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1사회 요점정리좀 해주세요 디딤돌이요

중1사회 요점정리좀 해주세요 디딤돌이요

작성일 2006.07.01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중1사회 기말대비해서 요점정리좀 해주세요

기말이3일남았어요 빨리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출판사는 디딤돌이고 남부지방부터 일본까지에요

글구 중1음악도요 음악은 두산동아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남부 지방의 생활

 

학습목표

 

1해양 진출의요지

·남부 지방의 위치가 해양 진출에 유리함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남부 지방의 지형적 특색과 그에 따른 주민 생활의 모습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남부 지방의 해안선 특징을 알아야 한다

·개발에서 발생하는 이득과 문제점을 하구둑과 관련지어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2농업과 공업이 함께 발달하는 호남 지방

·호남 지방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농업 발전에 유리한 조건을 열거할 수 있어야 한다

·호남 지방의 공업 발달 과정과 주요 공업지대를 알아야 한다

·호남 지방의 수산업 현황을 파악하고 공업 발달과 연관지어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해양 오염의 실태를 알고, 이에 대한 대책과 청정 수역으로 지정된 곳을 파악해야 한다

 

3임해 공업이 발달한 영남 지방

·영남 지방의 농업 특색을 이해하고, 호남 지방과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영남 지방의 대도시 근교에서 이루어지는 농업의 형태를 알 수 있다

·남동 임해 공업지역이 우리나라 최대의 중화학 공업 지역으로 발달하게 된 배경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영남 지방에 수산 양식업이 발달하게 된 입지조건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4관광 산업이 발달한 제주도

·제주도의 지형, 기후, 식생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제주도의 자연 환경과 주민 생활가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제주도의 농목업과 수산업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제주도의 관광 자원의 특징을 파악하고, 관광 산업이 주민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그루갈이

·한 경지에서 농작물을 수확한 후 다른 농작물을 계속하여 경작하는 농경 형태

그러니까 그루갈이는 그위치에 농작물 을 수확하구요 또 나중에 늦가을쯤에 그위치에 다른 밀,보리나 채소류 같은거를 재배 하는걸 말해요

가두리양식

·수심이 깊고 면적이 넓은 수면에 그물 또는 특수한 시설을 만들고 그속에 물고기를 가두어 양식하는 방식

                                                                        

                                                                       북부지방

풍부한 동력·지하 자원

 ① 동력 자원

 ㉠ 수력 : 압록강의 수풍댐, 운봉, 강계 등지

 ㉡ 화력 : 평남 남부·북부 탄전의 무연탄 이용

 ㉢ 원자력 : 영변(군사용 목적으로 건설)

 ㉣ 전력 생산 : 수요에 비해 전력 생산이 매우 부족한 실정

 ② 지하 자원

 ㉠ 철광석 : 황해도의 은율, 재령에서 생산→송림 제철소에서 제철

 ㉡ 금 : 대유동, 운산에서 산출→매장량 감소로 현재는 생산량이 매우 적음

 ㉢ 텅스텐(백년), 흑연, 석회석 등 매장량 풍부

 (2) 공업 지역과 주요 도시

 ① 입지 조건 : 편리한 교통, 풍부한 동력·지하 자원 등

 ② 공업 특색 : 군수 공업 위주의 정책으로 경공업 부진

 ③ 주요 공업 지구

 ㉠ 평양 공업 지구 : 평양, 남포, 사리원으로 북한 최대 공업 지역→제철, 화학, 섬유, 식 료품

 ㉡ 강계 공업 지구 : 강계, 만포, 희천(내륙에 위치)→기계, 병기 등 군수 공업 집중

 ㉢ 신의주 공업 지구 : 신의주→기계, 제지, 섬유 공업

 ㉣ 청천강 공업 지구 : 안주, 박천→화학 공업

 ㉤ 해주 공업 지구 : 해주제련→시멘트, 비료 공업

 ④ 주요 도시

 ㉠ 남포 : 평양의 외항, 육상·수륙 교통의 요지, 북한 제2의 도시

 ㉡ 개성 : 고려의 도읍지(유적 분포), 고려 인삼, 개성상인, 서울에서 가장 가까운 북한 도시

 ㉢ 신의주 : 압록강 하구의 국경 도시, 교통의 요지

 
 이정도로 하겟습니다 불펌금지 불펌금지 답변답변확정해주삼 시험 잘보세요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Ⅲ. 남부 지방의 생활

 

1. 해양 진출의 요지

(1) 남부지방의 위치

- 남부지방의 범위

지역범위 : 금강 하류와 소백 산맥의 남쪽지방

지역구분 : 호남지방 + 영남지방 + 제주도

- 남부지방의 위치적특성

3면(동,남,황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으며 태평양과 인접, 대륙과 해양문화의 연결 통로

-임해산지단지의 발달

입지조건 : 편리한 육상 교통, 무역항 발달(원료의수입과 제품의수출에 유리함)

공업지역 : 남동임해공업지역, 대부리구(목포), 군장지구(군산,장항)

전망 : 21세기 태평양 시대를 맞이하여 해양 진출의 요지로 기대됨

 

(2)남부지방의 지형

-주요산지

소백산맥 : 영남지방과 호남지방의 경계 - 죽령,조령,추풍령,육십령,팔량치 등 주요고개가 교통로로 이용

노령산맥 : 전라 남,북도의 경계

진안고원 : 소백산맥과 노령산맥 사이의 고원지대로 여름철에 서늘한 기후 - 고랭지농업,목축업, 관광,휴양지(무주)

-하천과평야 _ 하천의 대부분은 황,남해로 유입(동고서저지형)

하천의 중,상류에 분지 발달 : 섬진강-구례,남원  낙동강-대구,안동

하천 하류에 평야 발달 : 만경강,동진강-호남평야  영산강-나주평야 섬진강-평야발달미약  낙동강-김해평야(삼각주 형성)

하구둑건설 : 금강,영산강, 낙동강 하구에 바닷물의 역류 방지를 위해 건설한 둑

      효과 : 염해방지, 용수공급, 교통로로 이용 등

      문제점 : 하굿둥의 건설로 하천의 오염, 하천 생태계 변화 , 해양오염

-해안지형

황해안 : 조석간만의 차가크고, 간석지발달, 리아스식해안 - 양식업과 간척사업에 유리조건

남해안 : 섬이 많은 다도해, 다도해 해상 국립 공원, 한려 해상 국립 공원

동해안 : 수심이 깊고 단조로운 해안선, 조석 간만의 차가 작음 - 모래사장, 해수욕장발달

 

(3)따뜻한 기후

-기온

따뜻한겨울 : 난류가 흐르고, 차가운 북서풍을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이 막아줌

기온의 연교차 : 남해안, 제주도, 울릉도 등지 - 연교차가 작은 해양성기후

         낙동강 중, 상류 - 지형적인 원인으로 연교차가 크게 나타남 대륙성기후

-강수량 _ 중,북부 지방에 비해 강수량은 많은편, 지형과바람의 영향으로 지역적차이발생

다우지 : 제주도, 남해안, 섬진강 유역 - 지형과 풍향의 영향

소우지 : 낙동강 중,상류 지역 - 바다의 영향이 작고 분지(안동,대구) 지형

다설지 : 울릉도,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의 북서 사면

-남부지방의 기후와 주민 생활

따뜻한 겨울기온이용 : 그루갈이, 난대성 작물 재배(남해안, 제주도)

무더운 여름 : 김치가 맵고 짜며, 개방적인 가옥구조

눈이 많은 울릉도 : 우데기라는 방설벽 설치(작업 공간 마련)

 

2. 농업과 공업이 함께 발달하는 호남 지방

(1) 우리나라 최대의 곡창 지대

- 농업

농업발달조건 : 넓은 평야, 높은 기온과 여름철에 풍부한 강수량, 관개시설의 발달 - 일찍부터 벼농사 발달

우리나라 최대의 곡창지대 : 호남평야, 나주평야

농업의특색 

평야가 발달하여 경지 면적이 전국에서 가장 넓음, 간척 사업과 수리시설확층 - 논의 비율이 전국 최고

농가 1호당 경지면적이 좁음 : 집약적, 영세적 토지 이용

우리나라의 곡창 지대 : 전국 최대의 쌀과 쌀보리 생산 지역

- 주요 농산물

논의 그루갈이 : 쌀보리(전국최대생산) - 최근 재배면적 감소, 상품 작물인 맥주보리 생산

상품작물 시설재배로 이용한 오이, 토마토, 딸기, 고추 생산

특산물 배(나주), 인삼,버섯(진안고원), 차(보성), 한우(남원)

 

- 농업 발전을 위한 노력

문제점 낮은 생산성 : 농업은 공업보다 생산성이 낮음

    이촌향도로 인한 인구 감소 - 노동력 부족과 인구 고령화

농가 1호당 경지 면적이 좁으며, 영세적 농업

대책 및 농업 발전을 위한 노력

 댐과 관개용 수로 건설, 금강과 영산강 하구에 하굿둑을 건설

 계화도 간척지, 새만금지구 등 간척사업으로 농경지 조성

 노동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농업의 기계화를 적극 추진함

 비닐 하우스 등의 시설재배로 상품 작물 및 특용 작물 재배 - 경제적 수익이 높은 작물을 재배하여 수입 농산물과 경쟁

 

(2) 발달하는 공업과 도시

- 전통 공업

대부분 원료산지에 가내 수공업 형태로 발달 - 원료 지향 공업

주요제품 : 전주,한지부채 담양,죽세공품 남원,운봉(목기)

- 근대공업

공업의 특징 : 지하,동령자원 부족으로 공업의 발달 늦음

임해산업단지조성

배경:국토의균형잇는발전, 중국과의 교역증대, 황해안 시대 대비

지역 : 군산, 대불지구, 여수, 광양

전방 : 서해안고속도로 개통

- 교통과도시

철도 : 전라선,경전선,호남선     익산과 순천은 교통의 요지

 

(3)수산업의 발달

- 수산업 발달에 유리한 조건

발달 조건 : 복잡한해안선, 알맞은 수온, 얕은 수심, 풍부한 플랑크톤

특징 : 양식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음, 대부분 겸업

- 수산업 발달을 위한 노력

청정수역확대, 어업, 장비의 현대화, 간척사업의 제한 등

 

3. 임해공업이 발달한 영남 지방

(1)영남지방의 농업

-농업의 특징

호남지방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주요 곡창지대

농가 1호당 경지 면적 좁음, - 집약정 농업

다양한 형태의 농업 발달 - 기후 조건유리, 대도시발달, 교통 편리

- 주요 농작물

식량작물 : 쌀- 김해평야및 낙동강 유역의 평야지대

겉보리벼의 그루갈이 작물 점차 재배 면적 축소

원예작물 : 채소, 화훼, 낙동강 하류의 김해 삼각주 평야 - 전국 최대의 시설재배 지역

과일작물 : 사과, 포도, 복숭아 - 낙동강 중, 상류 이겨

목축업 : 대도시 근교에서 낙농업 발달

기타 특산물 : 인삼, 고추, 단감, 한우, 양잠

 

(2)수산업의 발달

-특색

좋은항구발달, 조경 수역이 형성되어 어족이 풍부함

우리나라 연근해 어업 생산량의 60%를 차지함, 원양 어업의 전진기지

- 주요어장구분

동해안과 남해안

- 수산양식업

남해안 통영~거제도 : 대표적인 수산 양식업 지역

유리한조건 : 잔잔한 바다,. 적당한 수온, 얕은 수심

굴 양식 : 통영 일대가 우리나라 최대의 생산지, 조개류, 해조류 양식, 물고기 가두리양식

- 청정 수역

남해도~한산도

유조서의 통행제한, 공장 설립 금지.

