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3 과학교과서에 "공기중에서 나무

중 3 과학교과서에 "공기중에서 나무

작성일 2019.06.28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중 3 과학교과서에 "공기중에서 나무를 연소시키면 재만 남고 이산화탄소와 수증기는 날아가고 질량이 감소하는것처럼 보인다"라는 내용과 " 구리를 가열하면 공기중의 산소와반응하여 질량이 증가한다"는 내용이 있는데요 질문이 있습니다.
1) 왜 나무는 연소한다고 하고, 구리는 가열한다는 말을 쓰는건가요??

2) 둘다 열을 가해 산소와 반응하는것인데 왜 나무는 이산화탄소와 수증기가 날아가서 질량이 감소하고, 금속은 산소가 붙어서 질량이 증가하나요??


#중 3 과학 교과서 #중 3 과학 비상 교과서 pdf #중 3 과학 교과서 비상 #중 3 수학 #중 3 과학 #중 3 수학 교과서 #중 3 사회 교과서 #중 3-1 쎈 답지 #중 3 역사 비상 교과서 pdf #중 3 영어 교과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가열은 열을 가한다는 의미로 넓은 의미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연소는 발열과 발화를 수반하는 산화반응으로 말그대로 불붙어서 타는것을 의미합니다.

구리에는 열을 가한다고 하더라도 불이 붙으며 탄다기보다는 표면이 그을릴 뿐이죠

2)

이산화 탄소와 수증기는 기체입니다.

가열할경우 산소가 붙는건 맞는데 날아가 버리기 때문에 질량이 감소합니다.

하지만 구리의 경우 가열하게되면 산화구리가 되는데

이또한 고체입니다.

구리에 붙어있기 때문에 산소가 붙어서 질량이 올라가는 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