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 사상에서 법가 사상을 비판해주세요 (역사)

유가 사상에서 법가 사상을 비판해주세요 (역사)

작성일 2021.04.17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유가 사상의 입장에서 법가 사상을 비판해야하는데 도무지 어떤식으로 해야할지 잘 모르겠네요ㅠㅠ 내공 100 드릴게요 ㅠㅠ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유가와 법가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공통점이라면 둘다 정치에 관심이 많은 사상이라는 것입니다. 애초에 정치와 연관이 되어 있었기 때문에 전근대 중국 고대 국가에서 답변확정이 되었던 것이구요. 따라서 국가를 통치하고 관리하는 데에 대한 구상이라는 점에서는 상통하는 지점이 있습니다.

다만 둘의 차이는 공통점만큼이나 명백하게 갈립니다. 유가는 덕치, 즉 도덕성에 의한 국가의 통치를 사회 질서의 기반으로 보는 반면, 법가는 덕보다 법(法)을 강조하는 사상입니다. 따라서 정치와 도덕을 엄밀하게 분리하여 보는 거죠. 이에 따라 법가는 다소간 가혹한 면이 없지 않아 있습니다. 백성은 덕으로 교화시키는 대상이 아니라, 그저 잘못을 하면 벌을 받고, 황제의 말을 법에 따라서만 잘 듣게 하는 존재로 보이는 것이니까요. 대표적으로 법가를 답변확정한 최초의 통일왕조인 진나라가 그 사례입니다. 진나라는 법가 국가였던 탓에, 형벌이 매우 엄했던 것으로 유명합니다. 따라서 백성들은 조그마한 잘못을 저질러도 빠짐없이 벌을 받는다는 사실에 두려움에 떨어야 했으니까요.

따라서 이러한 법가를 유가의 입장에서 비판하자면, 법가가 '도덕'의 중요성이 무시되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입니다. 유가에서는 이러한 통치법도 물론 중요하겠지만, 무엇보다도 정치인의 도덕성을 가장 중시합니다. 이는 고대 중국의 천명사상과 연결이 되는데요. 덕이 있는 사람에게만 하늘이 천명을 내려준다는 사상입니다. 즉 현명하고 어질며 백성의 고통을 헤아릴 줄 아는 사람만이 훌륭한 임금이 될 자격이 있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파생되는 위민정신, 즉 백성을 위하는 마음은 유가의 큰 특징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애민사상, 위민정신이 법가에는 결여되어있기 때문에 유가는 도덕성을 기반으로 법가를 비판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래서 진나라 이후에 들어선 한나라는 무제 시기 동중서에 의해 유가를 국가 통치이념으로 삼게 된 것입니다.

궁금증 해소에 보탬이 되었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답변확정 부탁드립니다!

역사 알려주세요

역사 알려주세요 106. 3번 ㄴ. 진시황 ㄹ. 진의 멸망원인 ㄱ. 전한의 멸망 ㄷ. 후한의... 5번 법가 사상은 진시황. 한 무제는 유가를 중시 111. 3번 (가) 봉건제, (나) 군국제...

유가, 도가 , 묵가 , 법가 사상 제발..ㅠㅠ

유가, 도가 , 묵가 , 법가 사상에 대한 비판 짧게(3~5줄정도) 가르쳐주세요 그리고 이 사상들은 당시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나요?? 간단히 이해를 하고 넘어가죠. 주의 사회는...

유가사상,법가사상,도가사상에 대해서요!

... 유가,도가, 법가 중에서 한가지를 골라 핵심내용을 써주세용.. 그리구 그 사상을 선택한 이유를 길게 써주세요.... 사회 역사가 끊임없이 변화 하며 그 변화에 따라 법률이나...

법가사상...도와주세요!!

... 법가사상이 진나라 멸망뒤에 유가사상가들에게 재해석 되었다고 했는데 어떤식으로... 역사를 공부하는 이유가 더 나은 미래를 만드는 것이므로 이 당시에도 과거 진시황을...

유가하고 묵가사상 자세하게 알려주세요

유가하고 묵가사상 자세하게 알려주세요 그리고 둘이... 그 사상유가 도가 묵가 법가 사상으로 대분되며 이는... 학문 유가사상을 비판하고자연의 섭리를 주장하며...

유가사상의핵심내용좀알려주세요ㅜㅜㅜ

... 유가사상이당시사회에미친영향을 좀알려주세요ㅠㅠㅠ... 시황제는 '법가 사상'을 기초로 유가 사상을 무자비하게... 양명학은 성리학의 성즉리설을 비판하며 심즉리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