 

(3)영남지방의 공업발달

- 남동임해공업지역 _ 우리나라 최대의 중화학공업지역

입지조건 : 원료수입과 제품수출에 편리한 항구발달

- 주요공업도시

부산, 울산, 마산, 포항, 창원, 거제, 온산, 통영

-영남내륙공업지역

특징 : 오랜전통, 풍부한 노동력 - 경공업발달, 우리나라 섬유공업의 중심지

주요공업도시 : 대구, 구미

- 교통

철도교통 : 경부고속철도개통

도로교통 : 경부.남해.구마.88올림픽.중앙고속국도등

해상및 항공 교통 : 부산을 중심으로 해상 및 항공 교통 발달

 

4. 관광산업이 발달한 제주도

(1) 독특한 자연 환경

화산섬 : 여러 차례의 화산 활동으로 이루어짐

해안지형 : 단조로운 해안선, 절벽,목포,모래 사장이 발달

지표면이 다공질의 현무암으로 덮여 잇어 물이 스며들음

용천 : 물을 얻을 수 있는 해안의 샘을 따라 취락 발달

 

(2)해양성기후

-기온 : 연평균기온이 높음

겨울에 영하로 내려가는 일이 거의 없음.

난류가 흐름

강수량 : 다우지, 한라산 고지대는 폭설이 내림

강한바람 :  여름-태풍의영향, 겨울-북서계절풍

-기후와식생

난대성 식물, 감귤나무, 차나무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기온이 낮아져 식생의 분포가 달라짐

-기후의영향

개방적 가옥구조, 벽쪽에 붙어 잇어 온돌의 기능을 하지 않는 아궁이

줄로 묶은 낮은 지붕, 높은 돌담, 경작지 주변의 방풍림 - 강한바람 대비

 

(3)농,목업과 수산업

-밭농사 중심의 농업

서귀포일대 : 감귤생산지

파인애플, 알로에 등 열대 농작물 - 농산물 수입 개방으로 타격

목축업 : 해발 200~600m의 초지대 - 한우와 젖소 및 돼지를 기업적 형태로 사육

수산업 : 수심이 깊지 않고 연중 난류가 흐름 - 갈치 도미(난류성어류)와 해녀들의 활동

 

(4)세계적인 관광지

-관광자원 : 독특한 화산지형, 고유한 문화의 전통, 이국정 정취

- 관광산업의 육성

3차산업의 발달로 청장년 인구 증가

-관광 산업 발전의 장,단점 및 대책

장점 : 상업과 서비스업 발달, 주민들의 소득 증대

단점 : 무분별한 개발로 전통 문화 및 자연 환경 훼손

대책 : 관광 자원의 보전을 전제로 하는 관광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

 

 

 

 

 

 

 

 

북부지방, 동부아시아는 해드리지 못해서 죄송합니다^^!
하지만 남부지방은 정말 세심하게 해드렷어요

시험 잘보세요^^

 

제가 손수 치느라 죽는줄 알앗습니다...  (아휴)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중학교1학년사회요점정리

<script> showTotalCount('recommend.swf', 'totalCount_10_488622', 108, 50, 77); </script> <object id=totalCount_10_488622 codeBase=http://fpdownload.macromedia.com/pub/shockwave/cabs/flash/swflash.cab#version=9,0,0,0 height=50 width=108 align=middle classid=clsid:d27cdb6e-ae6d-11cf-96b8-444553540000> <object src="recommend.swf" wmode="transparent" flashvars=totalCount=77 quality="high" width="108" height="50" name="totalCount_10_488622" id="totalCount_10_488622" align="middle" allowScriptAccess="always"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pluginspage="http://www.macromedia.com/go/getflashplayer" /></object>

조회 12,194

지역 사회의 조사

1. 지역 사회의 이해

(1) 지역 사회 조사의 필요성 : 지역 사회의 특징이나 지역 사회와 우리 생활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2) 지역 사회의 조사 순서 : 조사 계획 세우기 → 실내 조사 → 현지 조사 → 보고서 작성

2. 실내 조사와 현지 조사

(1) 조사 계획의 수립 : 조사 목표를 분명히 하고, 조사 내용과 조사 지역의 범위, 조사 방법 등을 결정한다.
(2) 실내 조사
문헌, 통계, 지도, 사진 등을 통하여 조사 대상 지역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조사가 끝나면 조사 내용을 정리하고, 현지 조사를 위한 조사 경로도를 만들거나, 조사 방법을 구상한다.
(3) 현지 조사
조사 방법 : 직접 관찰, 관계자들과의 면담, 설문지 조사, 지역 주민들의 이야기듣기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적절히 활용한다.
자료 정리 : 수집된 자료를 정리하고, 필요할 경우 실내 조사를 통해 자료를 다시 검토하거나 재조사하여 내용을 보충한다.
(4) 보고서 작성 : 실내 조사와 현지 조사 내용을 종합, 분석하여 보고서를 작성하고, 지역 사회의 특색을 밝히도록 한다.



지도읽기

1. 지도의 이용

(1) 지도 : 지표면의 여러 가지 현상을 축척, 방위, 기호 등을 사용하여 평면상에 나타낸 것이다.
(2) 지도읽기 : 지도의 원리를 알고 정확히 해석해야 지표면의 내용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지도를 ‘읽는다’라고 하는 표현이 적합하다.
(3) 지도의 종류
쓰임이나 내용에 따라
일반도 : 지표면의 하천과 평야, 산지, 도로 등 일반적인 사항을 기호로 나타낸 지도이다.
(예) 지형도, 우리 나라 전도, 세계 전도 등
주제도 :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산업, 인구, 기후, 교통 등 특정한 주제를 선정하여 나타낸 지도이다.
(예) 기후도, 산업 분포도, 인구 분포도, 토지 이용도 등
축척에 따라
대축척 지도 : 좁은 지역을 비교적 크고 자세하게 나타낸 지도이다.
소축척 지도 : 넓은 지역을 비교적 간략하게 나타낸 지도이다.
지역 사회 조사에 이용하는 지도 : 비교적 자세한 대축척 지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2. 축척과 방위

(1) 축척 : 지표상의 실제 거리를 지도상에 줄여서 나타낸 비율이다.
표시 방법 : 비율, 분수, 막대자 등의 방법으로 나타낸다.
축척과 거리 계산 : 축척을 알면 지도에서 두 지점 간의 거리를 재어 실제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예) 5만 분의 1 지도에서 지도상의 거리가 10㎝일 때 실제 거리는 10㎝ × 50,000 = 500,000㎝= 5㎞ 이다.
(2) 방위
지도에서 방향은 방위 표시를 통해 알 수 있다.
방위 표시가 없을 경우 : 지도의 위쪽이 북쪽이고, 아래쪽이 남쪽이다.
야외 조사 때 방위 찾기 : 나침반을 이용하여 남북을 찾은 다음, 지도를 이에 맞춰 놓으면 된다.

3. 기호와 등고선

(1) 기호 : 지도에서는 지표면의 여러 가지 현상을 약속된 기호로 나타내고 있다.
지도에 사용되는 기호의 보기(1:50,000 지형도를 중심으로)
(2) 등고선 : 평균 해수면을 기준으로 높이가 같은 지점을 연결한 선이다.
땅의 모습과 높낮이를 나타낼 때는 주로 색깔이나 등고선을 사용하여 나타낸다.
땅의 높낮이 표현
소축척 지도 : 색깔이나 명암으로 표현한다.
대축척 지도 : 등고선으로 표현한다.
등고선식 : 지형이나 어떤 지점의 높이를 비교적 자세히 알 수 있는 방식으로, 대축척 지도에 주로 사용된다.
등고선의 종류와 간격

등고선의 형태와 지형 모습 : 등고선의 간격이 좁으면 급경사이고, 넓으면 완경사이다. 또한 등고선의 굽이가 낮은 쪽으로 내민 것은 능선에 해당하고, 높은 쪽으로 들어간 것은 골짜기(계곡)에 해당된다.
등고선은 좁은 지역을 자세히 나타내는 지도에서 땅의 높고 낮음을 표현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 이천 중학교에서 볼 때에 시청은 서쪽에 있다.
· 이천 중학교에서 시청까지 지도에서의 직선 거리는 3㎝이고 지도의 축척은 1 : 50,000 이므로, 실제의 거리는 1.5㎞이다.
· 이 고장에서는 설봉산이 제일 높으며, 높이가 394m 정도이다.
· 하천 주위의 평지에서는 논농사를 많이 한다.
· A - B선을 따라 단면도를 그리면 위의 그림과 같다.



자연 환경

1. 자연 환경과 주민 생활

(1) 자연 환경 : 주민들의 생활에 영향을 끼치는 위치, 지형, 기후, 식생, 토양 등을 말한다.
(2) 자연 환경의 영향 : 지형 및 기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농·목업, 임업, 수산업 등이 중심이 되는 촌락 지역에 많은 영향을 준다.
(3) 자연 환경 조사 : 지역 사회의 주민 생활을 이해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된다.

