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중2 7 단원 전기의 발생~ 저항의 연결 까지 요점정리

과학 중2 7 단원 전기의 발생~ 저항의 연결 까지 요점정리

작성일 2010.11.1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과학 중2 7 단원 전기의 발생~ 저항의 연결 까지 요점정리해주세요 사진도 요~~~


#과학 중2 #과학 중2 교과서 #과학 중2 기출문제 #과학 중2 1단원 #과학 중2 문제집 #과학 중2 미래엔 #과학 중2 전기와 자기 #과학 중2 원소 #과학 중2 2학기 #과학 중2 이온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제 여러 답변 참조하시고,,, 님 문제집에서 어려운 문제는,,,, 점수 없이,,, 1:1로 물어 주셔요.
 
나눠서요^&^
 
 
어떤 물체 또는 입자가 띠고 있는 전기의 양이다
 
電전기 전, 荷짐보따리 하, 메어 옮겨 운반할 하, 量 분량 량. : 전하량의 의미 설며입니다^&^
電子 : 번개 전. 아들 자,,,가 아니라 그냥 '녀석'이라는 의미입니다. 즉 전기라는 녀석 이나 쨔으쓱..이죠^&^
電流 : 전기의 흐름 .... 첨에는 전류가 흐른다 생각했고,,, + 에서 - 로 흐른다고... 생각했으나 ... 나중에 알고 보니 ;;;; 실은,,, 전자가 - 에서 +로 이동하는 게 밝혀졌는데요,,, 어쨌든 이리 써도 설명은 가능하니 걍 맞는 걸로 하여 그대로 쓰자고,,, 약속했어요.(사실은 지구가 자전하여, 해가 아침에 동에서 떠 서로 지는 것처럼 보일 뿐이지만,,,, 해가 동에서 떠 서로 진다... 해서,,, 틀렸어!!!!  하지는 않는 것처럼요^&^)  
 
*****이제 ~~~~  본론입니다^&^******

전자가 이동하면서 전하가 발생하고 그 전하가 이동하면서 전류가 발생하고, 그 전류의 양을 측정한게 전하량이 맞나요? 그렇다면 전하량은 전자의 움직임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셈인데 그럼 어떻게 전자가 전하량을 가지죠?

1... 전자가 이동하면서 전하가 발생하고 : 전자가 옮겨 가니까 ㅡㅡㅡ>>전하 ... 발생 : 맞습니다^^

 

2.... 그 전하가 이동하면서 전류가 발생하고 : 전하의 이동 = 전류 .... 전하의 이동이 바로 전류의 흐름 ... 이라고 말하면 더욱정확합니다^^

 

3...그 전류의 양을 측정한게 전하량 : 전류의 양 = 전자의 이동 개수 = 전하량 ...이므로 맞습니다^&^

 

4...그렇다면 전하량은 전자의 움직임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셈인데 그럼 어떻게 전자가 전하량을 가지죠?

ㅡㅡㅡ>>전하량 = 전자의 움직임(=이동)

 

5...그럼 어떻게 전자가 전하량을 가지죠? : 전자가 이동하면 전하가 되고 그 이동량이 전하량요^^

 

6... 그리고..전자가 전하를 가지고 있나요?  : 전자 자체가 전하를 가진 게 아니고 전압을 걸어주어 이동하면.... 전하를 갖게 되요^&^

 

님~~~~ 될성부른 나무 떡잎부터 알아본다,,,,,, 는데....... 크게 될 겁니다.

 

 중 2라면,,,,  이런 의문이나, 질문 아무나 못 하는 고단자이시네요^^

 

 

 
본인

제 그림의 전제조건 : 도선은 저항이 거의 0 이다 : 그래서 무지 굵은 수도관임.

저항이 클수록 아주 가늘어진 파이프이다.

전류는 물이다.

전압은 물을 보내는 수압이다.

일을 하는 건 전자(=전류=물)다

물(=전자)는 건전지로 되돌아온다.

건전지에 전자(=물=전류)가 있어도 수압펌프(전압)가 힘을 잃으면 물이 있어도 더 이상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없다.

 

 

 

 

 

○ 옴의 법칙


회로의 전기 저항이 일정할 때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전압이 클수록 커지는 이유는???


전압(電壓)을 수압(水壓)이라고 칩시다. 수압이 셀수록 수도꼭지를 조금만 틀어도 물(=전류(電流))이 콸콸 나오니 단시간에 많은 물을 받을 수 있는 것과 연관지어 생각하시면 됩니다^&^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전압에 비례하는 이유는?


바로 위의 설명을 거꾸로 따라가면 저절로 답이 나옵니다.^&^




○ 저항의 직렬 연결


각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어느 곳에서나 일정한 이유는???

-> 전하량 보존 법칙. 전류가 전기 기구를 통과하면 전자 수나 전하량, 전류의 세기는 변함이 없고, 단지 전기 에너지가 소모되기 때문이다. : 맞습니다.  전자가 일(=빛, 열, 전동 모터 등)을 하여도 전자는 단 1개라도 사라지지 않고 원자핵과 충돌하여 일을 합니다. 직렬연결이므로 수도관 즉 파이프는 오직 하나로 연결 되어 있으니 물(=전류; 새어나가는 데는 없음.)은 저항이 큰 곳이나 작은 곳이나 같은 물이 흐릅니다.


전체 전압은 각 저항에 걸리는 전압의 합과 같은 이유는???

-> 수압이 저항이 클수록 더 걸리는데 직렬저항의 크기만큼 전체 수압(=전압)을 나눠가지기 때문입니다.


각 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저항에 비례하는 이유는?

-> 물(=전류)은 똑 같이 흘러야 하는데, 큰 저항에 물이 많이 흐르게 하려면 높은 수압이 작용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전체 저항의 크기가 각 저항의 크기를 더해야 나오는 이유는??

-> 저항이 계속 이어져 있으니(즉 저항의 직렬연결) 전체저항은 각 저항의 합과 같지 않고는 배겨날 수가 없지요^&^

 


이 그림에서 아래 10V는 10A 입니다(오타;;;)
○ 저항의 병렬 연결


각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합은 전체 전류와 같은 이유는?? : 전류(=물)이 각 저항에 나뉘어져 흐르다가 다시 합쳐지기 때문이랍니다.^&^

-> 전하량 보존 법칙으로 병렬연결을 하면 전류가 나눠지지만 다시 합쳐지는 데에서 전류가 더해진다. : 네 맞습니다.


