임에 대한 송축

덕은 뒤에 바치옵고, 복은 앞에 바치오니

덕과 복이라 하는 것을 드리러 오십시오.

 

正月ㅅ나릿므른 아으 어져 녹져 하논되.

누릿 가온대 나곤 몸하 하올로 녈셔.

아으 동동(動動)다리. ▲ 자신의 외로운 처지 (나릿물)

정월의 냇물은 아!, 얼었다가 녹으려 하는데

세상에 태어난 이 몸은 홀로 살아가는구나.


二月ㅅ보로매, 아으 노피 현 등(燈)ㅅ블 다호라.

만인(萬人) 비취실 즈지샷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임의 빼어난 모습 찬양 (등ㅅ불)

2월 보름(연등일)에 아!, 높이 켠 등불같구나.

온 백성(만인)을 비추실 모습이로구나.

 

三月 나며 개(開)한 아으 만춘(晩春) 달욋고지여.

나믜 브롤 즈을 디녀 나샷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임의 아름다운 모습 찬양 (달욋곳 = 진달래꽃)

3월 지나면서 핀 아아 늦봄의 진달래꽃이여

남이 부러워할 모습을 지니셨구나.


四月 아니 니저 아으 오실셔 곳고리새여.

므슴다 녹사(綠事)니만 녯나랄 닛고신뎌.

아으 동동(動動)다리. ▲ 자신을 찾지 않는 임에 대한 원망 (곶고리)

4월을 아니 잊고 아! 오셨구나, 꾀꼬리새여!

어찌하여 녹사(錄事)님은 옛날의 나를 잊으셨는가?


五月 五日애, 아으 수릿날 아참 약(藥)은

즈믄 해 장존(長存)하샬 약(藥)이라 받잡노이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임의 장수에 대한 송축(頌祝) (단오:아침약)

5월 5일(단오)에 아! 단오날 아침에 먹는 약은

천 년을 오래 사실 약이므로 바치옵나이다.

 

六月ㅅ보로매 아으 별해 바룐 빗 다호라.

도라보실 니믈 젹곰 좃니노이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임에게 버림받은 처지 비관 (유두절 : 빗)

6월 보름(유두)에 아! 벼랑에 버려진 빗 같구나.

돌아보실 임을 잠시나마 따르겠나이다.


七月ㅅ보로매 아으 백종(百種) 배(排)하야 두고,

니믈 한 데 녀가져 원(願)을 비잡노이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임을 따르고자 하는 염원 (백종)

7월 보름(백종)에 아! 온갖 종류의 음식을 차려두고

임과 함께 살아가고자 하는 소원을 비옵나이다.

 

八月ㅅ보로매 아으 가배(嘉俳) 나리마난

니믈 뫼셔 녀곤 오날낤 가배(嘉俳)샷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임없는 한가위의 쓸쓸함 (한가위)

8월 보름(가배)은 아! 가배날이지마는

님을 모시고 지내야만 오늘이 뜻있는 한가위이도다.


九月 九日애 아으 藥이라 먹논 황화(黃花)

고지 안해 드니 새셔 가만하얘라.

아으 동동(動動)다리. ▲ 임의 부재로 인한 고독 (중양절 : 황화)

9월 9일(중양절)에 아! 약으로 먹는 국화

꽃이 집안에 드니 초가집 안이 고요하구나.

 

十月애 아으 져미연 바랏 다호라.

것거 바리신 後에 디니실 한 부니 업스샷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버림받은 신세에 대한 체념과 애상 표현 ( = 보리수나무)

10월에 아! 베어 버린 보리수 나무 같구나.

꺾어 버리신 후에 지니실 한 분이 없으시도다.


十一月ㅅ봉당 자리예 아으 한삼(汗衫) 두퍼 누워

슬할사라온뎌 고우닐 스싀옴 녈셔.

아으 동동(動動)다리. ▲ 임없이 살아가는 슬픔 - 독수공방의 외로움 (한삼)

11월 봉당 자리에, 아! 한삼을 덮고 누워

슬프구나, 고운 님을 (두고) 스스로 살아가는구나.

 

十二月ㅅ분디남가로 갓곤 아으 나잘 반(盤)에 져 다호라.

니믜 알페 드러 얼이노니 소니 가재다 므라잡노이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기구한 자신의 운명을 한탄 (져 = 나무젓가락)

12월 분지나무로 깎은 아! (임께) 차려드릴 소반 위의 젓가락 같구나.

