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화질소 산소 질소 끓는점

일산화질소 산소 질소 끓는점

작성일 2024.04.08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질소->산소->일산화질소 순서로 끓는점이 높아지던데 일산화질소가 불안정한 물질이니까 제일 먼저 끓어야하지 않나요...? 왜 저 순서가 되나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일산화질소에서 산소와 질소 사이의 결합이 더 강해서 그래요.

## ️ Answer

이러한 순서는 각 분자의 분자량과 분자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됩니다. 일산화질소 분자(N2O)의 분자량은 44g/mol로 질소(N2, 28g/mol)와 산소(O2, 32g/mol)보다 높습니다. 따라서 일산화질소는 끓는 점이 더 높게 됩니다. 또한, 일산화질소는 산소와 질소의 결합 형태로 존재하며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어서 더 안정적입니다. 그러나 일산화질소는 높은 온도에서 분해되어 질소와 산소로 분해되므로 더 높은 온도에서 끓게 됩니다.

## Sources

1.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Nitrogen And Nitrous Oxide?](https://analoxgroup.com/blog/whats-the-difference-between-nitrogen-and-nitrous-oxide)

2. [Nitrous oxide](https://en.wikipedia.org/wiki/Nitrous_oxide)

3. [Oxides of Nitrogen (12.1.3) | CIE A-Level Chemistry Notes](https://www.tutorchase.com/notes/cie-a-level/chemistry/12-1-3-oxides-of-nitrogen)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그건 분자의 극성에 의한 차이입니다.

질소와 산소는 비극성 분자입니다. 다만 질소보다는 산소분자가 좀더 무겁기 때문에 끓는점이 아주 조금이나마 높은것이고요...

일산화질소의 경우는 질소와 산소간에 발생하는 약간의 전기음성도 차이에 의해 약하게나마 극성을 가집니다.

따라서 일산화질소 분자끼리 정전기적 인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끓는점이 다소 높게 나타납니다.

일산화질소산소가 반응하여 이상화질

일산화질소산소가 반응하여 이상화질소 가 될려면 흡열반응이므로 주위의 온도가 매우 높아야 하는 걸로 아는데 이때 반응속도가 느린지 빠른지 궁금합니다...

산소질소끓는점

질소끓는 점은 -196℃이고 산소끓는점은 -183℃이다. 맞나요? 맞습니다. 산소끓는점은 -182.97℃이고요 질소끓는점은 -195.8℃입니다. 근데 반올림하면 -183℃ -196...

산소는 왜 질소보다 끓는점이 높나요?

... 산소질소간의 끓는점 차이는 분자량의 차이때문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산소(O2) 분자량 32g/mol, 질소(N2) 분자량 28g/mol 산소(O2)의 분자량이 질소(N2)...

산소질소끓는점

... 네, 틀리고요, 산소의 꿇는점이 질소보다 높아서 분자간 인력이 세다고 해야 합니다. 끓는점이 높다는 것은 분자간의 인력을 끊기 위하여 더 많은 열 에너지를...

액체질소끓는점이 액체산소의...

액체질소끓는점이 액체산소끓는점보다 낮은이유는 무엇입니까? 알려주세요~~ 분자량이 낮기 때문 입니다 H2의 경우 액화 시키지 않습니다 액화온도가 액체 질소 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