각 저항에 걸리는 전압은 전체 전압의 크기와 같은 이유는??

-> 물이 갈라져서 다시 합치려면 전압(=수압)이 만약 다르다면 저항이 작은 쪽이나 아님 큰 쪽으로 역류현상이 일어나게 되니 전제전압=각 병렬의 저항과 안 같으면 말이 안 되기 때문입니다.


전체 저항의 역수가 각 저항의 역수를 더해야 나오는 이유는????

-> 병렬저항은 직렬저항과는 달리 물이 나뉘어져 흐르니 합성저항은 직렬연결의 각 저항과는 달리 반비례로 더 많이 흐릅니다. ㅡㅡㅡ>반비례는 역수에 비례하는 것과 같아서 그렇게 계산합니다.



 



본인

 

 

삐죽삐죽 되있는 부분은 저항이구요,

각 저항마다 1옴의 저항이 있습니다.

전압이 11V,6V때의 병렬연결된저항,전체저항,전체전류를

차례대로 써주셨으면 합니다.

 

 

EX) 전압이 11V일때

 

1.병렬연결된저항

 

2.전체저항

 

3.전체전류

 

 

EX) 전압이 6V일때

 

1.병렬연결된저항

 

2.전체저항

 

3.전체전류

 

 

 

 

이렇게 자세한 설명까지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EX) 전압이 11V일때

 

1.병렬연결된저항: 3/4옴


 2.전체저항  : 11/4옴

 

3.전체전류 : 11/(11/4) = 4암페어

 

 

EX) 전압이 6V일때

 

1.병렬연결된저항 : 3/4옴

 

2.전체저항 : 11/4옴

 

3.전체전류 : 24/11암페어

 

병렬부분 저항 구하기 : 3개는 직렬 = 1+1+1= 3옴

   그러므로,,, 병렬저항은 = 1/(1/1 + 1/3) =  3/4옴

전체저항(나머지 1옴은 크게 보면,,,직렬연결임, = 1 +1 +3/4 = 11/4옴

 

 

 ㄱ. 11A일 땐,,, 전체전류 = 11/(11/4) = 4A

 

 ㄴ.  6A일 땐,,, 전체전류 = 6/(11/4) = 24/11A

 

 

본인

전압 : V,전류 : I,저항 : R,일때,

V=I*R,I=V/R,R=I/V,입니다.P = V*I = I^2*R = V^2/R

이것을 단위로 표현해 봅시다.   W = V*A= A^2*Ω = V^2/Ω

  ※영자를 비스듬하게 쓴 것은,, <기호>표시이고요...

     영자를 똑바로 곧게 쓴 것은,, <단위>표시인 거 아시죠?^^

의 공식을 ,,기호, 단위 둘 다 이해 암기하면 편해요^^

기호는 영어 알파벳으로 읽고, 단위는,,, 바로 오른쪽처럼 읽어요!(W와트(전력단위), A암페어(전류단위), V볼트(전압단위), Ω옴(저항단위))

(P (전력기호), V(전압기호;'브이'라 읽음.), I(전류기호), R(저항기호)

P=VI=I^2R=v^2/R... 이 공식도 필수. 단위 대입이 더 잘 되도록 연습해요^&^

 

ㄷ. 저항이 커지면 전자가 원자와 충돌하는 횟수가 증가하므로 항상 발열량이 커진다. ㅡㅡㅡㅡㅡ"항상"...때문에 틀렸어요^^

ㄱ. 저항이 커지면 전자가 원자와 충돌하는 횟수가 증가하는 경우: P=VI=I^2R=v^2/R에서 P=I^2R....요 때는 저항에 비례(즉 직렬일 때)

 

P = V*I = I^2*R = V^2/R

 

 위의 공식을 아무 때나 어디서나 슈퍼맨처럼 아무꺼나 갖다쓰면 틀립니다.;;;

 

직렬연결(전류가 일정함) 시에는ㅡㅡ>>P = V*I = I^2*R

병렬연결(전압이 다 같음) 시에는 ㅡㅡ>>P = V*I = V^2/R

 

 자 ~~ 님의 질문의 답변 들어갑니다.~~~

직렬 연결쪽에서

 

전압을 2배 : 발열량 2배P = V*I

전압 1/2배 : 발열량 1/2배P = V*I

 

저항2배 발열량 2배 P = V*I

저항 1/2배 발열량 1/2배P = V*I

 

전류 2배 : 발열량 4배 P =  I^2*R ,,, (전류의 제곱)

전류1/2배 : 발열량 1/4배P =  I^2*R ,,, (전류의 제곱)

 

 

 

병렬 연결쪽에서

 

전압을 2배 : 발열량 4배P = V^2/R 

전압 1/2배 : 발열량 1/4배P = V^2/R 

 

저항2배 : 발열량 1/2배 P = V*I = V^2/R 

저항 1/2배 : 발열량 2배P = V*I = V^2/R 

 

전류 2배 : 발열량 2배 P = V*I = V^2/R 

전류1/2배 : 발열량 1/2배P = V*I = V^2/R 

 

 실제문제가 없으니 이해가 잘 안 갈 거예요^&^

제가 답변 올린 거 보고 실전에서 잘 함 보셔요^&^

이거 '그때그때 달라요"가 많아시리;;;;;;;;;

 

 

저항이 크고 가는 니크롬선과 저항이 작고 굵은 니크롬선을 전원 장치에 병렬로 연결하였다. 같은 시간 동안 전류를 흘려 주었을 때 발열량이 더 많은 니크롬선은 어느 쪽인지 쓰고, 이 사실로 부터 알 수 있는 비례관계를 설명하시오.

답이 굵은 니크롬선, 전류와 발열량은 비례한다 인데여..

이게 왜 답인가요?

