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그잼포유 중2 영어 답지

이그잼포유 중2 영어 답지

작성일 2023.06.27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사진에 나와있는 Grammar Build Up 객관식 답지 찾아주세요 !! 능률이고 김성곤 입니다 3단원 현재완료랑 쏘댓이요!



#이그잼포유 중2 답지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19년째 선생님도 매월 시험보는 목동영어학원 길벗아카데미에서 영어를 가르치고 있는

이가람 선생님입니다.

이그잼포유 중2 능률(김성곤) Grammar Build Up 객관식 답지입니다.

1) ①: 전에 이구아나를 본적이 있다고 경험을 나타내는 현재완료(have p.p.) 시제로 나타내는 것이 적절하다.

2) ⑤: 현재완료[have+p.p.]는 과거의 동작이나 상태가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낸다.

3) ③: (A) 과거의 특정시점을 나타내는 last가 있으므로 빈칸에는 과거동사가 적절하다.

(B) 일본에 가 있는 상태로 지금은 여기 없으므로 빈칸에는 현재완료 has gone이 적절하다.

4) ③: 현재완료의 경험 용법은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경험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 적이 있어’라고 할 때 쓴다.

5) ⑤: 과거부터 현재까지 이르는 시간 동안 계속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현재완료(have p.p.)시제로 영작한다.

since+시점 / for+기간

6) ⑤: 현재완료(have p.p.) 시제는 과거에 시작된 행위가 현재까지 영향을 미칠 때 사용하며, 주어진 문장은 계속적 용법이다.

7) ⑤: ① I have been to London.

② Have you seen the movie X-Men?

③ We have visited New York twice.

④ She has eaten Italian food before.

8) ⑤: 현재완료(have p.p.) 시제는 과거의 사건이 현재까지 어떤 관련이 있을 때 사용하는 시제로 5년 전에 이사 와서 지금까지 뉴욕에 살고 있으므로 현재 완료 시제와 ‘~동안’의 의미인 for를 사용하여 영작한다.

9) ②: ① Johnny never has been → Johnny has never been

⑤ has yet finished → has already finished

③, ④ yesterday, ago와 같이 명백한 과거를 나타내는 부사는 현재완료와 함께 쓰지 못한다.

10) ③: yesterday, ago와 같이 명백한 과거를 나타내는 부사는 현재완료와 함께 쓰지 못한다.

11) ②: ① does it has rained → has it rained

③ doesn’t have eaten → has not eaten

④, ⑤ yesterday, ago와 같이 명백한 과거를 나타내는 부사는 현재완료와 함께 쓰지 못한다.

12) ④: ‘언제’라는 특정 시점을 묻는 의문사 when은 현재완료와 함께 쓸 수 없다.

13) ③: ① has just finish → has just finished

④ don‘t have eaten → have not eaten

②, ⑤ yesterday, ago와 같이 명백한 과거를 나타내는 부사는 현재완료와 함께 쓰지 못한다.

14) ③: yesterday, ago와 같이 명백한 과거를 나타내는 부사는 현재완료와 함께 쓰지 못한다.

15) ①: ②, ④ last night, ago와 같이 명백한 과거를 나타내는 부사는 현재완료와 함께 쓰지 못한다.

③ ‘언제’라는 특정 시점을 묻는 의문사 when은 현재완료와 함께 쓸 수 없다.

⑤ 시간의 접속사 When이 이끄는 부사절은 보편적으로 어떤 특정한 시점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으므로 과거시제와 같이 쓴다.

16) ⑤: yesterday, ago와 같이 명백한 과거를 나타내는 부사는 현재완료와 함께 쓰지 못한다.

17) ④: yesterday, ago와 같이 명백한 과거를 나타내는 부사는 현재완료와 함께 쓰지 못한다.

18) ②: since three months → for three months

19) ②: ①, ③, ⑤ yesterday, ago와 같이 명백한 과거를 나타내는 부사는 현재완료와 함께 쓰지 못한다.

④ He has traveled not → He has not traveled

20) ③: Have you cutten → Have you cut

21) ②: have been → went

현재완료 시제는 과거를 나타내는 yesterday, last, ago등과 함께 쓸 수 없다.