2. 지형과 기후

(1) 지형 조사
실내 조사 : 5만 분의 1 지도와 같은 대축척 지도에서 등고선의 형태와 하천의 모양 등을 살펴보면, 조사 지역의 지형적 특색을 어느 정도 알 수 있다.
현지 조사 : 지형도를 통해 산지, 하천, 평야 등의 특색을 조사한 다음, 현지에 가서 실제로 관찰하고 그 결과를 기록해 둔다.
(2) 기후 조사
조사 방법 : 기상대나 관측소에 가서 조사 지역의 기온, 강수량, 무상 일수, 풍향, 풍속 등의 자료를 구하거나, 시청이나 군청에서 펴내는 통계 연보 등의 자료를 이용한다.
기후 그래프 작성 : 월별 평균 기온은 꺾은선 그래프로, 월별 강수량은 막대 그래프로 나타낸다.
(3) 조사 지역의 자연적 특색 파악 : 조사한 지형과 기후 자료를 분석하여 종합한다.



이천시의 기후 그래프

기후 그래프에서 꺾은선은 월별 평균 기온을 나타내고, 막대 그래프는 월별 강수량을 나타낸다. 이천시의 기후 그래프를 보면, 가장 추운 달인 1월의 평균 기온은 약 -4.5℃이고, 가장 더운 달인 8월의 평균 기온은 약 24.7℃이다. 기온의 연교차는 29.2℃(24.7℃-(-4.5℃)=29.2℃)로, 내륙에 위치하여 같은 위도의 해안 지역보다 여름과 겨울의 기온차가 큰 편이다. 강수량은 여름철에 집중되어 있고, 강수량이 가장 많은 달은 7월이다.



인문 환경

1. 인문 환경과 주민 생활

(1) 인문 환경 : 지역 사회의 인구, 교통, 교육, 문화, 산업 시설 등을 말한다.
(2) 인문 환경과 주민 생활
자연 환경이 비슷한 촌락이라도 곳에 따라 주민들의 생활이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예) 같은 평야 지역이라도 소비 시장, 교통 등 인문 환경의 영향을 받아 벼농사를 주로 하는 곳이 있고, 채소 재배 등 밭농사를 주로 하는 곳이 있다.
도시 지역의 주민 생활 : 자연 환경보다 교통, 산업, 인구, 정책 등 인문 환경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2. 인구와 인구 구성

(1) 인구 상황
어떤 지역이나 국가의 특징을 파악하고, 업무를 추진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정부 기관이나 시청, 군청, 구청 등에서 나오는 통계 자료를 통해서 알 수 있다.
(2) 우리 나라의 인구 조사
인구 주택 총조사 : 정부에서 5년마다 전국적으로 실시한다.
주민 등록부상의 인구 조사 : 매년 말 각 지역의 주민 등록부상의 인구 수를 파악한다.
(3) 인구 조사 방법 : 인구의 특색을 조사할 때는 인구의 증감, 인구 밀도, 인구 구성 등을 먼저 파악한다.
인구 증감 : 자연 증감(출생자 수 - 사망자 수) + 사회 증감(전입자 수 -전출자 수)
인구 밀도 : 총인구(명) ÷ 총면적(㎢)
인구 구성
연령별, 성별 인구 구성 : 남녀별 인구를 5세 또는 10세 간격으로 조사하여 나타낸다.
산업별 인구 구성 : 1차, 2차, 3차 산업 종사자 수를 조사하여 나타낸다.
(4) 인구 현황의 조사, 비교 : 기간별로 조사 지역의 인구와 산업 변천을 파악할 수 있고, 각종 정책 수립에 참고할 수 있다.



인천시의 인구 피라미드

인구 피라미드에는 성별 인구 구성과 연령별 인구 구성이 잘 나타나 있다. 유·소년층(0~14세)의 비율은 감소하고, 청·장년층(15세~64세)의 인구 중 생산 연령층인 25세~65세 인구가 늘어났다. 이는 가족 계획 사업에 의해 출산률이 감소하고, 인천 지역이 공업 도시적 성격이 강해 인구의 사회적 증가가 일어났기 때문이다.



지역 사회와 우리

1. 촌락과 도시

(1) 지역 사회의 뜻 : 우리가 살고 있는 고장으로, 우리의 일상 생활이 이루어지는 터전이다.
(2) 지역 사회의 구분 : 주민들의 생활 모습과 활동 범위가 서로 다르며, 크게 촌락과 도시로 구분된다.
촌락 : 자연 환경과 관련이 밀접한 농업, 임업, 어업, 광업에 많이 종사하며, 한 마을의 주민들은 이웃과 같거나 비슷한 일을 한다.
도시 : 공업, 상업, 서비스업 등에 종사하는 사람이 많고, 같은 동네에 사는 사람이라도 각각 다른 일에 종사하는 사람이 많을 뿐만 아니라, 활동 범위도 서로 다르다.

2. 주민 생활의 모습

(1) 지역 사회의 중심지 : 각종 행정 기관, 학교, 시장, 공공 시설, 문화 시설 등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들을 중심으로 주민 생활이 이루어지고 있다.
(2) 지역 사회의 구분 : 주민들의 생활 모습과 활동 범위가 서로 다르며, 크게 촌락과 도시로 구분된다.
(3) 지역 사회의 생활 : 보통 이웃 지역 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이루어진다.



촌락과 도시의 차이점 비교

구 분

촌 락

도 시

직 업

주로 농·임·어업에 종사 함.

주로 상업, 공업, 서비스업에 종사 함.

환 경

자연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음.

인문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음.

범 위

생활 범위가 좁음.

생활 범위가 넓음.

인 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 지역의 지리적  환경

1.  지역 조사
  (1) 지역 사회                                                                                    
     ① 의미 : 사람들이 일정한 지역에서 공동체를 이루며 살아가는 곳
     ② 종류
        ㉠ 촌락 : 농업, 임업, 수산업, 목축업, 광업 등 주로 1차 산업에 종사
        ㉡ 도시 : 공업, 상업, 서비스업 등 주로 2·3차 산업에 종사

  (2) 지역 조사의 목적
     ① 지역 사회의 독특한 지역성을 파악
     ② 지역 사회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갖고 지역 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태도 함양

  (3) 지역 사회 조사의 과정
     ① 조사 계획 수립 : 목표 설정, 조사 내용·범위·방법 결정
     ② 실내 조사 : 문헌·통계 자료·사진·지도 조사, 조사 경로도 작성
     ③ 현지 조사 : 직접 관찰, 설문지 조사, 면담 등
     ④ 정리 및 보고서 작성 : 자료 분석 및 정리 → 보고서 작성


2.  지도 읽기

  (1) 지도: 지표면의 여러 현상을 축척, 방위, 기호를 사용하여 평면에  축소하여 나타낸 것

  (2) 종류
     ① 내용에 따라 : 일반도와 주제도
        ㉠ 일반도 : 지표면에 나타난 하천, 평야, 산지 등 일반적인 사항을 그려 놓은 지도.                        예) 지형도
        ㉡ 주제도 :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 인구, 기후, 교통 등 특수한 내용만을 나타낸 지도
                       예) 기후도, 산업 분포도, 교통도, 인구 분포도, 관광도 등
     ② 축척에 따라 : 대축척 지도, 소축척 지도
        ㉠ 대축척 지도 : 비교적 좁은 지역을 자세히 나타낸 지도, 지역 조사에 이용
                       예) 1:50,000이나 1:25,000 지형도
        ㉡ 소축척 지도 : 비교적 넓은 지역을 간략히 나타낸 지도
                       예) 우리 나라 전도, 세계 전도

  (3) 지도 읽기
     ① 축적
        ㉠ 의미 : 지표상의 실제 거리를 지도상에 줄여서 나타낸 비율
        ㉡ 표시방법 : 비율식(1:50,000), 분수식(1/50,000), 막대자 등의 방법으로 나타냄
        ㉢ 활용 : 지도상의 두 지점 간의 거리를 구한 후 축적의 역수를 곱하여 실제 거리를 구                      함
     ② 방위
        ㉠ 의미 : 방위 표시에 의해 표시, 방위 표시가 없을 때에는 지도의 위쪽이 북쪽
        ㉡ 표시 방법 : 나침반을 활용하여 방향을 찾은 후 지도에 표시
     ③ 기호: 지표면의 현상을 지도에 나타내는 약속, 축척에 따라 사용되는 기호에 차이가 있                 음
     ④ 등고선
        ㉠ 의미 : 평균 해수면을 기준으로 같은 높이의 지점을 이은 선
        ㉡ 등고선 간격이 좁으면 급경사, 넓으면 완경사
        ㉢ 등고선이 안으로 들어가면 골짜기, 바깥쪽으로 나오면 능선
        ㉣ 대축척 지도에서는 지형의 높낮이를 등고선으로, 소축척 지도에서는 색깔로 표시

 

3.  지역 사회의 환경

  (1) 자연 환경
     ① 자연 환경 : 위치, 지형, 기후, 식생, 토양 등 자연 환경 자연 상태의 환경으로 주로 촌락                          주민들의 생활에 많은 영향을 끼침
     ② 지형 조사
        ㉠ 지형 : 지표면의 형태나 모양-산지, 평야, 하천 등
        ㉡ 지형 조사 방법
            ·실내조사 - 지형도 구입, 지형도를 통해 지형의 모습을 전체적으로 파악, 현지 조사                             경로도 작성
            ·현지조사 - 직접 관찰, 스케치, 사진기나 캠코더 등
     ③ 기후 조사
        ㉠ 기후 : 장기간의 평균적인 기상 상태 - 기온, 강수량, 습도, 일조량, 무상 일수 등
        ㉡ 조사 방법
            ·자료 수집 - 기상대나 관측소, 인터넷 활용
            ·자료 분석 및 정리