@@@@위의 제 설명처럼 병렬연결이죠!!!! 그러니 전류(수돗물로 생각!)가 .... 저항(저항이 크면 더 작은 수도파이프로 생각!!)이 큰 데로는 조금 밖에 못 흐르니,,, 저항이 크다고 해도 전자가 이동하면서 원자와 충돌하여 열이 발생하는데,,, 전류가 조금 흐르니,,, 전자의 수가 적어서,,, 충돌을 쪼메만 한다....구래갖고 열 죄끔 발생!!!!한다!!   공식은,,병렬이니까,,,,,

P = I^2*R ....<ㅡㅡㅡㅡㅡ  요 공식!!!!!!!!!!!!!!!!!


*****************************************************************************

 



왜 이렇게 답이 나오는지 풀이과정 정말 자세하게 알려주세요 ㅠㅠ
























28번,

전체전류의 비ㅡㅡㅡ> (가):(나)= 2:9


전류의 비 : A:B:C=2:1:3이 됩니다.


그래서 C>A>B요,


29. 비를 구하는 문제이므로,,, 숫자는 편한대로 넣어봅시다.

전체전류 : 6A이라면,,,

A: 6A

B: 4A

C: 2A가 흐릅니다.

저항도 비로만 구합시다^^

A: 1Ω

B: 2Ω

C: 4Ω이 됩니다.


전력 = (전류의 제곱)×(저항)에 넣으면,,,


A=36×1=36

B=16×2=32

C=4×4=16


그러므로,,, A:B:C=36:32:16=9:8:4임.


***********************************************************

 

 모두 같은 전구일때 밝은 순서대로 구하면 어떻게되나요 하다가 이문제만 헷갈리네요 ㄷㄷ

제일 간단한 방법!!!!!

궁극적으로는 전압이고 저항이고 뭐고 다 때려 치워!! 일은 전류가 하는겨!

전류가 많이 흐르는 차례 찾는겨!!!

1번회로: 1등^^

2번회로: 2등^^ 근디,,,(나)가 (라)보다는 2배^^

3번회로: 무조건 꼴찌^^

 

 밝은 차례 : 가 ㅡ 나 ㅡ 라 ㅡ 다

 

 

 계산으로 풀면 넘 골치 아포;;;

 

저항이 모두 2옴이라고 칩시다. 전원은 12V라 칩시다.

각회로의 전체저항은,,,,

1번회로: 1/(1/2+1/2+1/2)=2/3옴  ∴전체전류 12/(2/3)=18A

2번회로:2+(1/(1/2+1/2))= 2+ 1/1=2+1=3옴   ∴전체전류 4A

3번회로:2+2+2=6옴  ∴전체전류 2A.....

 이런 식으로 풀어요^&^

 

아래에 제 다른 질문에 대한 답변 보고,, 이해 더 잘 하세요^^~~~~~~~~~~~~~~~~~~~

그 이하는 보너스랍니다^^ 님아~~~^&^

 ***************************************************************************************

 

① 2 : 3 : 6② 6 : 3 : 2③ 9 : 2 : 1

④ 1 : 2 : 9⑤ 1 : 1 : 1

 

위의 저항은 모든 같음.

 

 

④ 1 : 2 : 9

 첫째 그림의 전체저항 : 3+3+3=9옴

 둘째 그림의 전체저항 : 3+ 1/(1/3+1/3) =3+3/2 = 9/2옴

 셋째 그림의 전체저항 : 1/(1/3+1/3+1/3) = 1옴

 

그러므로,, 저항의 비 = 9:9/2:1입니다.

이 셋을 역수로 고쳐 비를 구합니다(그 이유는.,,저항과 전체전류는 반비례이기때문이고,,, 열은 최종적으로는 전류의 양에 달렸답니다^^)

ㅡㅡ>>1/9:2/9:1/9 = 1:2:9 (세 항에 각각각 곱하기 9했어요)

 

 답::::1 : 2 : 9

******************************************

 

1

1. 다음 그림 (가), (나)와 같이 1Ω의 저항이 직렬과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같은 시간 동안 그림(가)와 (나)에서 발생하는 열량을 Q(가), Q(나)라고 할 때 Q(가) : Q(나)로 옳은 것은?

 

① 1 : 1

② 1 : 2

③ 1 : 4

④ 2 : 1

⑤ 4 : 1

 

이 문제 답이 ③이라네요 자세한 풀이 부탁해요

일단 이런 경우 저항이 각 회로 안에서는 다르더라도,,, 직렬과 병렬 사이엔 무조건 ③ 1 : 4,,요게 답임^^

 

(가)는 전체저항이 2옴

 

(나)는 전체저항이 1/2옴...

 

 열랑은 최종적으론,,, 무조건 전류의 양에서 나와요^^(즉 저항의 역수 비임),,,암기 이해 요망함.

 

 Q(가) : Q(나) = 1/2 : 1/(1/2) = 1/2 : 2 = 1 : 4

 

 

 

**********************************************

 

안녕하세요. ^^

다음과 같은 그림에서요 ~

 

 

 

 


발열량을 구하는 건데요~

 

1. 병렬 연결에서 전류는 저항에 반비레한다.

전류의 비 A : B : C = 1 : 1 : 1

 

무얼 보고 밑줄 친 결론이 나왔나요?

 

2. 병렬 연결된 저항에 걸리는 전압은 같다.

A에 걸리는 전압과 (B+C)에 걸리는 전압은 같다.

전압의 비 A : B : C = 2 : 1 : 1

 

무얼 보고 밑줄 친 결론이 나왔나요?

 

3. 발열량은 전압과 전류의 곱에 비례한다.

라고 나왔는데요~ 시간의 곱까지 비례하는 것 아닌가요?

 

아니면 시간이 일정해서 시간을 생략한 것인가요?

 

이해 쉽게 정확하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무얼 보고 밑줄 친 결론이 나왔나요?

 

전원이 12볼트라면 A에 12볼트, B와 C에 각각 6볼트 걸리는데요. 전체저항은 1옴이고 전체전류는 12암페어이고요, 아래 위 모두 저항이 2암페어씩이므로,,, 위로 6암페어가,, 아래로 6암페어가 흐르죠. 

아래는, 직렬로 전류가 흐르므로 1옴짜리 저항에 같은 전류량이 흐릅니다.