22) ④: ① ride → ridden

② gone → been

③ just have → have just

⑤ have seen → saw

23) ③: have ridden → rode

현재완료 시제는 과거를 나타내는 yesterday, last, ago등과 함께 쓸 수 없다.

24) ②: ① I’ve been → It has been

③ finishes → finished

④ knew → known

⑤ meet → met

25) ②: 현재완료 시제는 명백한 과거를 나타내는 yesterday, last night, ago 등과 함께 쓸 수 없다.

has arrived → arrived

26) ⑤: ① → before

② Do you have → Have you

③ has have → has had

④ tasting → tasted

27) ②: ①, ③, ⑤ 명백한 과거의 시점을 묻는 when이나 과거표현 단어인 yesterday, ago, last 등의 단어와 현재완료는 함께 쓸 수 없다.

④ since → for

since+시점 / for+기간

28) ③: gave → given

29) ①: yesterday, ago와 같이 명백한 과거를 나타내는 부사는 현재완료와 함께 쓰지 못한다.

30) ②: Have you did → Have you done

31) ⑤: 현재완료 시제는 명백한 과거를 나타내는 yesterday, last night, ago 등과 함께 쓸 수 없다.

has arrived → arrived

32) ③: has spreaded → has spread

33) ①: has wrote → has written

34) ②: have did → have done 또는 did

35) ②, ⑤: 명백한 과거의 시점을 묻는 when이나 과거표현 단어인 yesterday, ago, last 등의 단어와 현재완료는 함께 쓸 수 없다.

② → When did the Korean War break out?

⑤ ago 삭제

36) ②, ⑤: ① gone → been

③ eaten not → not eaten

④ don’t have → have not

37) ④: ⓐ It rained → It has rained

ⓔ yesterday, ago와 같이 명백한 과거를 나타내는 부사는 현재완료와 함께 쓰지 못한다.

38) ①: ㉢ finish → finished

㉣ have → has

㉤ has lived → lived

㉥ I’ve been → I went

39) ③: ⓑ, ⓖ 명백한 과거의 시점을 묻는 when이나 과거표현 단어인 yesterday, ago, last 등의 단어와 현재완료는 함께 쓸 수 없다.

ⓘ have been to → have gone to

have been to ~에 갔다 온 적이 있다

have gone to ~에 가버렸다

40) ③: → He has seen Boa once.

→ Suji has just finished cleaning the room.

→ David has a few books to read.

→ There is a little bread on the table.

→ When did he call her?

→ Yuna has won a prize in the speaking contest.

41) ①: c. have been held → were held e. has 삭제

g. have 삭제

42) ②: ⓐ has not woke up → has not woken up

ⓒ has been → was

ⓓ did you met → did you meet

ⓔ Daniel have read → Daniel has read

ⓖ, ⓙ yesterday, ago와 같이 명백한 과거를 나타내는 부사는 현재완료와 함께 쓰지 못한다.

43) ③: 완료(과거에 시작한 일이 현재에 끝난 것을 나타낼 때 쓴다.), 나머지는 계속(과거에 일어났던 일이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는 것을 나타낼 때 쓴다.)

44) ①: 완료(과거에 시작한 일이 현재에 끝난 것을 나타낼 때 쓴다.), 나머지는 계속(과거에 일어났던 일이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는 것을 나타낼 때 쓴다.)

45) ④: 경험(과거에서 현재까지의 경험을 나타낼 때 쓴다.) ①, ③ 완료(과거에 시작한 일이 현재에 끝난 것을 나타낼 때 쓴다.) ② 계속(과거에 일어났던 일이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는 것을 나타낼 때 쓴다.) ⑤ 결과(과거에 일어난 일이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나타낼 때 쓴다.)

46) ③: 경험(과거에서 현재까지의 경험을 나타낼 때 쓴다.) ① 완료(과거에 시작한 일이 현재에 끝난 것을 나타낼 때 쓴다.) ②, ④, ⑤ 계속(과거에 일어났던 일이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는 것을 나타낼 때 쓴다.)

47) ①: 계속(과거에 일어났던 일이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는 것을 나타낼 때 쓴다.) ②, ③ 완료(과거에 시작한 일이 현재에 끝난 것을 나타낼 때 쓴다.) ④ 경험(과거에서 현재까지의 경험을 나타낼 때 쓴다.) ⑤ 결과(과거에 일어난 일이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나타낼 때 쓴다.)