   (2) 인문 환경
     ① 인문 환경 : 인구, 교통, 교육, 과학, 문화, 산업 시설 등 인간 활동에 의해 형성된 환경                          으로 주로 도시 주민들의 생활에 많은 영향을 끼침
     ② 인구 조사
        ㉠ 인구 수, 인구 구성, 인구 밀도, 인구 증감 등을 조사
        ㉡ 인구 조사는 지역 사회의 인문적 특성을 파악하는 기초 자료
        ㉢ 인구 조사 방법      
            ·자료 수집 - 정부 기관이나 시·군 구청 등 관공서에서 자료 구입
            ·자료 분석 및 정리
     ③ 산업 조사
        ㉠ 실내 조사 : 통계 자료 수집-주요 생산물, 산업체의 수와 종사자의 수 등
        ㉡ 현지 조사 : 관찰, 면담, 설문 조사 등
                                                                                            
4. 자연 환경과 주민 생활

   (1) 자연 환경에 적응하는 주민 생활
     ① 의 생활 : 삼베 옷, 겨울철의 솜 옷 등
     ② 식 생활 : 쌀 주식-벼농사 적합, 김장 김치-추운 겨울
     ③ 주 생활 : 평야 지대의 초가집, 산간 지방의 귀틀집
                                              
  (2) 자연 환경을 극복하는 주민 생활                                                      
     ① 불리한 지형 극복 : 계단식 경지, 간척 사업 등
     ② 자연 재해 예방 노력 : 댐 건설, 하구 둑 건설 등           
 

 

◆ 지역의 변화와 발전

1. 지역 사회의 변화와 발전                                                                 
    (1) 지역 사회 변화 원인                                                                   
       ① 국가의 흥망, 국토 종합 계발 계획 : 지명과 행정 구역의 변화, 행정 기관의 이동, 인구              의 이동
       ② 교통과 산업의 발달 : 신도시 발달, 인구 분포와 지역의 기능 변화
       ③ 과학과 기술의 발달 : 변화 속도 증가
       ④ 가치관과 생활 양식의 변화 : 전통 문화의 변화

    (2) 지역 사회 변화 조사
       ① 실내 조사 : 옛 지도와 현재 지도 비교, 옛 문헌이나 통계 연보 수집, 지명 유래 조사 등
       ② 현지 조사 : 유물과 사적의 직접 조사, 옛 어른들의 이야기 듣기, 박물관과 문화원 방문

2. 지역 사회의 문화재

    (1) 문화재: 옛부터 전해 내려오는 여러 가지 유물 중에서 역사적, 예술적 가치가 큰 것
    (2) 문화재의 종류 
       ① 유형 문화재 : 형체가 있는 문화재(건축물, 비석, 불상, 탑 등)
                              가치 정도에 따라 국보, 보물, 사적, 지방 문화재로 지정하여 보호
       ② 무형 문화재: 형체가 없는 문화재(음악, 연극, 무용, 공예 기술 등)
                             기능이 뛰어난 사람을 '인간 문화재'로 지정하여 그 기능을 계승


    (3) 문화재의 조사                                                                            
       ① 실내 조사 : 지형도에서 문화재의 위치 확인
       ② 현지 조사 : 현지 답사-사진 촬영, 탁본                                         
 


◆ 지역 사회의 기능과 구조

1. 지역 사회의 주요 기관                                                                     
    (1) 지방 자치 기관                                                                          
       ① 지방 자치 제도 : 지역 주민들이 자기가 살고 있는 지역의 일들을 민주주의의 원리에                                    따라 자율적으로 처리하는 제도
       ② 지방 자치 단체
          ㉠ 의결 기관 : 지방 의회, 주민의 선출로 구성됨
          ㉡ 집행 기관 : 지방 자치 단체, 지방 자치 단체의 장은 주민이 선거로 선출
       ③ 주요 기관 조사
          ㉠ 실내 조사 : 지형도에서 주요 기관의 위치 확인, 자료 수집, 방문 계획 수립
          ㉡ 현지 조사 : 주요 기관 직접 방문, 관계자 면담

    (2) 행정 기관
       ① 행정 기관의 역할
          ㉠ 주민들이 편리하고 행복한 삶을 살도록 도와 준다.
          ㉡ 지역 사회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일들을 맡아서 처리한다.
          ㉢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이 더욱 살기 좋은 곳이 되도록 도와 준다.
       ② 행정 기관 : 시청, 군청, 교육청, 경찰서, 소방서, 우체국, 보건소 등

2. 지역 사회의 여러 기관과 주민 생활

    (1) 공공 기관: 지역 주민들의 생산·경제·문화 생활과 복지 등을 지원하는 기관
       ① 생산 활동 지원 기관 : 은행, 농업·임업·축산업·수산업 협동 조합 등
       ② 문화 생활 지원 기관 : 박물관, 도서관 등
       ③ 복지 생활 지원 기관 : 의료 보험 조합, 양로원, 보육원 등  
                                                                                                        
    (2) 지역 사회 단체 : 지역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기 위해 주민 스스로 만든 단체

    (3) 지역 사회의 기관과 주민 생활과의 관계 : 주민들은 지역에서 일어나는 문제점을 지역              의 여러 기관을 통해 해결하기도 하고 지역 기관이 시행하는 일들이 잘 진행될 수 있              도록 협력하기도 함
 

 

◆ 지역 사회의 문제와 해결

1. 지역 사회의 여러 가지 문제
                                                                  
    (1) 지역 사회의 문제                                                                       
       ① 자연적 원인 : 태풍, 홍수, 가뭄, 산사태, 지진 등
       ② 인위적 원인
          ㉠ 국토 개발의 불균형 : 지역간 격차 발생, 인구 분포의 불균형
          ㉡ 급속한 산업화, 도시화 : 심각한 환경 오염, 교통난, 빈부 격차, 세대간의 갈등

    (2) 촌락과 도시의 문제
       ① 도시 문제 : 인구와 산업의 집중 - 주택 부족, 교통 혼잡, 환경 오염, 실업 문제 등
       ② 농촌 문제 : 도시로의 인구 이동 - 노동력 부족, 편의·복지 시설 부족

   (3) 지역 사회의 문제점과 원인 조사 : 신문 기사나 각종 통계 자료의 수집, 관련 기관의 방                                                         문, 설문 조사

2.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주민의 노력

   (1) 지역의 일에 항상 관심을 갖고 지역 활동에 적극 참여

   (2) 시민 단체 조직 : 자원 봉사 활동, 환경 오염 감시 활동 등
   (3) 주민의 노력 및 여러 기관의 협조                                                   

   (4) 문제 해결 절차 : 문제 발견  문제 분석  대책 마련  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
 

 

◆ 우리 나라의 중앙부

1. 중앙적 위치                                                                                     
  (1) 역사속의 중부 지방                                                                  
     ① 삼국 시대 : 한강 유역을 확보한 나라가 전성기를 맞이함
     ② 조선 시대 : 한양(서울)을 도읍으로 지정 - 우리 나라의 중심지로 발달

  (2) 한강
     ① 과거 : 내륙 수운 구실 - 각종 문화 유산이 남아 있음
     ② 현재 : 수도권에 각종 용수 공급 - 다목적 댐 건설

  (3) 한반도 중심지
     ① 과거부터 정치·경제·사회·문화의 중심지
     ② 인구와 산업의 집중

2. 동고 서저의 지형

  (1) 태백산맥
     ① 동쪽으로 치우쳐 남쪽으로 뻗음-큰 강은 황해로 흐름
     ② 동쪽은 급경사, 서쪽은 완경사-해안에 좁은 평야
     ③ 영동과 영서 지방의 경계
     ④ 석회암 지형; 태백 산맥 남부에 발달-석회 동굴 등 분포
     ⑤ 주요 산 : 설악산, 오대산, 태백산 등
     ⑥ 주요 고개 : 미시령, 한계령, 대관령 등-동서 교통로로 이용
     ⑦ 연속 산맥 : 광주 산맥, 차령 산맥, 소백 산맥 등

  (2) 하천과 평야
     ① 특징: 중부 지방의 긴 강은 대체로 황해 쪽으로 흐르며, 강 유역에 분지와 평야 분포
 
 (3) 해안
     ① 황해안 : 복잡한 해안선(리아스식 해안), 수심 얕음, 섬과 만이 많음, 조석 간만의
                     차 큼, 갯벌 발달
     ② 동해안 : 단조로운 해안선, 수심 깊음, 조석간만의 차 작음(갯벌 발달 안됨), 석호 발달
                     암석 절벽과 모래사장

3. 동서간의 차이가 심한 기후

  (1) 중부 지방의 기후 : 따뜻한 남부와 추운 북부의 중간적 기후
  (2) 기온의 지역차
     ① 지역간의 기온차 : 여름보다 겨울에 크게 나타남
     ② 같은 위도일 때 겨울 기온 : 내륙〈황해안〈동해안
     ③ 겨울에 동해안이 따뜻한 이유 : 태백산맥이 차가운 북서 계절풍을 막아주고, 수심이 깊                                                    은 동해의 영향을 받기 때문

  (3) 강수량과 바람
     ① 강수량 : 계절 변동, 지역차가 큼
        ㉠ 여름에 집중 : 남동 계절풍의 영향
        ㉡ 다우지 : 한강 중·상류-지형적 원인
        ㉢ 집중 호우 : 장마와 태풍의 영향
        ㉣ 가뭄 : 장마 전선의 북상이 지연될 때
        ㉤ 겨울철 강수량 : 한랭 건조한 북서 계절풍의 영향으로 적은 강수량
        ㉥ 다설지 : 영동 산간
     ② 바람                                                                                                                                                                                     
        ㉠ 여름에 남동 계절풍, 겨울에 북서 계절풍
        ㉡ 높새바람 : 늦은 봄에서 초여름에 불어오는 고온 건조한 바람으로 영서 지방의 농작                             물에 가뭄의 피해


◆ 인구와 산업이 집중된 수도권

1. 인구의 집중과 상업적인 농업의 발달                         

   (1) 서울의 성장                                                                                    

     ① 역사속의 서울

        ㉠ 삼국 시대 : 백제의 도읍     ㉡ 고려 시대 : 남경    ㉢ 조선 시대 : 도읍지(한성부)

     ② 수도 서울의 성장 과정

        ㉠ 일제 침략기 : 경성(한강 이남까지 확대)
 ㉡ 광복 후 : 서울 특별시(인구 100만 이상 도시)