그래서,,, A : B : C = 6 : 6 : 6 = 1 : 1 : 1 

전류의 비 A : B : C = 1 : 1 : 1입니다^&^

 

2. 병렬 연결된 저항에 걸리는 전압은 같다.

A에 걸리는 전압과 (B+C)에 걸리는 전압은 같다.

전압의 비 A : B : C = 2 : 1 : 1

 

무얼 보고 밑줄 친 결론이 나왔나요?

 아래 위로 다같이 24볼트가 걸리는데,,, 아래에는 같은 크기의 저항 2개가 직렬연결이라서 12볼트시씩 나눠 갖습니다.

그래서   A : B : C = 24:12:12 = 2:1:1입니다.

 

3. 발열량은 전압과 전류의 곱에 비례한다.

라고 나왔는데요~ 시간의 곱까지 비례하는 것 아닌가요?

 

아니면 시간이 일정해서 시간을 생략한 것인가요?

 

**둘 다 동일하다는 전제가 있으므로 굳이 언급 안 한 것 같아요^&^

 

본인

내일이 시험인데 갑자기 모르는 문제가 있어서요!!!! 꼭 제발 답해주세요!

 

저항값이 1인 저항2개를 각각 직렬 연결, 병렬연결 하였을때, 발열량의 비는 무엇인가?

 

인데.... 1옴이 저항값이라면 직렬연결에 전체저항이 2옴이잖아요

 

병렬연결에서는 전체저항이 1옴

 

그러면,, 전지가 같으니까 같은 전압이 흐른다고 보면, 전류가 병렬에서 2배 흐르는 것 뿐.

 

그럼. 1:2 아닌가요?

이건 초간단으로 생각해요^&^

 

일(모터, 발열, 빛 등등)을 하는 건 ㅡㅡㅡ>>결국은 전류!!! 명심해요^&^ 전압도 저항도 맞긴 맞지만 하나만 고르면 ........... ㅡㅡㅡ> 전류의 양입니다^&^

 

직렬의 전체 저항 = 2옴

병렬의 전체 저항 = 1/2 옴{ 1/(1/1 + 1/1/) = 1/2}

 

그러므로 병렬회로가 저항이 1/4밖에 안 되니 전류가 4배 더 흐르니 ㅡㅡㅡ> 발열량 4배요^&^

 

이해가 안가는 문제가 있어서요.ㅜ 좀 알려주세요

 

100V-100W인 전구A,C와 100V-200W인 전구B,D를 다음 그림과 같이 100V 전원에 연결하였다.

 (그림죄송....)

A~D중 가장 밝은 전구를 고르면?

답은.D

 

해설을 보면

C와 D에는 전격 전압이 걸리므로 정격 전력이 소비되지만,A와 B에는 정격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걸리므로 정격 전력보다 작은 전력이 소비된다. 따라서 소비 전력이 가장 큰D가 가장 밝다.

 

라고 써있는데요 뭔 소린지 모르겠어여 자세히 설명 좀 해주세요.ㅠㅠ

 

 

또 하나 질문할께요 병렬연결과 직렬연결에 대해 알려주세요 모양은 대충아는데 어쩔때는 헷갈려서요ㅠ

 

A~D중 가장 밝은 전구를 고르면?

답은.D

 100V-100W인 전구A,C : P=V× I 입니다. 단위로 보면요,,,,

 

전력 = 전압×전류. 저항 = 전압/전류

100V-100W,,,, 100와트=100볼트×전류... 고로 전류=1암페어.  저항 = 100볼트/1암페어=100옴

 

100V-200W,,,, 200와트=100볼트×전류... 고로 전류=2암페어.  저항 = 100볼트/2암페어=50옴

 

C와 D에는 정격 전압이 걸리므로 정격 전력이 소비되지만

   병렬연결이라서 그렇습니다.(가정의 가전제품은 모두 무조건 병렬연결 잊지 마세요!!!)

 즉 C는 100와트 전력 ,,, D는 200와트 전력 그대로 쓰임.

 

 

A와 B에는 정격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걸리므로 정격 전력보다 작은 전력이 소비된다. 따라서 소비 전력이 가장 큰D가 가장 밝다.

    요기에서는 '직렬연결'이므로,,,, 위에 계산해 놓은 '저항'을 함 보셔요. 직렬일 땐 저항이 클수록 전력소비가 크죠. 하지만,,,, 직렬이라서,,, 전류는,,, 병렬에 4배나 적게 흐릅니다. 걍 외워요^&^

 만일 님이 계산해 봐서 증명하면 금상첨화^^ 내가 저항계산해 놨으니 그걸 보고,,,,,,

 

 전력소비순서 DCAB 입니다. 걍 외우세요^^ 고1때 또 나오고 이과 물리선택하면 수능에도 나와요^&^

    

  

 

라고 써있는데요 뭔 소린지 모르겠어여 자세히 설명 좀 해주세요.ㅠㅠ

***********다른 질문에 대한 본인의 응답 참조요망요*****

질문

 

  

 

저는 이 식을 위는 직렬일 때, 아래는 병렬일 때 쓰는 것인줄 알았는데 예외인 경우도 있다고 하더군요.

 

대체 그 예외의 경우라는 것은 어떤 것이죠?

 

두 식을 각각 어떤 경우에 써야 하는지 부탁드립니다.

 

아. 그리고 어떤 상황에도 '직렬은 전류가 일정하고, 병렬은 전압이 일정' 한가요?

 

  답변

re: 중3 과학 전류 관련 질문

kwaon7
답변답변확정률 94.5%
2010.09.24 19:32
 

질문자 인사

답답하던게 해소 됬네요. 감사함돠 ㅋㅋㅋㅋ

저는 이 식을 위는 직렬일 때, 아래는 병렬일 때 쓰는 것인줄 알았는데 예외인 경우도 있다고 하더군요.

굳이 달리 쓰는 건 아니죠^^ 아무꺼나 제대로만 쓰면(즉 병렬이든 직렬이든 각 저항에 걸리는 저항값, 전류값, 전압값만 안 헷갈리고 아무 식에나 넣으면 되어요)

단지.... 님 말대로 하는 게 계산이 편하죠^^ 왜 편하냐? 직렬일 땐 어느 저항에서나,, 전류값이 같고,

병렬일 땐 어느 저항에서나 전압값이 같으니 편해서 그래요^^ 병렬이라도 병렬에 놓인 어떤 저항 하나에 흐르는 전류값을 알아 내 윗식에 대입하면 같은 답이 나와요^&^

 

 

대체 그 예외의 경우라는 것은 어떤 것이죠?