48) ①: 현재완료(have p.p.) 시제는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는 시간 동안의 경험, 계속, 완료, 결과의 의미를 나타낸다. 보기문은 ‘경험’을 나타낸다.

②, ③, ④ 계속 ⑤ 완료

49) ①: 현재완료(have p.p.) 시제는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는 시간 동안의 경험, 계속, 완료, 결과의 의미를 나타낸다. 보기문은 ‘경험’을 나타낸다.

② 결과 또는 완료 ④ 결과 ③ 계속 ⑤ 완료

50) ①: 현재완료(have p.p.) 시제는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는 시간 동안의 경험, 계속, 완료, 결과의 의미를 나타낸다. 보기문은 ‘완료’를 나타낸다.

②, ⑤ 결과 ③ 경험 ④ 계속

51) ④: 현재완료(have p.p.) 시제는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는 시간 동안의 경험, 계속, 완료, 결과의 의미를 나타낸다. 보기문은 ‘경험’을 나타낸다.

① 완료 ②, ③ 계속 ⑤ 결과

52) ④: 현재완료(have p.p.) 시제는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는 시간 동안의 경험, 계속, 완료, 결과의 의미를 나타낸다. 보기문은 ‘경험’을 나타낸다.

① 결과 ②, ③ 완료 ⑤ 계속

53) ②: 현재완료(have p.p.) 시제는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는 시간 동안의 경험, 계속, 완료, 결과의 의미를 나타낸다. 보기문은 ‘결과’를 나타낸다.

①, ④ 경험 ③ 완료 ⑤ 계속

54) ②: 현재완료(have p.p.) 시제는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는 시간 동안의 경험, 계속, 완료, 결과의 의미를 나타낸다. 보기 문은 ‘경험’을 나타낸다.

①, ③ 완료 ④ 결과 ⑤ 계속

55) ①: 현재완료(have p.p.) 시제는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는 시간 동안의 경험, 계속, 완료, 결과의 의미를 나타낸다. 보기 문은 ‘결과’를 나타낸다.

② 경험 ③ 계속 ④, ⑤ 완료

56) ⑤: 현재완료(have p.p.) 시제는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는 시간 동안의 경험, 계속, 완료, 결과의 의미를 나타낸다. 보기 문은 ‘계속’을 나타낸다.

나머지는 경험을 나타낸다.

57) ①: 현재완료(have p.p.) 시제는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는 시간 동안의 경험, 계속, 완료, 결과의 의미를 나타낸다. 보기 문은 ‘경험’을 나타낸다.

나머지는 계속의 의미를 나타낸다.

58) ①: 현재완료(have p.p.) 시제는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는 시간 동안의 경험, 계속, 완료, 결과의 의미를 나타낸다. 보기 문은 ‘계속’을 나타낸다.

② 완료 ③, ⑤ 경험 ④ 결과

59) ①: 현재완료(have p.p.) 시제는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는 시간 동안의 경험, 계속, 완료, 결과의 의미를 나타낸다. 보기 문은 ‘완료’를 나타낸다.

② 결과 ③, ⑤ 계속 ④ 경험

60) ①: 현재완료(have p.p.) 시제는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는 시간 동안의 경험, 계속, 완료, 결과의 의미를 나타낸다. 보기 문은 ‘계속’을 나타낸다.

② 완료 ③, ④ 결과 ⑤ 경험

61) ⑤: 현재완료(have p.p.) 시제는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는 시간 동안의 경험, 계속, 완료, 결과의 의미를 나타낸다. 보기 문은 ‘경험’을 나타낸다.

⑤ 결과

62) ③: 현재완료(have p.p.) 시제는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는 시간 동안의 경험, 계속, 완료, 결과의 의미를 나타낸다. 보기 문은 ‘계속’을 나타낸다.

③은 완료를 나타낸다.

63) ④: 계속(과거에 일어났던 일이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는 것을 나타낼 때 쓴다.), 나머지는 경험(과거에서 현재까지의 경험을 나타낼 때 쓴다.)

64) ②, ④: 현재완료(have p.p.) 시제는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는 시간 동안의 경험, 계속, 완료, 결과의 의미를 나타낸다.

