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1과학-열의 이동(복사) 문제

중1과학-열의 이동(복사) 문제

작성일 2016.10.3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음...제목 그대로 열의 이동(복사)에 관한 문제 7개 좀 알려주실수 있으신가요오.....

(문제집에 있는 문제도 되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일상생활 속의 전도,대류,복사 실험

 

 *** 실험동기 : 이제 가을이 깊었다. 낮에는 햇변이 내리쬐니까 더울 때도 있지만, 밤이 되니까 복사냉각이 심하여 춥기까지 하다. 즉 일교차가 심하여 밤에는 난방을 한두번 한 뒤에 자야할 때가 되었다. 그러면 난방(보일러 가동)을 하면 어떤 원리로 실내 특히 방안의 바닥과 방의 기온이 올라가는 지를 알고 싶어졌다.

 

***실험방법 : 방문과 창문을 모두 닫는다. 보일러 가동하기 전의 방바닥 온도와 방안의 온도를 잰다. 그런 뒤, 보일러를 가동한다. 보일러 가동 시간의 흐름에 따른 방바닥 온도와 방안의 온도를 측정한다. (측정값은 근삿값이다.) 그러면서 열의  전도, 대류, 복사에 관한 추리를 한다. 보일러 가동시간은  30분 정도로 제한한다.

 

***실험준비물 : 기온계 1개 (*2개 있으면 더 편함^^ 최대 3개면 더 좋으나 간단히 갑시다.ㅎ), 노트, 필기구,

 

***실험수행 :

1. 낮에는 전혀 보일러 가동을 하지 않는다.

2. 저녁 동안에 환기를 최대로 하여 실내기온을 바깥과 비슷하게 내린다.

3. 저녁 7시 경부터 실험에 들어간다.

4. 방문과 창문을 모두 닫는 뒤, 보일러 가동하기 전의 방바닥 온도와 방안의 온도를 측정한다.

5. 측정방법은 기온계(알코올 온도계)의 구부(球部 : 둥근 부분)을....

 ㄱ. 방바닥은 구부를 바닥에 댄 뒤, 손수건으로 덮은 뒤 5분 정도 있다가 온도를 잰다.

 ㄴ. 방안 기온은 벽에는 기온계가 닿지 않도록 하여 머리 키높이 정도와 바닥 위 20~30cm 정도에서 각각 잰다.

 6. 보일러 가동을 하면서 바닥과 방안 기온을 잰다. (온도계가 하나 뿐이면 미리 그릇에 담아 둔 수돗물을 넣어 온도를 내린 뒤에 휴지로 물기를 깨끗이 닦은 뒤 온도를 측정한다.)

 7. 실험하면서 잰 온도를 노트에 적는다.

 

 ***실험결과 추리하기 :

  보일러 가동을 하면, 도시가스(주성분은 메탄가스)연소 => 연소열 발생 => 보일러 안의 배관의 물을 데움(열의 전도) => 배관의 물이 전기모터에 의해서 순환 => 방바닥 배관의 열이 방바닥으로 전달(열의 전도) => 배관 사이의 방바닥도 열이 전달됨(열의 전도) => 방바닥의 열이 실내 공기로 전달됨(눈에 안 보이는 열의 복사 및 열의 전도) =>  머리 키높이 부분의 방안 공기 온도도 상승(열의 대류) => 30분 뒤 보일러 끈 뒤에도 30본 안팎이 지나도 계속 같은 현상이 지속됨(열의 전도, 복사, 대류 모두 일어남.) => 이런 이유는 열의 전도와 복사의 경우는 온도가 높은 데서 낮은 데로 일어난 것이고, 대류는 따뜻한 공기가 밀도가 작아서 위로 상승하기 때문임) => 차차 방안 온도는 벽이나 창문의 유리 및 방문 틈으로 새어나가서 식을 것으로 예상됨.    

 

 *** 표의 예시 ***

 


  

 

 한 군데만 재고, 다른 곳은 본인처럼 어림짐작으로 하든지, 아님 키 높이 한 군데만 측정하세요.  