 

위에 써 놓은 것이 설명이 되겠습니다.ㅡㅡㅡㅡ>>병렬일 땐 어느 저항에서나 전압값이 같으니 편해서 그래요^^ 병렬이라도 병렬에 놓인 어떤 저항 하나에 흐르는 전류값을 알아 내 윗식에 대입하면 같은 답이 나와요^&^

 

두 식을 각각 어떤 경우에 써야 하는지 부탁드립니다.

 역시 위 설명에 다 있어요^^

 

아. 그리고 어떤 상황에도 '직렬은 전류가 일정하고, 병렬은 전압이 일정' 한가요?

 일단 회로가 확정된 후에는 그렇답니다^^

 

 

과학문제를 풀다 푸는 방법을 모르겠어요ㅠㅠㅠ

 

그림과 같이 R1,R2,R3,R4의 저항이 혼합 연결 되어있다.

R1에서 발생한 열량이 R3에서 발생한 열량의 4배일 때

R2의 저항은 얼마인가? 


 

답이 12Ω인데 왜 그런지 풀이 좀 해주세요 급합니다;;;ㅠㅠㅠㅠ

위의 회로를 이해하기 쉽게 새로 그려 볼게요^&^~~~~~

 

님 그림이 제 그림처럼 된답니다^^

R1에서 발생한 열량이 R3에서 발생한 열량의 4배일 때, R2의 저항은 얼마인가?

<<풀이>> R1 이랑 ... R3 의 저항은 같은데도 ㅋㅋㅋㅋ 발열량이 R3 의 4배나 된다??????;;;^&^

 

아~하~~~~^^ R3 에 흐르는 전류가 R1 의 1/2밖에 안 되어 글쿠나^&^

 전력 = 전류 제곱 * 저항 <ㅡㅡㅡ 이 공식을 씁니다(이 문제에서는 전압을 모르므로 ...^^)

 

R1의 전류를 2A라고 칩시다.

R1전력 = 2^2*4옴 = 16W 입니다.

R3 전력 = X암페어제곱 * 4옴 = 4W 가 되어야 발열이 1/4 배가 됩니다. ∴ X = 1A 입니다.

R1 에 흐르는 2A 가 전체전류입니다. 전류가 병렬연결에서는 나뉩니다. 병렬 위로 1A 가 흐르니 아래로도

 1A가 흐르겠네요. 즉 병렬연결에서 ... 아래 위로 같은 전류가 흐른다는 것은 아래 위의 저항이 같다는 얘기입니다.

 병렬의 위 저항이 4 + 8 =12옴<그 이유는 R3 와  R4 끼리는 서로 직렬연결이므로^^>입니다.

 

 그러니 ... 아래도 12옴 입니다.

 

 정답 R2 의 저항 : 12 Ω 


 

 

추가 답변입니다^&^

 

&&&&&&&&&&&&&&&&&&&&&&&&&&&&&&&&&&&&&&&&&&&&&&&&&&&&&&&&&&&&&&&

 

전체저항 = 병렬합성저항 + 1옴저항(저항을 크게 보면 직렬연결이라서 '+' 임)

= 1/(1/3 + 1/6) + 1 = 1/(1/2) + 1 = 2 + 1 = 3옴 !!!

전체전압 = 1.5V전지 2개 직렬연결 = 3V

V1 = 2V,  V2 = 2V,  V3 = 1V 입니다.

이유 ㅡㅡㅡ>> 병렬합성 저항이 2옴이고 이와 직결연결인 오른쪽이 1옴이라서 ㅡㅡㅡ>>부분전압은 전체전압을 저항의 크기에 비례해서 나눠 줍니다. ㅡㅡㅡ>>3V를 2:1 비율로 나눠주면 ㅡㅡㅡㅡㅡㅡ>> 합성저항부분 = 2V,  1옴 부분은 1V입니다. 그래서, V1 = 2V,  V2 = 2V,  V3 = 1V

전체전류 = 전압/저항 = 3V/3Ω = 1A 입니다.

그래서 전체전류 I = 1 A입니다. 이 전류가 저항의 병렬연결 부분으로 흘러가다가 ㅡㅡ>> 나뉘어 흐릅니다. (어떻게 나뉘어 흐르는 지는 처음에 올려놓은 답변에 자세히 있습니다.) 병렬연결로 나뉘어 흐르는데,,, 저항에 반비례해서 흐릅니다. 저항이 3옴인 저항에 흐르는 전류 I1 = 1A * 6/(3+6) = 1A * 2/3 = 2/3A 입니다.

그러니,,,, 6옴 저항에는 ㅡㅡㅡ>> = 1A - 2/3A = 1/3A 입니다. 즉 I2 = 1/3 A 이고,, I3 = 병렬저항에서 흘러나온 두 전류 ㅡㅡㅡ>> ( I1 = 2/3A) + (I2 = 1/3 A) = 1A 가 됩니다.

 V = { (V1=V2) + V3} ,,,,,,   I = I1 + I2 = I3 = 다시 I 와 같네요.
끝~~~~~

**************************추가 또******

전체저항부터 구해야합니다. 전체저항 = 직렬저항 + 병렬의 합성저항 = 12 + (10*40/(10+40)=12 +8=20옴


 

 

I(아이)= 전압/전체저항 = 100/20 = 5A

I1(아이원)= 5A

I2(아이투)= 5A*{40/(10+40)} = 4A

I1(아이원):I2(아이투)=(4  ):(5A*{10/(10+40)  )=( 4  ):( 1 )

R= 20옴

I= 5A

I1=5A

I2=1A

I3=4A(전선이 수도관이라고 치면 저항은 무지 가늘어진 파이프라고 생각하셔요^^ 병렬에서 물(=전류)이 갈라지는데, 병렬에서 전류가 갈라지는데, 저항이 클수록 상대 파이프보다 더 가늘므로 물이 적게 흘러 통과합니다. 병렬 벗어나면 다시 합쳐져서  전체 전선(수도관)에선 같은 량의 물(=전류)이 흐릅니다^^ 그래서, I1 = 5A 인 것입니다.