① 경험 ②, ④ 계속 ③ 결과 ⑤ 완료

65) ⑤: 결과-경험

① 완료 ②, ④ 계속 ③ 결과

66) ②: 보기문장의 순서대로 ‘계속/계속/경험/완료/경험’의 의미로 해석된다.

67) ③: 현재완료(have p.p.) 시제는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는 시간 동안의 경험, 계속, 완료, 결과의 의미를 나타낸다. 보기 문은 ‘계속’을 나타낸다.

ⓐ, ⓔ 경험 ⓑ 완료

1) ②: so+형용사+that+주어+동사 - 매우 ~해서 ~하다

2) ③: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could] 구문은 ‘너무 ~해서 ...하다’는 원인과 결과를 나타내는 구문으로 so와 that 사이에는 형용사나 부사를 쓴다. beauty는 명사로 빈칸에 들어갈 수 없다.

3) ②: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t/couldn't]

‘너무 ~해서 ...할 수 없다’

4) ①: so 형용사/부사 that 주어 + 동사 - 너무 ~해서 … 하다

5) ①: so 형용사/부사 that 주어 + can't ~ = too 형용사 /부사 to 동사원형 - 너무 (형용사/부사) 해서 ~할 수 없는

6) ②: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could] 구문은 ‘너무 ~해서 ...하다’는 원인과 결과를 나타내는 구문으로 so 다음에 형용사나 부사로 원인을 쓰고 that이하에는 ‘주어+동사’형태의 결과를 쓴다.

7) ⑤: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could] 구문은 ‘너무 ~해서 ...하다’는 원인과 결과를 나타내는 구문으로 so 다음에 형용사나 부사로 원인을 쓰고 that이하에는 ‘주어+동사’형태의 결과를 쓴다.

8) ③: so+형용사/부사+that… 너무~해서 …하다

9) ④: so+형용사/부사+that 너무~해서 ..하다

10) ②: so 형용사/부사 that 주어 can't … 너무 ~해서 … 할 수 없다. (can't의 시제 주의할 것)

11) ②: so 형용사/부사 that 주어 can't … 너무 ~해서 … 할 수 없다. (can't의 시제 주의할 것)

12) ③: so 형용사/부사 that ~ /

such a 형용사+명사 that ~ 너무 …해서 ~하다

13) ⑤: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t/couldn't] 구문은 ‘너무 ~해서 ...할 수 없다’라는 뜻의 이유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접속사 because가 알맞다.

14) ①, ③, ④

: too+형용사+to부정사 (너무 ~해서 …할 수 없다)

= so+형용사+that+주어+can't …

형용사+enough+to부정사 (~할 만큼 충분히 …하다)

= so+형용사+that+주어+can …

15) ⑤: ← so that 주어 can ~: ~하기 위하여

so 형용사/부사 that ~: 너무 (형용사/부사) 해서 ~하다

16) ③: so+형용사+that+주어+동사

매우 ~해서 ...하다

17) ①, ④, ⑤

: • I was very sick yesterday.(원인)

• I couldn’t go to school.(결과)

① 나는 어제 너무 아팠기 때문에, 학교에 가지 못했다.

④ 나는 어제 너무 아팠다. 그래서 학교에 가지 못했다.

⑤ 나는 어제 너무 아파서 학교에 가지 못했다.

[오답]

② 나는 어제 너무 아팠지만 학교에 갈 수 있었다.

③ 비록 나는 어제 너무 아팠지만, 학교에 갔다.

18) ③: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could]

‘매우 ~해서 ...할 수 있다’

19) ⑤: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t/couldn't]

‘너무 ~해서 ...할 수 없(었)다’

20) ②: [too+형용사/부사+to+V] ‘너무 ~해서 ...하지 못하다’

21) ④: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t/couldn't]

‘너무 ~해서 ...할 수 없(었)다’

22) ②: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t/couldn't]

‘너무 ~해서 ...할 수 없(었)다’

23) ③: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t/couldn't]

‘너무 ~해서 ...할 수 없(었)다’

24) ⑤: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t+동사원형]

‘너무 ~해서 ...하지 못하다/할 수 없다’

25) ④: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could] 구문은 ‘너무 ~해서 ...하다’는 원인과 결과를 나타내는 구문으로 so 다음에 형용사나 부사로 원인을 쓰고, that 이하에 결과를 쓴다.