 

&&&&&&&&&&&&&&&&&&&&&&&&&&&&&&&&&&&&&&&&&&&&&&&&&&&&&&&&&&&&&&&&&&&&&&&

 

2. 간단합니다.

 

예를 들어, 방금 끓인 100도짜리 물 주전자를 실내에 둡니다.

 

1. 실내온도가 매우 더운 35도이고 외부와는 열차단 상태이면, 시간이 흐르면 실내온도는 36~7도 정도가 되면서 서로 복사평형을 이룹니다. (즉 주전자 물도, 36~7도 정도가 됨)

 

2. 실내온도가 더운 30도이고 외부와는 열차단 상태이면, 시간이 흐르면 실내온도는 31~2도 정도가 되면서 서로 복사평형을 이룹니다. (즉 주전자 물도,  31~2도 정도가 됨)

 

3. 실내온도가 상온인 25도이고 외부와는 열차단 상태이면, 시간이 흐르면 실내온도는 26~7도 정도가 되면서 서로 복사평형을 이룹니다. (즉 주전자 물도,  26~7도 정도가 됨)

 

4. 실내온도가 추운 0도이고 외부와는 열차단 상태이면, 시간이 흐르면 실내온도는 3~3도 정도가 되면서 서로 복사평형을 이룹니다.  (즉 주전자 물도,  0도 정도가 됨)

 

결론 : 주변 환경과 서로 온도를 같게 하는 상태가 생기게끔, 복사열이 온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기 때문에 복사평형이 일어난다. (지구인 경우, 태양복사열 70% 흡수 & 방출로 복사평형이 됨.) (지구 온난화가 되면 나가는 열도 많아짐)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0304&docId=224462216&qb=67O17IKs&enc=utf8&section=kin.qna&rank=6&search_sort=0&spq=0

 

&&&&&&&&&&&&&&&&&&&&&&&&&&&&&&&&&&&&&&&&&&&&&&&&&&&&&

3.

과학시간에 복사(輻射)평형(平衡)에 대해 배우는데요. : 네 배웁니다. 고교 때에 또 나와요.

 

위도(緯度)38()에 태양복사에너지랑 지구복사에너지가 같고, : 지구에서의 위도 38도 부근에서는 태양으로부터 받는 복사열의 양(에너지) = 위도 38도 부근의 지구가 우주에 방출하는 복사에너지양(에너지)....이라는 것입니다.

 

0~37도는 태양복사에너지가 많고 38도 이상은 부족하다고 그러는데 : .

 

태양복사에너지랑 지구복사에너지가 같으면 뭐가 좋은지, 왜 좋은지 자세하게 설명해주세요. :

 

1. 태양복사에너지랑 지구복사에너지가 같으면 지구전체의 평균온도는 일정하므로 생물 종이 환경에 적응하여 삶을 영위하는 생명의 영속성(永續性)이 유지된다. (, 지금의 복사평형으로 인한 지구의 평균온도인 섭씨15도를 유지하는 경우)

 

2. 태양복사에너지보다 지구복사에너지가 적으면 : 지구의 열에너지가 많아지므로 지구 전체의 평균온도가 올라가다가 어느 정도가 되면 복사평형에 다시 도달하나, 지구는 이미 많이 더워졌기에, 생태계 교란이 일어난 것임.

 

3. 태양복사에너지보다 지구복사에너지가 많으면 : 지구는 냉각되어 빙하기가 옴.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0304&docId=253896190&qb=67O17IKs&enc=utf8&section=kin.qna&rank=11&search_sort=0&spq=0

&&&&&&&&&&&&&&&&&&&&&&&&&&&&&&&&&&&&&&&&&&&&&&&&&

 

4.

1.온도와 분자 운동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①온도는 물체가 가진 열의 많고 적음을 나타낸다. : 온도는 물체가 가진 운동에너지의 많고 적음을 나타낸다.

②고온의 물체는 분자들의 움직임이 둔하다. : 활발하다.

③저온의 물체는 분자들의 움직임이 활발하다. : 둔하다.