전체저항이 20옴이므로 V1= 100볼트* (12/20 )= 60볼트 (병렬저항하고 12옴 끼리만 보면 전체적으로 직렬연결임!!!.

V2=남는 40V 임!!!

V3=>는 V2와 병렬연결이므로 저항의 크기는 달라도 40V입니다^&^

본인
본인

중2과학문제좀 부탁해요

ho12793
2010.11.16 15:55
<OBJECT id=totalCount_110304_120173538 codeBase="http://fpdownload.macromedia.com/pub/shockwave/cabs/flash/swflash.cab#version=9,0,0,0" classid=clsid:d27cdb6e-ae6d-11cf-96b8-444553540000 width=120 align=middle height=30> <embed src="/static/flash/recommend.swf" wmode="transparent" flashvars=totalCount=0 quality="high" width="120" height="30" name="totalCount_110304_120173538" id="totalCount_110304_120173538" align="middle" allowScriptAccess="always"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pluginspage="http://www.macromedia.com/go/getflashplayer" /></OBJECT>
답변
1
조회
7
해설좀 부탁해요
<SCRIPT type=text/javascript> $Fn(function() { new nhn.Kin.QnaEnd.CommentAndMenu($("_WPSRT13_qna_detail_commentAndMenu")); }).attach(window,"load"); </SCRIPT>

kwaon7님의 지식을 나누어 주세요!
답변하시면 점수 10점을, 답변이 답변확정되면 점수25점을 드립니다.

<SCRIPT type=text/javascript> var rosAlertMessage = ""; var isRosActionOne2One = "false"; var isRosActionKinup = "false"; var isRosActionComment = "false"; $Fn(function() { nhn.Utility.initializeUserListBoxBySPS($("_WPSRT10_qna_detail_question"), "#_WPSRT10_qna_detail_question", ".au_layer_idmenu", "_user_id"); }).attach(window,"load"); </SCRIPT>

 

함을 표시한 그래프입니다.(전압의 크기를 나태내는 선이 직선이면서 수평이므로 ...)

 

 즉 <<전지의 병렬연결>>을 나타내는 그래프입니다.

 

그래서 정답은 3.번 입니다.^&^

 

1. 전지 연결은 병렬이다!!!

2. 일정한 전압만 얻을 수 있다.

4. 전지의 극을 (+)는 (+)끼리 연결하고, (-)는 (-)극끼리 연결한 병렬연결이다.

5. 전체전압은 전지의 개수와 무관하게 일정하다

제 그림의 전제조건 : 도선은 저항이 거의 0 이다 : 그래서 무지 굵은 수도관임.

저항이 클수록 아주 가늘어진 파이프이다.

전류는 물이다.

전압은 물을 보내는 수압이다.

일을 하는 건 전자(=전류=물)다

물(=전자)는 건전지로 되돌아온다.

건전지에 전자(=물=전류)가 있어도 수압펌프(전압)가 힘을 잃으면 물이 있어도 더 이상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없다.

 

 

 

 

 

○ 옴의 법칙


회로의 전기 저항이 일정할 때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전압이 클수록 커지는 이유는???


전압(電壓)을 수압(水壓)이라고 칩시다. 수압이 셀수록 수도꼭지를 조금만 틀어도 물(=전류(電流))이 콸콸 나오니 단시간에 많은 물을 받을 수 있는 것과 연관지어 생각하시면 됩니다^&^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전압에 비례하는 이유는?


바로 위의 설명을 거꾸로 따라가면 저절로 답이 나옵니다.^&^




○ 저항의 직렬 연결


각 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어느 곳에서나 일정한 이유는???

-> 전하량 보존 법칙. 전류가 전기 기구를 통과하면 전자 수나 전하량, 전류의 세기는 변함이 없고, 단지 전기 에너지가 소모되기 때문이다. : 맞습니다.  전자가 일(=빛, 열, 전동 모터 등)을 하여도 전자는 단 1개라도 사라지지 않고 원자핵과 충돌하여 일을 합니다. 직렬연결이므로 수도관 즉 파이프는 오직 하나로 연결 되어 있으니 물(=전류; 새어나가는 데는 없음.)은 저항이 큰 곳이나 작은 곳이나 같은 물이 흐릅니다.


전체 전압은 각 저항에 걸리는 전압의 합과 같은 이유는???

-> 수압이 저항이 클수록 더 걸리는데 직렬저항의 크기만큼 전체 수압(=전압)을 나눠가지기 때문입니다.


각 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저항에 비례하는 이유는?

-> 물(=전류)은 똑 같이 흘러야 하는데, 큰 저항에 물이 많이 흐르게 하려면 높은 수압이 작용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전체 저항의 크기가 각 저항의 크기를 더해야 나오는 이유는??

-> 저항이 계속 이어져 있으니(즉 저항의 직렬연결) 전체저항은 각 저항의 합과 같지 않고는 배겨날 수가 없지요^&^

 


이 그림에서 아래 10V는 10A 입니다(오타;;;)
○ 저항의 병렬 연결


각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합은 전체 전류와 같은 이유는?? : 전류(=물)이 각 저항에 나뉘어져 흐르다가 다시 합쳐지기 때문이랍니다.^&^

-> 전하량 보존 법칙으로 병렬연결을 하면 전류가 나눠지지만 다시 합쳐지는 데에서 전류가 더해진다. : 네 맞습니다.


각 저항에 걸리는 전압은 전체 전압의 크기와 같은 이유는??

-> 물이 갈라져서 다시 합치려면 전압(=수압)이 만약 다르다면 저항이 작은 쪽이나 아님 큰 쪽으로 역류현상이 일어나게 되니 전제전압=각 병렬의 저항과 안 같으면 말이 안 되기 때문입니다.


전체 저항의 역수가 각 저항의 역수를 더해야 나오는 이유는????

-> 병렬저항은 직렬저항과는 달리 물이 나뉘어져 흐르니 합성저항은 직렬연결의 각 저항과는 달리 반비례로 더 많이 흐릅니다. ㅡㅡㅡ>반비례는 역수에 비례하는 것과 같아서 그렇게 계산합니다.