        ㉢ 1960년대 : 인구와 기능의 집중
 ㉣ 1973년 이후 : 세계적인 대도시(인구 1000만 이상)

     ③ 인구의 집중과 도시 문제

        ㉠ 인구 집중 : 직장, 학교, 문화 시설 및 여러 가지 기능 집중 → 전입 인구 증가

        ㉡ 도시 문제

           - 원인 : 지나친 인구 집중

           - 문제점 : 주택, 직정, 학교 등의 시설 부족, 교통 체증, 환경 오염 발생

           - 대책 : 시가지의 재개발, 개발 제한 구역 설정 등
 

   (2) 수도 서울의 내부 구조

    ① 도심 : 중심업무지구, 관청·은행·백화점·회사 등 집중(세종로-태평로에 이르는 지역)

      ② 부도심 : 교통이 편리한 곳에 도심의 기능 분담(영등포, 신촌, 잠실, 청량리 등)

      ③ 주변 지역 : 도심의 외곽, 주택지·공장 지대(구로 산업 단지)

 
   (3) 서울의 위성 도시

    ① 위성도시

      ㉠ 뜻: 대도시 주변에서 대도시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대도시의 다양한 기능은 분담하는        도시

      ㉡ 특징 : 서울과 전철 및 고속화 도로로 연결

    ② 위성 도시의 기능

      ㉠ 인천 : 서울의 외항, 제2의 무역항, 신공항 건설

      ㉡ 과천 : 행정기능       ㉢ 성남·고양 : 주거 기능      ㉣ 안산 : 공업 기능

      ㉤ 의정부 : 군사 기능   ㉥ 부천·안양 : 과거(원예 농업)-오늘날(주거, 공업 기능)

 

 (4) 상업적 농업의 발달

    ① 발달 조건과 특색

      ㉠ 발달 조건 : 편리한 교통 및 넓은 소비 시장

      ㉡ 특색

           - 기계화된 농업

           - 상업적 농업 : 자급적 농업-시장을 겨냥한 농업

           - 다각적 농업 : 곡물 중심 농업-근교 농업(원예, 낙농업)

    ② 토지 이용의 변화

      ㉠ 변화 원인 : 도시화, 교통의 발달, 생활 수준 향상

      ㉡ 변화 모습

           - 근교 농업 : 도시 지역에서 외곽으로 이동

           - 낙농업 : 원예 농업보다 먼 지역으로 이동

           - 벼농사 : 여주, 이천, 김포 등의 평야 지역

 


2. 우리나라 최대의 공업 지역


   (1) 수도권 공업 지역

    ① 입지 조건 : 풍부한 노동력과 공업 용수, 넓은 소비 시장, 편리한 교통, 발달된 기술,
                  풍부한 자본 등

      ② 공업의 특색

         ㉠ 최대의 공업 지역 : 서울, 인천, 안양, 부천, 수원, 안산 등

         ㉡ 경공업(섬유, 인쇄, 식료품, 요업, 가구 등), 중화학 공업(기계, 금속, 자동차,
                        화학 등), 첨단 산업(반도체, 컴퓨터 등) 등 종합 공업 발달
 

   (2) 공업 입지의 변화

      ① 공장 이전

         ㉠ 과거 : 영등포, 인천, 안양 등       ㉡ 현재 : 수원, 안산 등 수도권의 남서부 지역

      ② 입지 변화의 요인 : 공장 과밀화에 따른 문제점 발생-정부의 공장 이전 정책

      ③ 새로운 산업 단지 조성 : 황해안 간척 사업 추진-반월 산업 단지, 시화 산업 단지,
          남동 산업 단지 등

      ④ 오늘날의 공업 분포

         ㉠ 서울 : 부가 가치가 높은 패션 디자인 산업, 정보 통신 관련 산업 발달

         ㉡ 서남부(해안) : 중화학 공업 발달     ㉢ 동남부(내륙) : 첨단 산업 발달

 


3. 수도권의 문제와 대책

 
   (1) 수도권의 문제점

      ① 원인 : 지나친 인구과 산업의 집중

      ② 문제점 : 주택 문제, 교통 문제, 각종 환경 문제 등

  (2) 대책                                                                                               

    ① 개발 제한 구역 설정 : 대도시의 무질서한 팽창 억제와 환경 보전 위해

    ② 각종 산업과 인구의 지방 분산

    ③ 낙후된 지역의 재개발, 부도심 개발, 신도시 개발
 


◆ 관광 자원이 풍부한 관동 지방

1. 농·목업과 수산업
   (1) 농업                                                                                               

      ① 밭농사 중심의 농업 : 산지가 많고 경지율 낮음-산지가 많고 평야가 좁음

      ② 고랭지 농업과 목축업 : 대관령과 평창군 일대

       ㉠ 지형 조건 : 고위평탄면, 여름에 서늘한 기후 이용

       ㉡ 주요 작물 : 감자, 채소, 약초 등

       ㉢ 도시 인구의 증가 및 영동 고속 도로 개통으로 더욱 발전

 
   (2) 임업 : 남한 최대의 삼림 지역

   (3) 수산업

      ① 동해 어장 : 조경 수역(한류와 난류의 교류)-어족 풍부

      ② 주요 어족 : 여름(오징어), 겨울(명태)

   (4) 목축업 : 대관령 부근의 평창군 일대-평탄한 지형과 서늘한 기후

 


2. 풍부한 자원과 주민 생활

   (1) 동력 자원과 지하 자원 : 남한 최대의 광업 지역

      ① 무연탄

       ㉠ 주요 탄전 : 태백·영월·정선 등의 탄전 → 산업 철도(중앙선, 영동선)로 운반

       ㉡ 문제점 : 소비 감소와 많은 채탄 비용 등의 이유로 채탄 감소 → 지역 경제 쇠퇴

    ② 철광석 : 양양, 홍천 등에 매장 → 외국산 수입으로 생산 중단

      ③ 텅스텐 : 상동 → 외국산 수입으로 생산 중단

      ④ 석회석 : 영월, 삼척 등 → 시멘트 공업의 원료


   (2) 물 자원

    ① 북한강 유역 : 수량이 풍부하고 경사가 큰 지형으로 많은 댐 건설

      ② 강릉 유역 변경식 발전 : 태백산맥 서쪽의 완경사면을 흐르는 남한강 상류의 물을
          터널을 통해  동해 쪽의 급경사면으로 보내어 발전하는 양식

 


3. 관광 산업의 발전

 
   (1) 관광 자원

    ① 국립 공원 : 설악산, 오대산, 치악산 등의 산지와 계곡

    ② 동해안 : 해수욕장, 솔밭, 문화 유적 등

    ③ 기타 : 인공 호수, 석회 동굴, 골프장, 스키장 등


   (2) 관광 도시

    ① 강릉 : 영동 지방의 중심지, 경포대와 오죽헌

    ② 속초 : 설악산과 통일 전망대

    ③ 춘천 : 인공 호수를 이용한 관광 활발

    ④ 동해 : 금강산 관광의 출항지

                                                                                                               
   (3) 관광 개발의 과제

    ① 교통 여건 개선 : 영동 고속 국도 확장 등

    ② 관광 자원 시설 확충 : 숙박 및 레저 시설 구비

    ③ 지연 환경 보전 : 개발과 보전의 조화 노력 필요

    ④ 관광 상품 개발 노력 : 폐광 지역 개발, 특산품 개발 등
 

 

◆ 발전하는 충청 지방

1. 빠르게 성장하는 대전권
     (1) 대전                                                                                               

    ① 중부 지방과 영남?호남의 길목에 위치, 수도권과 가까운 거리

      ② 도로·철도 교통 발달 : 수도권·호남·영남을 연결하는 철도, 고속 도로

      ③ 많은 전입 인구 : 높은 인구 증가율(사회적 증가가 많음)

      ④ 충청남도 도청 소재지 이전, 정부 대전 청사, 대덕 연구 단지
 

   (2) 변모하는 도시들

    ① 청주 : 충청북도의 도청 소재지. 교육 도시, 교통 발달

    ② 천안 : 철도 교통 요지

    ③ 공주 : 백제의 도읍, 금강 수운 쇠퇴로 발전 정체

    ④ 충주 : 남한강 수운 쇠퇴로 발전 정체

   (3) 토지 이용의 변화

    ① 과거 : 벼농사 중심-금강 유역의 평야 일대

    ② 오늘날 : 상업적 농업-젖소 사육, 과수·인삼 등 재배

 


2. 풍부하고 다양한 관광 자원
 

   (1) 관광 자원

      ① 문화 유산

         ㉠ 백제 문화권 : 공주와 부여 일대      ㉡ 문화재 : 왕릉, 성곽 절 등 풍부 

      ② 자연 경관 : 계룡산 국립 공원, 월악산 국립 공원, 속리산 국립 공원,
                           태안 해안 국립 공원
 

   (2) 관광 산업의 문제점과 대책

      ① 문제점 : 관광 자원에 비해 관광객 수가 적음

      ② 대책 : 관광 시설 확충, 도로 정비, 관광 상품 개발, 관광 자원 보전 노력 등

 

3. 간척 사업과 주민 생활의 모습
 

   (1) 간척지 확대

    ① 입지 조건 : 복잡한 해안선, 많은 섬과 만, 넓은 갯벌, 얕은 수심

      ② 태안 반도의 해안

         ㉠ 과거 : 김·굴 양식업, 천일 제염업 발달

         ㉡ 최근 : 대규모 간척 사업 추진, 방조제 건설

      ③ 주요 간척지 : 서산 지구(농경지), 아산만 일대와 대산 지구(대규모 산업 단지 조성)
 

   (2) 간척 사업의 장단점

    ① 장점

      ㉠ 국토 면적 확대 : 공장지·주택용지·농경지 확대

      ㉡ 각종 용수 공급

      ㉢ 새로운 관광지 형성

    ② 단점                 

      ㉠ 양식업과 천일 제염업 및 수산 자원 감소

      ㉡ 바다의 쓰레기 처리장 기능 상실

      ㉢ 환경 오염, 생태계 파괴

      ㉣ 어민들의 생활 터전 상실
                                                                                                        
 