26) ④: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could] 구문은 ‘너무 ~해서 ...하다’는 원인과 결과를 나타내는 구문으로 so 다음에 형용사나 부사로 원인을 쓰고, that 이하에 결과를 쓴다.

27) ⑤: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t/couldn't]

‘너무 ~해서 ...할 수 없다’

= [too+형용사/부사+to+동사원형]

28) ②: [too+형용사/부사+to+V] ‘너무 ~해서 ...하지 못하다’

29) ⑤: [too+형용사/부사+to+V] ‘너무 ~해서 ...하지 못하다’

=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t(couldn’t)+동사원형]

30) ③: too+형용사/부사+to+V] ‘너무 ~해서 ...하지 못하다’

=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t(couldn’t)+동사원형]

31) ④: [too+형용사/부사+to+V] ‘너무 ~해서 ...하지 못하다’

=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t+동사원형]

32) ②, ⑤

: "그녀는 그곳에 너무 늦게 도착해서 공연을 볼 수 없었다."

「so ~ that can't …」 너무 ~해서 …할 수 없다 = too ~ to …

33) ⑤: [too+형용사/부사+to+V] ‘너무 ~해서 ...하지 못하다’

=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t+동사원형]

34) ⑤: [too+형용사/부사+to+V] ‘너무 ~해서 ...하지 못하다’

=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t+동사원형]

35) ⑤: [too+형용사/부사+to+V] ‘너무 ~해서 ...하지 못하다’

=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t+동사원형]

36) ③: [too+형용사/부사+to+V]

‘너무 ~해서 ...할 수 없다’

=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t(couldn’t)~]

37) ④: [too+형용사/부사+to+V] ‘너무 ~해서 ...하지 못하다’

=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t+동사원형]

38) ④: 사랑이는 4살이어서 운전을 할 수 없다는 의미이므로 [too+형용사/부사+to+V] 구문(‘너무 ~해서 ...하지 못하다’)을 사용해서 영작한 문장이 의미상 적절하다.

39) ①: [too+형용사/부사+to+V] ‘너무 ~해서 ...할 수 없다’

=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t(couldn’t)~]

40) ②, ⑤

: ‘박스가 너무 무거워서 Mike가 들 수 없다’는 내용으로 [too+형용사/부사+to+V] 구문을 이용하거나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t~] 구문을 이용하여 영작할 수 있다.

41) ③, ④

: → 그는 매우 나이가 들었기에 운전을 할 수가 없다.

= 그는 너무 나이가 들어서 운전을 할 수가 없다 = 그는 운전을 하기에 너무 나이가 들었다.

42) ⑤: [too+형용사/부사+to+V] 구문은 ‘너무 ~해서 ...할 수 없었다’라는 뜻으로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t~] 구문으로 바꿔 쓸 수 있다.

43) ②: [too+형용사/부사+to+V]

‘너무 ~해서 ...할 수 없다’

44) ⑤: [too+형용사/부사+to+V] 구문은 ‘너무 ~해서 ...할 수 없다’라는 뜻으로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t~]로 바꿔 쓸 수 있다.

45) ①, ④

46) ②: [enough+to A] ‘A 하기에 충분한’

=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could]

‘매우 ~해서 ...할 수 있다’

47) ③: [형용사/부사+enough+to부정사] ‘너무 ~해서 ...하다’

=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could]

48) ②, ⑤

: [enough+to A] ‘A 하기에 충분한’

=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could]

‘매우 ~해서 ...할 수 있다’

49) ①, ③

: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t/couldn't]

‘너무 ~해서 ...할 수 없다’

= [too+형용사/부사+to+V]

for Dad는 to부정사인 to drink의 의미상주어이다.

50) ④: so + 형용사/ 부사 that 주어 can't(couldn’t)

= too 형용사/ 부사 to 동사원형- 너무 ~해서 … 할 수 없다

51) ②, ④

: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t/couldn't] ‘너무 ~해서 ...하지 못하다’

= [too+형용사/부사+to+V]

52) ③: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t/couldn't]

‘너무 ~해서 ...하지 못하다’

= [too+형용사/부사+to+V]

53) ②: 차례대로 busy – boring – bright – delicious – interesting 이 자연스럽다. 따라서 ‘expensive’이 다섯 개의 문장의 빈칸에 들어가기에 어색한 단어이다.