 



본인

 

 

삐죽삐죽 되있는 부분은 저항이구요,

각 저항마다 1옴의 저항이 있습니다.

전압이 11V,6V때의 병렬연결된저항,전체저항,전체전류를

차례대로 써주셨으면 합니다.

 

 

EX) 전압이 11V일때

 

1.병렬연결된저항

 

2.전체저항

 

3.전체전류

 

 

EX) 전압이 6V일때

 

1.병렬연결된저항

 

2.전체저항

 

3.전체전류

 

 

 

 

이렇게 자세한 설명까지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EX) 전압이 11V일때

 

1.병렬연결된저항: 3/4옴


 2.전체저항  : 11/4옴

 

3.전체전류 : 11/(11/4) = 4암페어

 

 

EX) 전압이 6V일때

 

1.병렬연결된저항 : 3/4옴

 

2.전체저항 : 11/4옴

 

3.전체전류 : 24/11암페어

 

병렬부분 저항 구하기 : 3개는 직렬 = 1+1+1= 3옴

   그러므로,,, 병렬저항은 = 1/(1/1 + 1/3) =  3/4옴

전체저항(나머지 1옴은 크게 보면,,,직렬연결임, = 1 +1 +3/4 = 11/4옴

 

 

 ㄱ. 11A일 땐,,, 전체전류 = 11/(11/4) = 4A

 

 ㄴ.  6A일 땐,,, 전체전류 = 6/(11/4) = 24/11A

 

 

 모두 같은 전구일때 밝은 순서대로 구하면 어떻게되나요 하다가 이문제만 헷갈리네요 ㄷㄷ

제일 간단한 방법!!!!!

궁극적으로는 전압이고 저항이고 뭐고 다 때려 치워!! 일은 전류가 하는겨!

전류가 많이 흐르는 차례 찾는겨!!!

1번회로: 1등^^

2번회로: 2등^^ 근디,,,(나)가 (라)보다는 2배^^

3번회로: 무조건 꼴찌^^

 

 밝은 차례 : 가 ㅡ 나 ㅡ 라 ㅡ 다

 

 

 계산으로 풀면 넘 골치 아포;;;

 

저항이 모두 2옴이라고 칩시다. 전원은 12V라 칩시다.

각회로의 전체저항은,,,,

1번회로: 1/(1/2+1/2+1/2)=2/3옴  ∴전체전류 12/(2/3)=18A

2번회로:2+(1/(1/2+1/2))= 2+ 1/1=2+1=3옴   ∴전체전류 4A

3번회로:2+2+2=6옴  ∴전체전류 2A.....

 이런 식으로 풀어요^&^

 

아래에 제 다른 질문에 대한 답변 보고,, 이해 더 잘 하세요^^~~~~~~~~~~~~~~~~~~~

그 이하는 보너스랍니다^^ 님아~~~^&^

 ***************************************************************************************

 

① 2 : 3 : 6② 6 : 3 : 2③ 9 : 2 : 1

④ 1 : 2 : 9⑤ 1 : 1 : 1

 

위의 저항은 모든 같음.

 

 

100V-100W인 전구A,C와 100V-200W인 전구B,D를 다음 그림과 같이 100V 전원에 연결하였다.

 (그림죄송....)

A~D중 가장 밝은 전구를 고르면?

답은.D

 

해설을 보면

C와 D에는 전격 전압이 걸리므로 정격 전력이 소비되지만,A와 B에는 정격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걸리므로 정격 전력보다 작은 전력이 소비된다. 따라서 소비 전력이 가장 큰D가 가장 밝다.

 

라고 써있는데요 뭔 소린지 모르겠어여 자세히 설명 좀 해주세요.ㅠㅠ

 

 

또 하나 질문할께요 병렬연결과 직렬연결에 대해 알려주세요 모양은 대충아는데 어쩔때는 헷갈려서요ㅠ

 

A~D중 가장 밝은 전구를 고르면?

답은.D

 100V-100W인 전구A,C : P=V× I 입니다. 단위로 보면요,,,,

 

전력 = 전압×전류. 저항 = 전압/전류

100V-100W,,,, 100와트=100볼트×전류... 고로 전류=1암페어.  저항 = 100볼트/1암페어=100옴

 

100V-200W,,,, 200와트=100볼트×전류... 고로 전류=2암페어.  저항 = 100볼트/2암페어=50옴

 

C와 D에는 정격 전압이 걸리므로 정격 전력이 소비되지만

   병렬연결이라서 그렇습니다.(가정의 가전제품은 모두 무조건 병렬연결 잊지 마세요!!!)

 즉 C는 100와트 전력 ,,, D는 200와트 전력 그대로 쓰임.

 

 

A와 B에는 정격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걸리므로 정격 전력보다 작은 전력이 소비된다. 따라서 소비 전력이 가장 큰D가 가장 밝다.

    요기에서는 '직렬연결'이므로,,,, 위에 계산해 놓은 '저항'을 함 보셔요. 직렬일 땐 저항이 클수록 전력소비가 크죠. 하지만,,,, 직렬이라서,,, 전류는,,, 병렬에 4배나 적게 흐릅니다. 걍 외워요^&^

 만일 님이 계산해 봐서 증명하면 금상첨화^^ 내가 저항계산해 놨으니 그걸 보고,,,,,,

 

 전력소비순서 DCAB 입니다. 걍 외우세요^^ 고1때 또 나오고 이과 물리선택하면 수능에도 나와요^&^

    

그림과 같이 R1,R2,R3,R4의 저항이 혼합 연결 되어있다.

R1에서 발생한 열량이 R3에서 발생한 열량의 4배일 때

R2의 저항은 얼마인가? 


 

답이 12Ω인데 왜 그런지 풀이 좀 해주세요 급합니다;;;ㅠㅠㅠㅠ

위의 회로를 이해하기 쉽게 새로 그려 볼게요^&^~~~~~

 

님 그림이 제 그림처럼 된답니다^^

R1에서 발생한 열량이 R3에서 발생한 열량의 4배일 때, R2의 저항은 얼마인가?