임의 앞에 들어 놓았더니, 손님이 가져다가 입에 물었나이다

 

☺ 감상의 길잡이 ☺

작자·연대 미상의 고려속요의 하나. 고려 시대에 구전되어 내려오다가 조선 시대에 문자로 정착된 듯하다. 가사는 한글로 <악학궤범>에, 작품 해설은 <고려사> 악지(樂志) 속악조(俗樂條)에 각각 실려 있다. 내용에 남녀간의 애정을 그린 것이 많다 하여 고려시대의 속요(俗謠)로 보는 견해가 다수이다. 노래 형식은 전편 13장으로 된 연장체로, 첫머리의 서장(序章)을 제외하고는 달거리(月令體)로 되어 있다. 고려시대부터 이 노래는 아박(牙拍: 고려시대 궁중무용의 하나)의 반주가로 불리었다. 민요의 달거리는 달마다 세시풍속(歲時風俗)을 노래의 발판으로 삼고 있는데 보통 1월은 답교(踏橋), 2월은 연등(燃燈), 5월은 단오(端午)를 노래 배경으로 삼고 있다. 이 점은 <동동>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동동>은 세시 풍속이 달마다 설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떤 달은 확실히 드러나 있고 어떤 달은 무엇을 노래하는지 불확실한 것도 있다. 이 작품에서 2월은 연등, 5월은 단오, 6월은 유두(流頭), 7월은 백중(伯仲), 8월은 추석, 9월은 중양(重陽)을 각각 배경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1월은 답교, 3월은 산화(散花), 12월은 나례(儺禮)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추측할 뿐이다. <동동>은 본디 정초에 그 해 매달의 운수를 점쳐 보는 달불이(月滋: 콩에 일년의 각 달을 표시하고 수수깡 속에 넣어 우물 속에 집어넣은 뒤 대보름날 새벽에 건져 그 불은 정도로 그 해 매 달의 운수를 점치는 민속)처럼 월운제의(月運祭儀)였을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즉, 고려 때 해마다의 국가 행사였던 팔관회(八關會)에서 월운제의를 하며 <동동>을 불렀을 것이라는 것이다. 이 월운제의의 목적이 풍요의 기원에 있었으므로, 한편은 신에게 기도하는 송도(頌禱)·송축(頌祝)의 내용이 주가 되었을 것이다. <고려사>에 “동동에는 송도의 말이 많다.”(권 71), “선풍(仙風)은 용천(龍天)을 기쁘게 하고 민물(民物)을 안녕하게 한다.”(권 81)라고 한 두 기록은 이러한 의미로 풀이될 수 있다.

고2 문학 창비 동동 단원

... 고2 문학 창비 교과서에 있는 동동이란 단원. 저희 숙제겸 수행평가에 점수받는거구요 내공100드리겠습니다.채택꼭 보장드려여. 왠만하면 월요일전까지만 해주세요. 동동...

고2 창비 문학 자습서

... 창비 문학 자습서의 고2 교재는 대단원 1,2로만 구성되어 있어요. 표지에 단원 표기가 없는 건 조금 아쉬운 부분이지만, 정말 잘 선택하신 거에요! 공부할 내용이 많고...

문학 문제집 추천

고2 문학 창비 최원식 쓰고 있는데 시험대비 문제집 추천 해주세요 평가문제집은... 단기간 효과적으로 시험 대비를 할 수 있게 단원 학습 내용 중 꼭 필요한 내용만 깔끔하게...

예비 고1 국어관련 질문

... 그이후로는 고1수준으로 나온다고 하며, 고2부터는 범위가 없 습니다. 화법, 작문, 문법, 독서, 문학을 보며... 교과서는 창비, 천재, 비상, 미래엔, 금성, 신사고, 지학사 등...

고1 국어 상,하 복습에 관해서.. (내공 10)

... 중요한 단원을 좀 물어보려고 합니다... 제가 듣기로는... 이제 고2가 되니까 효율적인 공부를 위해서는 18종 문학... 가시리, 동동 등과 비교해서 공부) (4) 1920년대 시의 경향...

소설 추천 부탁드립니다.

... 황석영 창비(창작과비평사) 2007.07.11 . 중국대륙과... 세계 유수의 대학들에서 셰익스피어를 연구한 영문학자... 이곳을 중세의 템플 기사단원 복장을 한 괴한 네 명이...

2008년 수능보는데요..휴.~

... 저에게 희망을 주세요~ 제가 고2때 겨울방학은... '속미인곡,사미인곡,동동 등 '이런 대표적인 문학들은... 언어문학작품 2지문 , 외국어 독해 2개, 수리 1단원 개념정리...

공사,공단 시험문제

... 성균관대 사회과학계열 오수재 선배의 충고2. 독해방법.... 연세대학교 인문학과 박소영 국窩?충고3. 많은 문제를... 50%가 이 단원에서 출제 윤리는 사상편에 특히 집중을...

화작 내신대비 문제집 추천해주세요

... 교과서(창비)로만 합니다 수능대비말고, 내신대비로... seriesGrpId=PKG_0078 [국어 내신 공부법] 국어 내신은 매 단원... 1.문학,문법은 개념 잡아야 됩니다. 개념과 함께 문제푸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