54) ⑤: ① cannot → couldn’t

② can → cannot

③ could → could not

④ does → did

55) ①, ④

: ② heavily → heavy

③ very → so

⑤ can't → couldn't

56) ④: noise → noisy

57) ⑤: could afford → could not afford

58) ②: heavy → heavily

59) ④: can understand → cannot understand

60) ①, ⑤

: ① so large → too large

⑤ can't → couldn't

abstract 추상적인

61) ③: that had → that he had

62) ④: ① too → so

② sell → were sold

③ it 삭제

⑤ so → too

63) ①, ④

: ② too careful → so careful

③ drink → drink it

⑤ was so → was such

64) ①: ⓑ open → opened

ⓒ can’t → couldn’t

ⓓ so as to → so that

65) ②: ⓑ 주절의 동사가 과거(saved)이므로 that절의 동사도 과거형 could로 바꿔야 한다.

ⓓ for him은 문맥상 불필요하며, to부정사의 의미상 주어는 to 앞에 위치한다.

ⓔ 주절의 시제가 과거(was)이므로 that절의 시제도 과거 could not가 되어야 한다.

66) ②: ⓐ deliciously → delicious

ⓑ lift → lift it

ⓒ can’t → couldn’t

ⓔ buy → buy it

67) ②

68) ④: ‘그녀는 너무 불안해서 잘 수 있다.’는 의미이고 나머지는 모두 ‘~잘 수 없다’는 의미이다.

69) ⑤: ← even though 비록 ~ 일지라도

70) ④: ‘~해서 ...할 수 있다’

나머지는 ~해서 ... 할 수 없다‘

71) ④: ④번 문장 중 ‘so that’이하가 나타내는 절의 의미는 ‘목적’을 나타내는 부사절로 다른 문장들과는 의미의 차이가 있다. 나머지는 모두 ‘차가 비싸서 살 수가 없었다.’의 의미이다.

72) ③: ‘재킷을 입을 수 없기 때문에 그녀는 매우 뚱뚱하다.‘ 나머지는 ’그녀가 매우 뚱뚱해서 재킷을 입을 수 없다.‘의 의미.

73) ⑤: ⑤번 보기를 제외하고 모두 ‘그녀가 너무 정직해서 거짓말을 할 수 없었다’라는 뜻의 문장이다.

74) ③: ③번 보기를 제외하고 나머지 보기는 모두 ‘나는 아침을 먹기 위해서 일찍 일어났다’의 의미를 나타낸다. ③번 보기는 ‘나는 매우 일찍 일어나서 아침을 먹을 수 있었다’라는 뜻을 나타낸다.

75) ⑤: ⑤번 보기는 ‘그가 긴장했을 때, 그는 말하지 않으려고 노력했다’라는 뜻이다. 나머지 보기는 모두 ‘그는 너무 긴장해서 한 마디도 할 수 없었다.’란 뜻이다.

76) ③: ‘~보기에 충분한‘이라는 긍정의 의미이고 나머지는 ’~볼 수 없다‘는 부정의 의미이다.

77) ③: → Because I was so busy, I didn't call you yesterday. or I didn't call you because I was so busy.

78) ②: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could] ‘매우 ~해서 ...하다’는 [enough to+동사원형]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79) ①: ② She is too old to carry the bag.

= She is so old that she cannot carry the bag.

③ They are too short to press the button.

= They are so short that they cannot press the button.

④ The man was too busy to have lunch.

= The man was so busy that he could not have lunch.

⑤ The elephant is too big to cross the bridge.

= The bridge is not big enough for the elephant to cross.