④온도가 같은 두 물체는 분자 운동이 활발한 정도가 같다. : ①번 해설에 보면 정답인 이유입니다^^

⑤온도가 높은 물체는 질량에 관계없이 온도가 낮은 물체보다 많은 열을 가진다. : 질량*온도...가 가진 열....입니다^^

 

2.온도와 열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질량이 같을 때에는 온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열을 갖는다. : 가진 열 = 질량*온도....이므로 맞습니다.

②20℃의 물 1L보다 100℃의 물 1L가 더 많은 열을 갖는다. : 20℃ * 1L < 100℃ * 1L ^^ 

③온도가 같을 때에는 질량이 클수록 더 많은 열을 갖는다. : 가진 열 = 질량*온도....이므로 맞습니다.
④100℃의 물 100g보다 100℃의물 1kg이 더 많은 열을 갖는다. : 100℃ * 100g < 100℃ * 1kg ^^

⑤20℃의 물이 담긴 수영장보다 100℃의 물이 담긴 주전자가 더 많은 열을 갖는다.

: 20℃ * 수영장의 물 > 100℃ * 주전자 속의 물 ^^*^ 

 

3.그림(발그림 ㅈㅅ)은 전기난로 근처애서의 공기의 이동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전기난로는 열의 부도체로 만든다. : 전기난로의 니크롬선은 전기를 통합니다. 전기를 통하는 물체 즉 전기의 (양)도체는 열의 양도체이기도 합니다.^^

 *도체는 '양도체'라고 하기도 합니다. 양도체의 반댓말이 '부도체'입니다^^  

②스위치와 온도 조절 손잡이는 열의 도체로 만든다. : 손잡이는 뜨거워지면 안 됩니다. 그러니 열의 부도체(플라스틱류)로 만들어야 합니다^^

③찬 공기는 위로, 더운 공기는 아래로 이동한다. : 찬 공기는 밀도가 커 무거우므로 아래로, 더운 공기는 부피가 커져 밀도가 작아져서 가벼워지므로 위로 이동합니다 (즉 대류현상)

④화살표는 전도에 의한 열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 화살표는 대류에 의한 열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⑤난로 가까이 손을 가져가면 전기난로가 복사하는 열을 느낄 수 있다. : 네 열은 대류로 이동하지만, 난로 가까이 가면 태양처럼 복사열이 나와요^^ 정답입니다^^

 

4.보온병의 구조 중 이중유리 사이의 진공이 하는 역할은?

①전도와 대류를 막는다. 대류를 하려면 액체나 기체가 있어야만 가능합니다. 진공이므로 대류할 기체(공기)가 들어 있지 않으므로 대류를 막습니다^^ : 정답입니다.^^

②전도와 복사를 막는다. : 대류를 막지요^^

③대류와 복사를 막는다. : 복사를 막는 것은 보온병안벽에 도금(코팅)한 은도금입니다^^

④전도를 막고, 대류가 잘 일어나게 한다. : 전도랑은 상관 없고  대류는 안 일어나게 합니다^^

복사를 막고, 전도가 잘 일어나게 한다. : 복사랑은 상관없고 전도랑도 상관없어요^^

직 작

&&&&&&&&&&&&&&&&&&&&&&&&&&&&&&&&&&&&&&&&&&&&&&&&&&&&&&&&&&&&&&&

 

5.

좋은 답변 덕분에 이 더 풍요로워진 것 같아요! 감사 합니다 혹시 제가 올 린것 중 실험 대회 관련 ㅇ자료가 있는데 그거에 관해서도 올려 주세요 봐서 체택 햐ㅐ드림 감사

답변이 오랫동안 안 달려서..... 제가 미진하나마 답변 드리고자 합니다. 양해하셔요^&^

 

1. 님의 여러 질문에 대한 답은 바로 각 과학고의 학교사이트에 가입한 뒤에 그 학교 홈피에서 서핑하면 거의 1방에 끝납니다. 단 3개 이상의 과학고를 서핑하셔요. 왜냐하면 A과학고에는 없는 정보가 B과학고에는 있을 수 있으니까요.

 

2. 과학고 기출 문제를 오리며 질문한 것에 대한 제 답변을 단 것을 올리겠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까해서요^&^

<질문>

창의 과학문제 해설 해주실분

an6031
2011.02.23 11:16
답변
1
조회
19

    

이런 문제들인데 해설해주실분이나 해답있으신분 잇나요?