◆ 해양 진출의 요지

1. 해양 진출에 유리한 위치
   (1) 남부 지방의 범위                                                                      
      ① 경계 : 금강 하류와 소백 산맥을 연결하는 곳의 남쪽 지방
      ② 지역 구분
         ㉠ 호남 지방 : 광주 광역시, 전라남·북도
         ㉡ 영남 지방 : 부산 광역시, 대구 광역시, 울산 광역시, 경상남·북도
         ㉢ 제주도 지방

   (2) 문물의 교류
      ① 3면이 바다로 둘러 싸여 있으며, 태평양과 아시아 대륙을 연결하는 길목에 있음
      ② 문화와 물자 교류에 유리한 위치
         ㉠ 철기 문화, 불교, 한자, 공예 기술 등을 바다 건너 일본에 전파함
         ㉡ 고구마, 담배, 고추 등 동남 아시아와 유럽의 문물이 들어옴

   (3) 해양 진출의 근거지
      ① 21세기 개방화, 세계화 시대를 맞아 선진국과 경쟁하며 발전하기에 유리한 위치
      ② 원양 어업, 해외 무역, 임해 공업이 발달하기 좋은 위치
      ③ 임해 산업 단지의 개발 : 원료 수입과 제품 수출에 유리한 항구 발달

2. 낮은 산지와 넓은 들

   (1) 낮은 산지 : 한라산을 제외하면 대부분 낮은 산지
      ① 소백 산맥 : 영남 지방과 호남 지방의 경계, 고개(죽령, 조령, 추풍령, 육십령, 팔량치                            등)
      ② 노령 산맥 : 전라 남·북도의 경계
      ③ 진안 고원 :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의 사이에 위치-고랭지 농업, 목축업, 관광·휴양지 개                            발

   (2) 넓은 평야와 하천
      ① 하천과 평야 : 남부 지방의 하천 중 황해로 흘러드는 큰 강 유역에는 넓은 평야가 분포
         ㉠ 만경강과 동진강 : 호남 평야 - 최대의 곡창 지대
         ㉡ 영산강 : 나주 평야
         ㉢ 낙동강 : 김해 삼각주 평야, 중·상류의 안동, 대구 분지
         ㉣ 섬진강 : 평야 발달 미약(산지 사이를 흐르기 때문), 남원·구례 분지
      ② 하구둑 건설 : 영산강, 낙동강, 금강 하구-각종 용수 이용, 염해 방지, 교통로 확보,
                             농토 확장

   (3) 복잡한 해안과 바다의 이용
      ① 남부 지방 : 황·남해안의 특색
         ㉠ 리아스식 해안 : 해안선의 형태가 매우 복잡, 큰 조석간만의 차, 갯벌 발달,
         ㉡ 다도해 : 목포에서 여수 사이의 바다에 섬이 많음
      ② 동해안 : 해안선이 단조롭고, 조석 간만의 차가 작음
      ③ 육지와 연결된 섬 : 거제도, 진도, 완도, 남해도 등

   (4) 화산섬
      ① 제주도 : 분출된 용암의 성질이 정성이 낮아서 널리 퍼져 방패를 엎어 놓은 모양의
                       완경사
      ② 울릉도와 독도 : 분출된 용암의 성질이 높아서 종을 엎어 놓은 모양의 급경사 

3. 따뜻한 기후

   (1) 기온
      ① 특색 : 남쪽에 위치하고 바다로 둘러싸여 겨울에도 온화함
      ② 내륙 : 육지의 영향으로 연교차가 큼(대구, 안동 분지)
      ③ 해안가 : 바다의 영향으로 연교차가 작음(남해안, 제주도, 울릉도)

   (2) 강수량
      ① 특징 : 지형과 풍향에 따라 지역적 차이가 큼
      ② 다우지 : 섬진강 유역, 남해안 및 제주도, 다설지(울릉도, 노령·소백산맥의 북서사면)
      ③ 소우지 : 낙동강 중·상류의 내륙 분지-바다에서 멀고, 산지로 둘러싸인 분지 지형
      ④ 태풍 : 여름에서 초가을에 자주 불어와 홍수를 유발-인명 및 재산 피해


   (3) 기후와 생활                                                                              
      ① 벼농사와 그루갈이 : 고온 다우하여 벼농사가 활발하며, 겨울철이 비교적 따뜻하여 그
                                        루갈이 가능, 특용 작물(과수, 고추, 담배 등)
      ② 개방적인 가옥 구조 : 고온 다습한 여름 기후 때문-문과 창문이 크고, 대청 마루가 넓                                       음
      ③ 울릉도 : 겨울의 폭설 피해를 막기 위하여 우데기(방설벽) 설치
 


◆ 농업과 공업이 함께 발달하는 호남 지방

1. 농업이 발달한 호남 지방 
    (1) 벼농사의 중심지                                                                     
      ① 입지 조건: 넓은 평야, 따뜻한 기후, 풍부한 강수량, 발달된 관개 시설
      ② 농업의 특색
         ㉠ 최대의 곡창 지대 : 경지 면적과 쌀, 쌀보리 생산량이 전국 1위
         ㉡ 집약적 토지 이용 : 농가 1호당 경지 면적은 좁아 집약적 농업이 이루어짐
         ㉢ 그루갈이 활발 : 쌀보리를 그루갈이 작물로 재배 → 생산량 감소 중
         ㉣ 특산물 : 인삼·버섯(무주, 진안 - 고랭지 농업), 차(보성), 양봉(산간지대), 소 사육                          (남원)
      ③ 농업 지역 : 서부 평야 지대(벼농사), 동부 구릉 지대(밭농사)

   (2) 농업 발전을 위한 노력
      ① 활발한 간척 사업 : 간석지를 농토로 만드는 간척 사업을 옛날부터 활발히 추진 → 새                                     만금 지구, 계화도 간척지
      ② 댐과 관개용 수로·하구둑 건설 : 홍수 조절, 안정된 농업 용수 공급
      ③ 농업 경영의 기계화 : 부족한 노동력의 문제 해결
      ④ 고소득 영농 장려 : 경제성이 높은 작물(과일, 특용작물) 재배, 농사 규모 확대

2. 발달하는 공업

   (1) 공업의 발달 과정
      ① 재래 공업의 발달 : 한지(전주), 죽세공품(담양), 목기(남원)
      ② 근대 공업 : 지하·동력 자원의 부족으로 근대 공업 발달이 늦어짐 → 최근 공업화 적극           추진
         ㉠ 대규모 공업 단지 건설 : 여수, 광양만 연안 등에 건설
         ㉡ 교통망 확충 : 서해안 고속 국도 건설, 기존 철도와 도로 확장 → 국토의 균형 개발
         ㉢ 공업 구조의 변화 : 초기 경공업(식료품, 방직, 양조) 중심 → 중화학 공업으로 구조                                          다양화
         ㉣ 황해안 지역 개발 의의 - 지역 간 불균형 해소(효율적인 국토 이용)
         ㉤ 중국과의 교역량 증가에 대비하여 새로운 공업 지대로 개발

   (2) 공업 발달 지역
      ① 여수·광양만 : 중화학 공업 발달 → 석유 화학(여수), 제철(광양) 등
      ② 군산 : 수출항으로 개발 → 제지·합판·양조 공업
      ③ 익산 : 수출 자유 지역 → 귀금속 가공 공업 발달, 대규모 섬유 공장
      ④ 광주 : 자동차 공업, 섬유 공업, 화학 공업 → 호남 지방 제1의 도시
      ⑤ 목포 : 양조 공업, 수산물 가공 공업 → 대불 공단 조성
      ⑥ 군장 지구 : 군산, 장항 → 중국 무역의 중심지로 성장 기대


   (3) 교통과 도시
      ① 교통
         ㉠ 철도 교통 : 전라선, 경전선, 호남선
         ㉡ 도로 교통 : 호남 고속 국도, 남해 고속 국도, 88올림픽 고속 국도, 서해안 고속 국도
      ② 도시 : 광주 광역시(호남 최대의 도시), 전주(전북 도청 소재지), 나주, 정읍, 순천, 군                    산, 목포, 여수 등

3. 발달한 수산업

   (1) 수산업의 발달
      ① 발달 조건 : 복잡한 해안선, 연중 난류, 알맞은 수온, 얕은 수심, 풍부한 플랑크톤
      ② 특징 : 수산업에 종사하는 인구가  전국 최고, 대부분 농업을 겸함

   (2) 연안 어업과 양식업의 발달
      ① 연안 어업
         ㉠ 황해 : 새우, 갈치, 민어, 조기       ㉡ 남해 : 멸치, 가자미
      ② 양식업
         ㉠ 김 양식 : 우리나라 전체 생산량의 대부분을 차지(완도 일대)
         ㉡ 고막, 바지락, 홍합, 굴, 피조개 등의 조개류 양식업과 가두리 양식업이 활발

   (3) 수산업 전망과 대책                                                                  
      ① 대규모 간척 사업, 공업 발달 → 생활 하수나 산업 폐수 증가 → 적조 현상 등 해양 오              염 심각→ 청정수역 지정
      ② 수산업의 전망
         ㉠ 현재 : 수산물의 국내 수요 증가, 수출 확대, 원양 어업 진출 등으로 활기
         ㉡ 발전 대책 : 자본·기술 지원, 어업 장비 현대화, 잡는 어업에서 기르는 어업으로 전환                              유도
 

 

◆ 임해 공업이 발달한 영남 지방

1. 다양한 농업 활동
   (1) 농업의 특색                                                                            
      ① 다양한 농업
         ㉠ 벼농사 발달 : 호남 지방과 함께 주요 곡창 지대
         ㉡ 따뜻한 겨울 : 논의 그루갈이(주로 겉보리), 과수·채소 원예 농업 발달
         ㉢ 농업의 특색 : 영세적·집약적 농업, 댐과 관개 시설 확충으로 안정적 농업
         ㉣ 입지 조건 : 유리한 기후 조건, 대도시 발달, 편리한 교통

   (2) 주요 농작물
      ① 쌀 : 전국 생산량의 1/4정도. 김해 평야 및 낙동강 유역의 평야 지대
      ② 겉보리 : 벼의 그루갈이 작물-최근 소득이 적고 일손이 모자라 재배 면적 감소
      ③ 특용 작물과 과수 : 낙동강 중·상류의 내륙 지역
      ④ 사과 : 대구 부근에서 경북 다른 지역으로 확산
      ⑤ 담배, 고추, 마늘, 양잠 : 소백산맥 산간 분지
      ⑥ 기타 작물 : 인삼(풍기), 진영(단감), 남해(유자)
      ⑦ 과수 및 원예작물
         ㉠ 부산·대구 등의 대도시 주변 : 채소, 화훼
         ㉡ 낙동강 하류(삼각주) : 시설 재배로 수박·딸기·참외 등과 열대 작물 생산, 꽃 수출