80) ②, ⑤

: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could] ‘너무 ~해서 ...하다’는 [enough to+동사원형]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① very cold → so cold

③ enough to → (in order) to

④ , so that → because

81) ②: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could]

‘매우 ~해서 ...할 수 있다’

[too+형용사/부사+to+V]

‘너무 ~해서 ...할 수 없다’

82) ②: → She is too busy to meet her boyfriend. (그녀는 너무 바빠서 남자친구를 만날 수 없다.) She is not too busy to meet her boyfriend. (그녀는 남자친구를 만날 수 없을 만큼 바쁘지 않다.) ⑤ to 부정사 이하를 누가 했는지에 대한 주체를 표현하고 싶을 때, to부정사 앞에 for+목적격(의미상의 주어)을 사용함.

83) ④: too ~ to부정사 너무 ~해서 …할 수 없다

(= so ~ that+주어+can't …)

84) ①: can't → can

85) ⑤: might not pass → might pass

86) ④: couldn’t → could

87) ②: → She swam every day in order to stay healthy

88) ③: could play → could not play

89) ⑤: ‘그녀의 노래는 너무 아름다워서 우리는 말하는 것을 멈추었다.’와 ‘그녀의 노래는 너무 아름다워서 우리는 말하는 것을 멈출 수 없었다.’의 상반된 뜻이다.

90) ⑤: ① very good → so good

② could solve → could not solve

③ she answered → she answers

④ nervous enough → too nervous

열공하시고,

저희 길벗아카데미에 대한 내용도 한번 보시고 오셔서 같이 공부하면 좋겠습니다!

단어공부는 길벗아카데미의 특징입니다.

6일만에 1회독하는 암기비법

길벗아카데미 영어과 송지영 부팀장 선생님입니다.

목동 목운중학교 수학내신전문학원, 영어내신전문학원, 국어내신전문학원 목동 길벗아카데미는 선생님도 매월 시험보는 학원 길벗아카데미 목동수학내신전문학원, 목동영어내신전문학원 목동국어내신전문학원에서 수업을 듣고 싶으면 전화하여 상담받고 학생의 레벨에 맞는 반을 배정받아 수업을 들어보세요.

실력이 검증된 선생님이 직강하는 수업으로 풀이 과정과 학생의 수준에 맞춰 내신과 수능 시험 출제률과 난이도를 설정하여 설명하니까 학생들의 이해도와 만족도가 좋고 성적도 상위권으로 향상됩니다.

목동 길벗아카데미가 책임지고 내신성적, 수능성적 모두 올려줍니다.

강서고 교장, 교감을 하셨던 선생님께서 길벗의 교육관으로 초빙되어 학생들의 진로진학 및 공부의 습관법에 대하여 상담해주고 있기 때문에 진로에 대한 고민도 해결할 수 있어 다른 학원에서 하지 못하는 것을 길벗에서는 실제 학생들을 위해 차별화된 학생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어 좋습니다.

100% 만족하는 목동 대표학원 길벗아카데미를 추천합니다!

길벗아카데미는 16대의 학원버스가 서울 대부분 지역(강서, 영등포, 광명, 마포 등)에 운행되고 있어 학생들이 안전하게 학원에 올 수 있고 귀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학생들의 안전을 위해 차량도우미가 탑승하여 학생들의 안전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물론 차량 이용비는 무료입니다.

* 목동대표학원: 길벗아카데미 목동 중고등학교 수학영어국어내신전문학원

* 학원주소: 서울 양천구 목동중앙서로 22-1

* 상담전화: 02-2062-1858

찾아오시는 길

이그잼포유 수동태 답지

친구가 학원에서 받아온 이그잼포유 수동태 복사해서 풀었는데 채점해보고 싶어서 답지구해요 중2이고 천재 이재영입니다 죄송하지만, 이용자분이 요청하신 내용은 수동태...

이그잼포유 중2 기츨독해 600제 답지

이그잼포유 사이트에 있는 중2 기출독해 600제 답지 좀 주세요... 안녕하세요 :) inkee22 입니다. 해당 도서는 온라인으로 답지 제공이 되지 않습니다.

중2 영어 이그잼포유 해설

... 목동중 내신전문 길벗아카데미에서 영어를 가르치고 있는 윤지혜 강사입니다. 중2 80점 이상 대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답은 2번입니다. to부정사는 명사적, 형용사적...

이그잼포유 중1 영어답지

... 또한, 학교나 도서관에서 해당 책의 답지를 찾을 수도 있습니다. 이외에도 영어 문법에 관한 다른 질문이 있다면 도움을 드릴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