 

<답변>

문제가 너무 많아서 각각 1개씩 ㅜ정도만 답변합나다.

 

1. 양초를 태우면 수증기(물)이 발생 : 염화코발트 종이로 색깔변화로 확인가능 : 양초에 수소성분이 있다.

2. 양초연소시 석회수에 연소기체를 통과시키면 뿌옇게 흐려진다 : 양초에 탄소성분이 있다.

3. 양초를 칼로 잘게 잘라서 물에 넣어 가열하면 액체가 된다. 그러나 양초가 물보다 가볍고 물에 녹지 않으므로 분별깔때기로 분리할 수 있다.  

 

 

 

탐구목표 : 물고기 떼죽음의 원인은?

가설 : 과다한 유기물이 분해되면서 물속의 산소를 과다소비하여 용존산소의 부족으로 인해서 일것이다.

탐구설계 : 같은 크기의 수조에 같은 양의 물과 금붕어를 넣는다

 하나의 수조에는 금붕어 밥을 아주 많이 준다.

그런 뒤 따뜻한 실내에 둔다.

금붕어 밥을 많이 넣은 수조의  물고기는 먹일 남겨서 바닥에 가라앉은 사료가 썩는다.

급붕어가 물 위로 올라와 숨을 쉬다가 죽는다. 다른 수조의 금붕어는 멀쩡하다.

결론 : 과다한 유기물이 분해되면서 물속의 산소를 과다소비한다. 이 때문에 물속의 용존산소의 부족으로 인한 호흡곤란으로 죽는다. 

 

 

 

 

 

 

 

 

 

 

1). 시침, 분침, 초침의 각속도 문제.

시분침간이 이루는 각의 크기

톱니바퀴의 톱니 수 문제 등.

2). 2가지... 그림으로...

 

두 번 째 그림의 폭 계산법 : 반지름을 r 이라고 하면,,,,넓이가 πr^2 이므로

젤 바깥은 .... 1/5πr^2 이라야 하므로 빨간 원의 반지름 계산법 : 빨간원 반지름을 a 라고 하면 ...

πa^2 = 4/5πr^2........ㅡㅡ> a^2 = 4/5 r^2 ....   -a = 루트 5분의 4 r 이 돠어야 합니다. 이런 식으로 반지름을  정하여 그람을 그려서 칠합니다.

 

 

  

1. 몸에 중력이 안 실리므로 근육과 뼈가 약해져서 근육퇴화와 골다공증이 일어난다.

2. 대기권을 나가거나 들어올 때의 마찰열을 이기게 할 것. 태양의 복사에너지를 견딜 것. 실내온도를 유지하는 장치를 만들 것. 이산화탄소를 다시 산소로, 노폐수를 다시 음용수로 만드는 장치 설치. 급격한 가속이나 감속을 이기는 의자 장치 등 (이유...는 생략)

3. 무중력이나, 우주선 내에 공기가 있으므로 부채로만 우주선 어디로나 날아다닐수 있고, 또 몸을 거꾸로, 바로 맘대로 된다. 바람이 일어나도 얼굴에 거의 닿지 않는다.  지구에서는 몸의 자세가 부채를 부칠 때에, 전혀 바뀔 일이 없고 바람도 몸(얼굴)에 잘 닿는다.  이유 : 중력의 유무의 차이!!

직작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0304&docId=125834808&qb=67O17IKs&enc=utf8&section=kin.qna&rank=119&search_sort=0&spq=0

&&&&&&&&&&&&&&&&&&&&&&&&&&&&&&&&&&&&&&&&&&&&&&&&&&

 

 

일단, 첫번째 실험입니다. 맥주캔에 물을 넣고 겉은 휴지로 쌓어요. 그런다음에 알콜램프에

    

      캔을 가열합니다. 하지만 휴지가 타지 않았어요.

 

1.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두번째 실험. 시험관에 얼음을 밑에 넣고 물을 채운후 시험관 윗 부분을 가열합니다.

                    

               하지만 얼음은 녹지않았어요. 물은 끓는데 말이죠.