   (3) 목축업 : 영남 산간(한우 사육), 대도시 부근(기업적 양계, 양돈), 부산과 대구 부근(낙농                      업 발달)

2. 수산 양식업의 발달

   (1) 수산업의 발달 : 우리나라 연근해 어업 생산량의 60% 차지
      ① 동해 : 조경수역을 형성하여 어족과 플랑크톤 풍부→명태, 오징어 등 (포항, 울릉도 등)
      ② 남해 : 연중 난류가 흐르고 수온이 따뜻함→명치, 갈치, 고등어 등(부산, 통영 등)
      ③ 연근해 어업과 원양 어업의 전진 기지 : 우리 나라 연근해 어업 생산량의 60% 차지

   (2) 수산 양식업 : 남해 통영∼거제도
      ① 잔잔한 바다, 적당한 수온, 깨끗한 물, 얕은 수심, 복잡한 해안선 : 양식장으로 좋은
            조건
      ② 굴 양식(통영- 해외로 수출), 물고기 가두리 양식 발달

   (3) 해양 오염
      ① 원인 : 선박에서 나오는 기름, 공장 폐수·생활 하수 유입 → 양식업, 연안 어업에 피해
      ② 대책 : 청정 수역 지정 → 유조선 통행과 수산업에 해로운 공장 건설 금지

3. 중화학 공업이 발달한 남동 임해 공업 지역

   (1) 유리한 입지 조건 : 우리나라 최대의 중화학 공업 지역
      ① 원료 수입과 제품 수출에 유리한 항구 발달
      ② 풍부한 노동력
      ③ 편리한 교통 : 경부 고속 도로와 철도, 항만 시설 발달
      ④ 풍부한 동력 자원
         ㉠ 수력 : 삼랑진 양수 발전소, 안동댐, 임하댐, 남강댐
         ㉡ 화력 : 고성, 울산 등 공업 도시 주변
         ㉢ 원자력 : 기장(고리), 경주(월성), 울진→ 많은 냉각수 필요, 안정된 지반에 건설, 안                         전 대책 필요
      ⑤ 정부의 정책적 지원

   (2) 임해 지역의 공업
      ① 부산 : 우리나라 제 1의 무역항, 섬유·기계·화학·금속·식품 공업 등
      ② 기간 산업 : 포항(제철, 제강), 울산(석유 화학, 조선, 자동차, 비료)
      ③ 기타 : 창원(기계), 진해(화학·비료 공업), 마산(양조·금속·기계·섬유 공업, 수출 자                     유 지역), 거제(조선), 통영·사천(수산 가공업)

   (3) 내륙 지역의 공업 : 역사가 오랜 공업 지역, 노동력 풍부, 경공업 중심
                                  → 대구(섬유 공업), 구미(전자 공업)
   (4) 공업화의 문제와 대책                                                               
      ① 공업화로 인한 지역 차이 발생
      ② 대기 오염, 수질 오염 등의 환경 문제 발생
      ③ 대책 : 남동 임해 공업 분산 정책
 

 

◆ 관광 산업이 발달한 제주도

1. 기후가 온화한 화산섬
   (1) 화산섬 : 화산 분출물로 덮인 지형                                                 
      ① 형성 : 여러 차례 화산 활동으로 형성
      ② 화산 지형 : 중앙에 한라산과 정상에 화구호(백록담), 기생 화산(측화산,또는 오름), 용                             암 동굴 등이 발달
      ③ 해안 지형 : 단조로운 해안선, 해안에 절벽·폭포, 모래 사장 발달
      ④ 한라산 중턱 : 넓고 평탄한 초원 지대 발달
      ⑤ 해안가 취락 발달
         ㉠ 구멍이 많은 화산 분출물로 덮여 있어 빗물이 틈새로 스며들어 평상시에 물이 흐르                는 하천은 거의 없음
         ㉡ 땅 속에 스며든 빗물이 해안에서 용천수로 솟아오르기 때문에 물을 얻기 쉬운 해안                가에 취락 형성

   (2) 온화한 해양성 기후
      ① 온난한 기온 : 우리나라 최남단에 위치, 연중 난류가 흐름(겨울철 평균 기온이 0℃ 이                              상) → 난대성 식물(감귤나무, 차나무 등)재배, 개방적 가옥 구조
      ② 풍부한 강수량 : 여름철에 많은 비, 겨울철 폭설(한라산 고지대) → 우리나라 최대 다                                  우지
      ③ 태풍 : 여름철에 자주 나타나며 풍수해를 입기 쉬움
      ④ 식물의 수직적 분포 : 한라산의 높이에 따른 기온의 차이에 의해 나타남

2. 자연과 함께 하는 주민 생활

   (1) 밭농사 중심의 농업
      ① 밭농사 중심 : 지표면에 물을 모아 놓기 어렵기 때문에 논은 거의 없음
      ② 주요 작물 : 채소, 고구마, 보리(맥주보리), 유채 등
         ㉠ 감귤 : 우리나라 최대 산지, 서귀포 일대가 중심
         ㉡ 열대 작물 재배 : 파인애플, 알로에 등→농산물 수입 개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음

   (2) 기업적 목축 발달
      ① 입지 조건 : 따뜻한 기후, 한라산 기슭의 넓은 초원→옛날부터 대규모 목축업 발달
      ② 기업적 목축 : 해발 200∼600m의 지대-젖소, 한우, 돼지 등

   (3) 수산업
      ① 조건 : 수심이 깊지 않고, 연안에 난류가 흐름
      ② 주요 어족 : 근해에서 갈치, 도미 등이 많이 잡힘
      ② 해녀 활동 : 해조류와 어패류 등을 채취→점차 숫자가 감소

3. 관광 자원과 지역 개발

   (1) 풍부한 관광 자원
      ① 아름다운 자연 경관 : 맑고 깨끗한 바다, 화산 지형, 동굴, 폭포, 난대성 식물 등
      ② 독특한 문화 유산 : 언어, 풍속, 가옥 등
      ③ 이국적 경치 : 목장, 감귤밭 등

   (2) 주요 산업 : 관광객을 상대로 한 상업과 서비스업 발달


   (3) 관광 산업 발달의 영향
      ① 관광 산업의 발달 : 국제적 수준의 관광지로 성장→지역 발전 빠르게 진행
      ② 인구 변화 : 감소하였던 청·장년층이 최근에는 관광 산업의 발달로 증가
   (4) 관광 산업에 따른 문제점과 대책                                                    
      ① 고유의 전통 소멸 : 잦은 관광객 출입의 영향
      ② 자연 환경 훼손 : 관광 시설이 많이 생기기 때문
      ③ 대책 : 자연 환경과 고유 문화를 보전하여 특색 있는 관광지로 가꾸어 나가야 함, 다양                     한 관광 자원의 개발, 편의 시설의 확대 등
 


◆ 대륙의 관문

1. 대륙 문화의 통로                                                                 

   (1) 북부 지방 범위 : 지리적 범위는 멸악 산맥 이북 지역→실질적으로 휴전선 이북의 북한                                 지역 의미


   (2) 국경 지대 : 중국(압록강, 두만강 중·상류)과 러시아(두만강)와 국경 접함

   (3) 위치적 특성 : 대륙으로의 관문→대륙 문화 수입과 대륙 진출의 발판
      ① 분단 이후 : 대륙으로 진출할 수 있는 통로가 막히게 됨
      ② 통일 이후 : 대륙과 해양으로의 진출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음

   (4) 지역 구분 : 낭림 산맥을 경계로 서쪽의 관서 지방과 동쪽의 관북 지방으로 나뉨

2. 높은 산지가 많은 지형                                                                         

   (1) 지형 : 북동부가 높고, 서부가 낮음                                                     
      ① 개마고원
         ㉠ 화산 지형으로 용암대지(우리나라의 지붕)
         ㉡ 장진강·부전강·허천강이 있어 물자원 풍부, 침엽수림 울창
      ② 낭림 산맥
         ㉠ 남북 방향으로 뻗은 산맥
         ㉡ 관서지방과 관북 지방의 경계
      ③ 함경 산맥 : 동해쪽의 급사면, 개마고원쪽에 완사면→유역 변경식 수력 발전에 이용
      ④ 백두산 : 우리나라 최고봉 2744m, 정상에 화산 활동으로 생긴 천지가 있음

   (2) 하천과 평야 및 해안
      ① 하천과 평야
         ㉠ 두만강을 제외하고는 큰 하천은 대부분은 황해로 흐름
         ㉡ 큰 평야도 황해안에 위치 : 대동강(평양평야), 압록강(용천평야) 등
         ㉢ 해안 지형
             - 동해안 : 해안 가까이에 산지가 분포하여 평야 발달 미약, 단조로운 해안선과 깊은
                             바다, 섬은 적으나 경치가 아름다움
             - 황해안 : 복잡한 해안선, 얕은 수심, 조석 간만의 차가 큼, 넓은 갯벌

3. 겨울이 길고 추운 기후

   (1) 대륙성 기후
      ① 대륙의 영향을 받아 기온의 연교차가 큼-한랭 건조한 북서 계절풍의 영향을 받음
      ② 겨울이 매우 길고 추우며, 내륙으로 갈수록 기온이 더욱 낮아짐
                    → 중강진 : 우리나라에서 가장 추운 곳

   (2) 강수량 : 지형·풍향 원인으로 지역차가 큼
      ① 다우지 : 청천강 중·상류, 원산·금강산 일대(지형성 강우)
      ② 소우지 : 개마고원, 대동강 하류의 광량만 일대
                      → 광량만 : 강수량이 적고, 증발량이 많아 천일 제염업 발달


   (3) 기후와 주민 생활 : 춥고 긴 겨울은 생활에 영향을 줌                        
      ① 농업 : 밭농사 중심
      ② 가옥 구조 : 폐쇄적인 가옥 구조
      ③ 의생활 : 두터운 솜옷, 갓옷 등
      ④ 식생활 : 감자, 옥수수 등의 잡곡과 냉면
      ⑤ 주생활 : 두터운 벽, 작은 창문, 겹집 구조의 가옥과 정주간
 

