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화제랑 환원제에 대한 과학질문

산화제랑 환원제에 대한 과학질문

작성일 2020.12.27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1. 어째서 SO2가 3S 랑되고 2H2O 하고는 하지 않는지, 어떻게 하면 찾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문제를 풀 때 어떻게 연결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2. 저기보면 S 는 S 끼리 되는데 SO2 에 O 와 2H2O 의 O 하고는 왜 안되는 건가요?

3. PH에 대한 질문인데요, 어째서 (2)는 (1)과 달리 H+ 를 구하는게 아닌 왜 OH- 를 구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친절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2번 합쳐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질문하신 과학파트는 화학1 산화 환원파트인것 같은데요, 저기 기준으로 말씀드리자면 산화 환원은 그 물질의 산화수가 변해야, 즉 산화수가 증가하면 산화, 감소하면 환원된 것으로 봅니다. 보내주신 사진에 있는 두 식에서, 산화수가 변하는 원자는 첫번째 식에서는 S, 두번째 식에서는 S와 Cl입니다. H와 O는 반응전후 산화수가 변하지 않으므로 산화, 환원되었다고 보지 않는 것이죠.

3번질문에 관해서는 알아두셔야 하는 개념이 있습니다.

섭씨 25도에서 pH와 pOH의 합은 항상 14입니다. 첫번째 문제는 염산의 몰농도를 주었으므로 수용액상에서 수소이온의 몰농도를 구할수 있어서 바로 pH를 구했죠. 하지만 두번째 문제는 수산화칼륨의 몰농도를 주어서 문제에서 우리가 알 수 있는 정보는 수산화이온의 농도입니다. 그러므로 수산화이온의 농도를 이용하여 pOH값을 먼저 구한뒤, pH + pOH = 14임을 이용해서 pH값을 구해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