 

2. 왜 얼음은 녹지않고 물만 끓었을까요??

 

               

           세번째 실험. 조그마한 바람개비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샤프같은곳에 올려 놓고,

 

손을 계속 비빈후, 바람개비 밑에 손을 감쌉니다. 그럼 바람개비가 돌아가요.

 

3. 이 바람개비가 돌아가는 원리는요???

 

 

          네번째 실험. 양초가 있습니다. 양초 불의 윗부분은 뜨겁고요 옆부분은 아무렇지도 않습니다.

 

4. 왜 그럴까요??

 

5. 위와 옆 열의 이동 방법은 뭔가요??

 

 

 

 

점수 100 걸어요!!   제발 아는거 하나라도 답변해주세요1

1

 

 

 

 

     

<SCRIPT type=text/javascript> setTimeout(function(){ if (nhn.Kin.QnaEnd.CommentAndMenu) { new nhn.Kin.QnaEnd.CommentAndMenu($("qna_detail_question_commentAndMenu")); } }, 500); </SCRIPT>

질문자 답변확정된 경우, 추가 답변 등록이 불가합니다.

<SCRIPT id=tpl_userMenuLayer type=text/template> </SCRIPT>
1번째 답변

추국만리향(kwaon7)님의 답변입니다.

답변확정답변수1,565
2011.03.15. 00:41

질문자 인사

답변 덕분에 많이 알아갑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덕분에 숙제정말 잘해 갔어요!!! 제가 건 점수 100이 정말 아깝지 않아요. 천재가테요~~!!!^^

  1. 첫번째 실험입니다. 맥주캔에 물을 넣고 겉은 휴지로 쌓어요. 그런다음에 알콜램프에

    

      캔을 가열합니다. 하지만 휴지가 타지 않았어요.

 

1.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ㄱ... 알콜램프 불꽃의 열에너지가 맥주캔으로 열전도와 복사로 열의 이동이 일어났다.

 ㄴ... 물은 비열이 커서 온도가 좀 느리게 오른다.

 ㄷ... 시간이 흐르면 캔의 물온도가 오르기는 하지만, 1기압 하에서 100℃까지가 끝이다.

 ㄹ... 그 이유는 물의 끓는점이 1기압하에서 100도이라서 그렇다.

 ㅁ... 그러면 밑에서 램프불꽃이 계속 주는 열에너지는 어디로 갔을까?

 ㅂ... 1g의 물이 기화하려면 539cal의 열이 필요한데, 기화열로 가버린 것이다.

 ㅅ...휴지(종이)의 발화점(온도를 올려주면 불이 붙기 시작하는 온도)은 250℃ 쯤 되는데, 맥주캔 안의 물이 끓느라고 100도를 넘어가지 못하기 때문에 캔을 싼 종이가 발화하지 않는 것이다.

 

 

       두번째 실험. 시험관에 얼음을 밑에 넣고 물을 채운후 시험관 윗 부분을 가열합니다.

                    

               하지만 얼음은 녹지않았어요. 물은 끓는데 말이죠.

 

2. 왜 얼음은 녹지않고 물만 끓었을까요??

 ㄱ...결론부터 말하면 "시험관 안에서 '대류현상'이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ㄴ... 대류는 열을 받아서 부피가 팽창하여 밀도가 작아져 가벼워진 기체나 액체가 위로 올라가고 그 빈 자리를 위의 찬 기체나 액체가 채우면서 열을 이동이 일어나는 것을 말합니다.

 ㄷ... 시험관의 윗부분만을 가열하므로 윗부분에서만 제한적인 대류가 일어나나, 시험관 중간에 있는 물은 가만히 있으므로 오히려 열의 이동을 방해하는 존재가 되고 맙니다.

 ㄹ... 그래서 시험관 맨 위는 끓고 있지만, 시험관 밑에 붙여놓은 얼음은 당장 녹지는 않는것입니다.

 

               

           세번째 실험. 조그마한 바람개비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샤프같은곳에 올려 놓고,

 

손을 계속 비빈후, 바람개비 밑에 손을 감쌉니다. 그럼 바람개비가 돌아가요.

 

3. 이 바람개비가 돌아가는 원리는요???