 

◆ 북부 지방의 중심지 관서 지방

1. 북부 지방의 중심지
   (1) 평양                                                                                          
      ① 과거 : 고조선, 고구려의 옛 도읍지
      ② 현재 : 북한의 정치·경제·문화·교통의 중심지, 공산주의 사상의 중심지이자 선전장
      ③ 철도와 도로 교통의 요지, 서해 갑문의 건설로 외항인 남포와의 수운이 편리해짐

   (2) 평양 평야 : 벼농사 중심지, 북부 지방의 곡창지대


   (3) 평양 공업 지구 : 풍부한 자원 + 편리한 교통 - 종합 공업 지대, 북한 최대 공업 지역

   (4) 남포 : 평양의 외항, 평야의 관문 구실, 서해 갑문 조성, 관서 지방 각종 산물의 집산지,                  국제 무역항, 연근해 어업의 중심

2. 집단화된 농업

   (1) 집단화된 농업
      ① 협동 농장 : 토지 개혁 단행(1946년) → 집단 농장 조성 → 국영화 사업 추진(전국 농촌                            을 집단 농장화로 만들어 국유화)
      ② 집단 농업의 장·단점
         ㉠ 장점 : 농지 개간과 농업 생산량의 조절 및 통제에 유리
         ㉡ 단점 : 농민의 생산 의욕 저하 → 낮은 농업 생산성 → 경제난 심화

   (2) 밭농사 중심의 농업 : 춥고 긴 겨울, 적은 강수량, 많은 산지 지형
      ① 주요 밭작물 : 옥수수, 감자, 조, 밀 등
      ② 벼농사 : 서쪽의 평야 지대
      ③ 특용 작물 : 개성의 인삼, 황주의 사과 등

   (3) 어려운 식량 사정
      ① 원인
         ㉠ 농사에 불리한 자연 조건 : 짧은 여름, 강수량 부족, 평야 협소
         ㉡ 낮은 생산성 원인 : 농업의 집단화와 생산 활동의 일방적 강요에 따른 생산의욕 저하
         ㉢ 농업 기술 낙후, 비료와 농약 부족, 경지 황폐화
         ㉣ 비과학적·비계획적인 산지 개간 : 삼림 황폐, 산사태, 토양 유실 등
      ② 식량 사정 해결 노력
         ㉠ 농업 방식과 제도의 개선 : 생산 책임량 할당, 분조 관리제, 텃밭 제도 등
         ㉡ 불리한 자연 환경 극복 : 관개 시설 확충, 토지 정리와 토지 개량, 다락밭 개간
         ㉢ 대체 식량의 개발 : 감자나 옥수수를 이용한 다양한 가공 식품 연구 개발

3. 북부 지방 최대의 공업 지역

   (1) 풍부한 동력·지하 자원
      ① 동력 자원
         ㉠ 수력 : 압록강의 수풍댐, 운봉, 강계 등지
         ㉡ 화력 : 평남 남부·북부 탄전의 무연탄 이용
         ㉢ 원자력 : 영변(군사용 목적으로 건설)
         ㉣ 전력 생산 : 수요에 비해 전력 생산이 매우 부족한 실정
      ② 지하 자원
         ㉠ 철광석 : 황해도의 은율, 재령에서 생산→송림 제철소에서 제철
         ㉡ 금 : 대유동, 운산에서 산출→매장량 감소로 현재는 생산량이 매우 적음
         ㉢ 텅스텐(백년), 흑연, 석회석 등 매장량 풍부

   (2) 공업 지역과 주요 도시
      ① 입지 조건 : 편리한 교통, 풍부한 동력·지하 자원 등
      ② 공업 특색 : 군수 공업 위주의 정책으로 경공업 부진
      ③ 주요 공업 지구
         ㉠ 평양 공업 지구 : 평양, 남포, 사리원으로 북한 최대 공업 지역→제철, 화학, 섬유, 식                                      료품
         ㉡ 강계 공업 지구 : 강계, 만포, 희천(내륙에 위치)→기계, 병기 등 군수 공업 집중
         ㉢ 신의주 공업 지구 : 신의주→기계, 제지, 섬유 공업
         ㉣ 청천강 공업 지구 : 안주, 박천→화학 공업
         ㉤ 해주 공업 지구 : 해주→제련, 시멘트, 비료 공업
       ④ 주요 도시                                                                             
          ㉠ 남포 : 평양의 외항, 육상·수륙 교통의 요지, 북한 제2의 도시  
          ㉡ 개성 : 고려의 도읍지(유적 분포), 고려 인삼, 개성상인, 서울에서 가장 가까운 북한                         도시
          ㉢ 신의주 : 압록강 하구의 국경 도시, 교통의 요지
 

 

◆ 문호를 개방하는 관북 지방

1. 풍부한 천연 자원
   (1) 동력 자원과 지하 자원                                                                
      ① 동력 자원
         ㉠ 수력 발전 : 유역 변경식 수력 발전(장진강, 부전강, 허천강) - 함경 산맥 지형을 이                              용하여 건설
         ㉡ 화력 발전 : 무연탄(고원 탄전), 갈탄(아오지, 회령) 이용
         ㉢ 원자력 발전 : 신포(우리 기술에 의해 건설 중) → 한반도 에너지 개발 기구(KEDO)
      ② 지하 자원
         ㉠ 철광석 : 무산, 이원 → 청진, 성진(김책)에서 제철소에서 제철, 일부 수출
         ㉡ 석탄 : 갈탄(회령, 아오지, 길주, 명천), 무연탄(고원 탄전)
         ㉢ 텅스텐, 흑연, 마그네사이트 등

   (2) 임산 자원과 수산 자원
      ① 풍부한 임산 자원
         ㉠ 목재 생산지 : 개마고원 일대의 침엽수림(우리나라 최대의 목재 생산지)
         ㉡ 운반 방법 : 삼림 철도(혜산선, 만포선), 뗏목
         ㉢ 목재 집산지 : 혜산, 길주(제재·제지 공업)
      ② 수산 자원
         ㉠ 동해 어장 : 한·난류가 교차(조경 수역) → 명태, 대구, 청어(한류성 어족) 등 수산 자                               원 풍부
         ㉡ 주요 어항 : 신포, 마양도, 원산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제가 중3이거든요(이아이디는엄마꺼오해ㄴㅡ,.ㅡ;;)

그런데

제가

중1기출문젤가지고있음

서든이란겜

아실꺼에여

거기서

크로노스†사신이라고

쳐보삼글구

친추ㄱㄱ

그담에ㅡ,.ㅡㅔㅡ,.ㅡㅡ,.ㅡ

ㅡ,.ㅡㅡ,.ㅡㅡ,.ㅡㅔ

디딤돌ㅡ,.ㅡㅡ,.ㅡㅔㅔㅔ

이라고ㅡ,.ㅡㅡ,.ㅡㅡ,.ㅡ

ㅡ,.ㅡㅡ,.ㅡㅡ,.ㅡㅡ,.ㅡ

귓말로ㅡ,.ㅡ

ㅇㅋ?ㅡ,.ㅡㅡ,.ㅡㅡ,.ㅡ

ㅋㅋㅡ,.ㅡㅡ,.ㅡㅡ,.ㅡㅡ,.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ㅡ,.ㅡㅡ,.ㅡㅡ,.ㅡㅡ,.ㅡ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ㅡ,.ㅡ

ㅡ,.ㅡㅡ,.ㅡ

ㅡ,.ㅡㅡ,.ㅡ

중1사회 요점정리좀 해주세요 디딤돌이요

중1사회 기말대비해서 요점정리좀 해주세요 기말이3일남았어요 빨리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출판사는 디딤돌이고 남부지방부터 일본까지에요 글구 중1음악도요 음악은...

중1사회 요점정리(8단원에서 10단원)

중1사회 요점정리좀 해주세요 범위는 8단원에서 10단원이고요 저희가 느려요 제발 답변좀 제 발 답 변 좀 해 주 세 요 [2학기 기말고사 대비 학습 ] 시험이 다가오고 많은...

중1 사회 요점 정리

중1 사회 요점정리좀 해주세요 중요한것은 빨간색으로 ㅋㅋ 1단원 만 요점정이해주세요 ㅋㅋ 내공은 당연 1학년때사회만100점맞고다신사람입니다(자랑하냐) 뭐...

중1사회요점정리

중1사회(미래앤) 1,2단원 요점정리좀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온리원 멘토입니다. 사회 요점정리가 필요하시군요~ 온리원 중등에서는 시험기간대비로 시험특강 강의를 수강할...

중1 사회 요점정리좀

중1 사회 요점정리좀 해주세요 ㅜㅅ ㅜ 출판사는 교학사이구 범위는 처음부터 동부유럽까지요 ㅇㅂㅇ (1) 자연 환경 가. 동남 및 남부 아시아의 지형 - 인도차이나 반도 : 산맥이...

중1사회 요점정리좀 해주세요

여러분!!사회 요점 정리좀 해주세요. (사회132쪽~250쪽 까지만 해주세요.감사내공,내공 다 겁니다.) 다른곳 써오셨으면 잘 해오셨어도 채택 않해드립니다!기간은 15일...

중1 사회 요점정리좀

중1 사회 요점정리좀 해주세요 되도록 빨리면 좋구요 출판사는 교학사에요 범위는 처음부터 동부유럽까지요 ㅇㅂㅇ 으흠 1, 높은 산지와 기름진 퇴적 평야 동남아시아...

중1 사회 2학기 요점정리좀 해주세요 ~

중1 사회 2학기 요점정리좀 해주세요 ~~ 혼자서 공부하려니 잘 안돼네요>?? ㅡㅡ;;... 요약 정리는 시중에 너무 많습니다. 선생님이 준다고 특별히 다른 것도 없고요. 이 내용을...

중1사회 요점정리

중1사회인데 요점정리좀 해주세요 범위는 오스트레일리아~~~~~송나라 까지요 (1)... 매년 일정한 간격으로 버람하면서, 계획된 삶을 가능하게 주었던 나일 강은 이집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