 ㄱ.... 손을 비볐습니다. 즉 마찰을 시킨 것입니다.

 ㄴ.... 그러면 손바닥에 마찰열이 발생합니다.

 ㄷ.... 약간 온도가 올라간 손으로,    샤프심에 바람개비를 꽂은 샤프를 밑에서 쥐었습니다.

 ㄹ.... 샤프 밑의 공기가 따스해집니다. 열을 받아서 부피가 팽창하여 밀도가 작아져 가벼워진 샤프 주위의 공기가 위로 올라가면서 바람개비를 돌리는 것입니다.  

          

 

 네번째 실험. 양초가 있습니다. 양초 불의 윗부분은 뜨겁고요 옆부분은 아무렇지도 않습니다.

 

4. 왜 그럴까요??

 

 윗부분이 뜨거운 이유 :

ㄱ. 양초의 윗부분의 불타는 심지 아래에는 열에 의해 녹은 액체 양촛물이 있습니다. (참고로 양초의 원료인 파라핀은 약 60℃에서 녹습니다) 양촛물에 연기가루 같은 걸 넣어보셔요. 대류합니다. 그러면서 양초의 위부분에 열을 전달합니다.

ㄴ. 양초의 윗부분은 고체입니다. 그래서 전도현상으로도 열을 전달받습니다.

ㄷ. 촛불도 복사열을 냅니다. 양초의 윗부분은 복사열을 많이 그리고 직접적으로 받습니다. 

 

5. 위와 옆 열의 이동 방법은 뭔가요??

 

 

 

 

(2):양초위부분과옆부분의열이동방법은?

 양초위부분열의 이동방법 : 전도 대류 복사 다 있음.

 양초옆부분의 열이동방법 : 전도이지만 거리가 멀다.

 

직 작 임.^^

&&&&&&&&&&&&&&&&&&&&&&&&&&&&&&&&&&&&&&&&&&&&&&&&&&&&&&&&&&&&&&&&&&&&

 

중학교 과학책에서 보면 열의 전달 형태로는 전도, 대류, 복사 이 3가지로 설명하는데요..

 

보통 집에서 쓰이는 단열재의 종류와 그 단열재가 전도, 대류, 복사 세가지 중에서 어떤 형태의 열의 전달을

 

막는지 설명해주세요...ㅠ.ㅠ

<SCRIPT type=text/javascript> setTimeout(function(){ if (nhn.Kin.QnaEnd.CommentAndMenu) { new nhn.Kin.QnaEnd.CommentAndMenu($("qna_detail_question_commentAndMenu")); } }, 500); </SCRIPT>

질문자 답변확정이 되지 않은 경우, 질문 최종 수정일 기준으로 15일 경과되어 추가 답변 등록이 불가합니다.

<SCRIPT id=tpl_userMenuLayer type=text/template> </SCRIPT>

총 1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1번째 답변

추국만리향(kwaon7)님의 답변입니다.

답변확정답변수2,932
2011.12.15. 00:58

이중벽 사이의 스티로폼

 

이중창(유리 창을 자세히 보면 앞유리와 뒷유리 사이에 공기 공간이 있는 게 있어요.)

 

창에 붙이는 투명비닐

 

실리콘

 

일부러 낮게 한 천장

 

방풍 스펀지

 

방풍 커튼

 

*******************************************************

 

 

이중벽 사이의 스티로폼 : 열의 전도를 차단함.

  

이중창(유리 창을 자세히 보면 앞유리와 뒷유리 사이에 공기 공간이 있는 게 있어요.) : 태양의 복사열은 들어오게 하고, 전도로 실내의 열이 빼앗기는 것은 막아 줌. 

 

창에 붙이는 투명비닐 : 열의 전도를 막아 줌.

 

실리콘 : 틈을 메워서 대류를 차단함.

 

일부러 낮게 한 천장 : 실내 높이에 따른 온도차이를 적게 하여 대류로 인한 실내 높이에 따른 온도 차이를 작게 함.

 

방풍 스펀지 : 대류를 차단함.

 

방풍 커튼 : 대류를 차단함.

직작
&&&&&&&&&&&&&&&&&&&&&&&&&&&&&&&&&&&&&&&&&&&&&&&&&&&&&&&&&&&&&

중2과학 1학기 복사와 대류의 차이점

shap****
질문 147건 질문답변확정률99%
2011.04.02. 17:09
추천 수 1
답변
1
조회
53

그 대류에 보면 뭐 방안이 따뜻해지는데 차가운공기는 위로올라가면서 뭐 순환한다고하는데 정확히알려주세요

 

그리고 대류에서 해풍 ,육풍에 대해서도.

 

마지막으로 가까이에서 쬐면 복사고 전체가 데워지면 대류인이유가 머나요?

솔직히 전도도 이해안됬지만 전도와 대류의 차이점 액체,기체 와 고체 라는 차이점을 발견했지만

 

대류와 복사의 차이점은 어렵군요

<SCRIPT type=text/javascript> setTimeout(function(){ if (nhn.Kin.QnaEnd.CommentAndMenu) { new nhn.Kin.QnaEnd.CommentAndMenu($("qna_detail_question_commentAndMenu")); } }, 500); </SCRIPT>

질문자 답변확정된 경우, 추가 답변 등록이 불가합니다.

<SCRIPT id=tpl_userMenuLayer type=text/template> </SCRIPT>
2번째 답변

추국만리향(kwaon7)님의 답변입니다.

답변확정답변수1,806
2011.04.02. 20:11

질문자 인사

정말 친절한 답변 감사드려요~ 대류 만큼은 확실이 이해됬네요.

1:1 질문 감사합니다.

 

1.

1). 보일러를 돌린다.

2). 방바닥의 온도가 상승한다.

3). 방바닥 부근의 공기부터 데워진다. 즉 열에너지가 분자의 운동에너지로 변환된다.

4). 운동에너지가 커진 공기의 분자는 활발히 움직이므로 분자간 거리가 멀어진다.

5). 따라서 단위부피(같은 부피)당 분자 수가 작아진다.

6). 밀도 = 질량/부피   이므로 밀도가 감소한다.

7). 밀도가 감소하므로 찬 공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벼워진다.

8). 가벼워진 공기는 상승한다.

9). 그 빈 자라리를 채우기 위해 찬 공기는 하강한다.

10). 찬 공기도 방바닥 분근에서 데워진다.

11). 그러면 위 3).번부터 8).번까지의 현상이 계속 반복된다. 즉 '대류현상'이 일어난다.

12). 기체와 액체는 유동성이 있으므로 불균일한 가열이나 냉각이 생기면 대류를 하여 열을 전달하는 것이다.

 

2.

.해안가에서는 낮에는 해풍이, 밤에는 육풍이 분다. 왜그런가?

바닷물은 비열도 크고 열용량(깊이 30m정도까지 바닷물이 뒤섞이므로)도 크다. 땅은 상대적으로 비열도 작고 열용량도 작다(깊이 0.5m정도만 데워짐)

 

 낮 : 땅이 빨리 데워진다. 이에 따라 땅 위의 공기가 바다 위의 공기보다 더 많이 기온이 올라간다.

기온이 올라가면 열팽창을 한다. 열팽창을 하면 밀도가 작아진다. 밀도가 작아지면 공기가 가벼워진다. 기압이 낮아진다. 그래서 상승한다. 바다쪽은 기온이 조금 올라간다. 그러니 육지의 상승기류의 빈 자리를 메우러 해풍이 불어온다.  고기압과 저기압은 상대적 개념이다. 바로 옆의 기압보다 높으면 고기압, 주변이나 옆보다 낮으면 저기압이다. 낮에는 뭍의 대기가  저기압이고 바다 위의 대기가 고기압이다.

 

 밤 : 땅이 빨리 식는다. 이에 따라 땅 위의 공기가 바다 위의 공기보다 더 많이 기온이 내려간다.

기온이 내려가면 -열팽창을 한다. -열팽창을 하면 밀도가 커진다. 밀도가 커지면 공기가 무거워진다. 기압이 높아진다. 그래서 하강한다. 바다쪽은 기온이 조금 내려간다. 그러니 바다의 상승기류의 빈 자리를 메우러 육풍이 불어온다.  고기압과 저기압은 상대적 개념이다. 바로 옆의 기압보다 높으면 고기압, 주변이나 옆보다 낮으면 저기압이다. 밤에는 뭍의 대기가  고기압이고 바다 위의 대기가 저기압이다.

 

&&&&&&동풍이란,,, 서에서 동으로 부는 바람이아니라, 동에서 (서쪽으로) 불어오는 바람이라서 동풍이라고 합니다. 어디에서 불어오느냐가 핵심입니다.

 마찬가지로, 낮에는 바다(海)에서 불어오므로 "해풍"이라고 하고요,

 밤에는 육지ㅡㅡㅡ>> 바다로 부니까 "육풍(陸風)"입니다.

 

 

3.

1). 복사(輻바퀴살 복;자전거 바튀 중심에서 바퀴테로 퍼져나간 철사살, 射쏠 사) : 열원(熱源)에서 열이나면 빛이 보이든 안 보이든 간에 전자기파(열에너지를 갖고 있음)가  쏟아져 나와 직선으로 쏩니다.

2). 열원에서 멀어지면 단위면적당 복사에너지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면서 약해집니다.

3). 그러니 열원에서 많이 멀어지면 .... 복사에너지보다는 대류에 의한 열에너지 전달이 더 많아집니다.

4). 가깝더라도  중간에 불투명한 물체가 가로막거나, 열원 자체가 안 보이는 쪽에 있다면 복사에너지를 직접 받을 수가 없습니다. (복사에너지가 반사된 게 있다면 반사된 복사에너지는 몸에 닿음)

5). 복사에너지는 직진하거나 반사만 하므로 전체를 데울 수는 없습니다.

6). 복사에너지도 결국은 열에너지로 바뀝니다.  

7). 결론은 이젠 이러나 저러나 대류가 일어나면서 전체가 데워집니다.(물론 처음부터 대류와 복사가 발생합니다) 

직 작

중1과학-열의 이동(복사) 문제

음...제목 그대로 열의 이동(복사)에 관한 문제 7개 좀 알려주실수 있으신가요오........ : 질량*온도...가 가진 ....입니다^^ 2.온도와 열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중1 과학 열의 이동

... 주변에서 경험할 수 있는 열의 이동(전도, 복사, 대류)의 예를 조사해오는 것이 숙제인데 생활 속에서 경험할 수 있는 열의 이동의 예에는 뭐가 있을까요??? 교과서에 나오지...

열의 이동 복사

... 학습지에 전도는 열이 직접 이동하고 복사는 전도처럼 직접 이동하진않는다고... 그렇게 간접적으로 오는 열이 '복사열'입니다. 지금 문제가 되고 있는 지구온난화가 바로 이...

중1과학-열의 이동(복사) 문제

제목 그대로 열의 이동(복사) 문제 7개 좀 알려주세요.. 급햬여 문제집에 있는 문제도... 보온병의 유리에 은도금을 하면 빛을 반사시켜 손실을 막을 수 있다. ㅅ....

중1과학 열의 이동 요점정리 해주세요

... 열의 이동 방법 구분 정의 전도 이웃한 알갱이의 충돌로 운동이 전해지면서 열을 전달 대류 분자가 직접 이동하여 열을 전달 복사 물질의 도움 없이 빛 형태로 직접 열을...

중1과학 열의이동

급합니다ㅠㅠ 알려주세요 문제 문제가 이해가되질않고 어떤형식 으로풀어야되고... 물체속의 원자와 전자들이 충돌하면서 옆으로 열이 이동한다. (전도라고 한다)...

중1 과학

... 방법이고, 복사는 열이 매질 없이 전달되는 방법입니다. 4. 전기와 자기 전기는 전하가 이동하는 현상이고... 문제를 많이 풀어보세요. 이제 중1 과학을 공부할 준비가...

중1과학요점정리좀요 내공100

중1과학 광합성단원이랑열과우리생활단원 정리좀해쥬세여... 은도금(복사에 의한 열의 이동 차단) 2) 폐열 : 전기 생산 및 쓰레기 소각 등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수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