<<풀이>> R1 이랑 ... R3 의 저항은 같은데도 ㅋㅋㅋㅋ 발열량이 R3 의 4배나 된다??????;;;^&^

 

아~하~~~~^^ R3 에 흐르는 전류가 R1 의 1/2밖에 안 되어 글쿠나^&^

 전력 = 전류 제곱 * 저항 <ㅡㅡㅡ 이 공식을 씁니다(이 문제에서는 전압을 모르므로 ...^^)

 

R1의 전류를 2A라고 칩시다.

R1전력 = 2^2*4옴 = 16W 입니다.

R3 전력 = X암페어제곱 * 4옴 = 4W 가 되어야 발열이 1/4 배가 됩니다. ∴ X = 1A 입니다.

R1 에 흐르는 2A 가 전체전류입니다. 전류가 병렬연결에서는 나뉩니다. 병렬 위로 1A 가 흐르니 아래로도

 1A가 흐르겠네요. 즉 병렬연결에서 ... 아래 위로 같은 전류가 흐른다는 것은 아래 위의 저항이 같다는 얘기입니다.

 병렬의 위 저항이 4 + 8 =12옴<그 이유는 R3 와  R4 끼리는 서로 직렬연결이므로^^>입니다.

 

 그러니 ... 아래도 12옴 입니다.

 

 정답 R2 의 저항 : 12 Ω 


 

 

추가 답변입니다^&^

 

&&&&&&&&&&&&&&&&&&&&&&&&&&&&&&&&&&&&&&&&&&&&&&&&&&&&&&&&&&&&&&&

 

전체저항 = 병렬합성저항 + 1옴저항(저항을 크게 보면 직렬연결이라서 '+' 임)

= 1/(1/3 + 1/6) + 1 = 1/(1/2) + 1 = 2 + 1 = 3옴 !!!

전체전압 = 1.5V전지 2개 직렬연결 = 3V

V1 = 2V,  V2 = 2V,  V3 = 1V 입니다.

이유 ㅡㅡㅡ>> 병렬합성 저항이 2옴이고 이와 직결연결인 오른쪽이 1옴이라서 ㅡㅡㅡ>>부분전압은 전체전압을 저항의 크기에 비례해서 나눠 줍니다. ㅡㅡㅡ>>3V를 2:1 비율로 나눠주면 ㅡㅡㅡㅡㅡㅡ>> 합성저항부분 = 2V,  1옴 부분은 1V입니다. 그래서, V1 = 2V,  V2 = 2V,  V3 = 1V

전체전류 = 전압/저항 = 3V/3Ω = 1A 입니다.

그래서 전체전류 I = 1 A입니다. 이 전류가 저항의 병렬연결 부분으로 흘러가다가 ㅡㅡ>> 나뉘어 흐릅니다. (어떻게 나뉘어 흐르는 지는 처음에 올려놓은 답변에 자세히 있습니다.) 병렬연결로 나뉘어 흐르는데,,, 저항에 반비례해서 흐릅니다. 저항이 3옴인 저항에 흐르는 전류 I1 = 1A * 6/(3+6) = 1A * 2/3 = 2/3A 입니다.

그러니,,,, 6옴 저항에는 ㅡㅡㅡ>> = 1A - 2/3A = 1/3A 입니다. 즉 I2 = 1/3 A 이고,, I3 = 병렬저항에서 흘러나온 두 전류 ㅡㅡㅡ>> ( I1 = 2/3A) + (I2 = 1/3 A) = 1A 가 됩니다.

 V = { (V1=V2) + V3} ,,,,,,   I = I1 + I2 = I3 = 다시 I 와 같네요.
끝~~~~~

**************************추가 또******

전체저항부터 구해야합니다. 전체저항 = 직렬저항 + 병렬의 합성저항 = 12 + (10*40/(10+40)=12 +8=20옴


 

 

I(아이)= 전압/전체저항 = 100/20 = 5A

I1(아이원)= 5A

I2(아이투)= 5A*{40/(10+40)} = 4A

I1(아이원):I2(아이투)=(4  ):(5A*{10/(10+40)  )=( 4  ):( 1 )

R= 20옴

I= 5A

I1=5A

I2=1A

I3=4A(전선이 수도관이라고 치면 저항은 무지 가늘어진 파이프라고 생각하셔요^^ 병렬에서 물(=전류)이 갈라지는데, 병렬에서 전류가 갈라지는데, 저항이 클수록 상대 파이프보다 더 가늘므로 물이 적게 흘러 통과합니다. 병렬 벗어나면 다시 합쳐져서  전체 전선(수도관)에선 같은 량의 물(=전류)이 흐릅니다^^ 그래서, I1 = 5A 인 것입니다.

전체저항이 20옴이므로 V1= 100볼트* (12/20 )= 60볼트 (병렬저항하고 12옴 끼리만 보면 전체적으로 직렬연결임!!!.

V2=남는 40V 임!!!

V3=>는 V2와 병렬연결이므로 저항의 크기는 달라도 40V입니다^&^

본인

과학 중2 7 단원 전기의 발생~ 저항의...

과학 중2 7 단원 전기의 발생~ 저항의 연결 까지 요점정리해주세요 사진도 요~~~ 제 여러 답변 참조하시고,,, 님 문제집에서 어려운 문제는,,,, 내공 없이,,, 1:1로 물어...

중2 과학 7단원 전기 요점정리좀...

아안냥하세요 중2과학 7단원 전기에관한 요점정리 좀... 새로 발생하지 않 으며 언제나 처음의 양이 그대로... 저항의 연결 (1) 저항의 직렬 연결 I=I_1``=I_2 V= IR 이므로 V...

[중2 - 과학] 6단원 7단원 요점정리...

... [중2 - 과학] 6단원.지구의 역사와 지각변동 7단원.전기 요점정리 부탁드려요. ※ 기출문제사이트 알려주시면 더... 서로 연결된다 ★ 대륙을 이동시키는 힘 판을 이동시키는...

중2 과학 요점정리 4~7단원

4~7단원 까지 요점정리좀 해주실수있나요? 중2과학이 학교 교과서마다 달라서 교과서 출판사랑 단원 명들도 알려주실 수 있나요?

중2 과학 전기 요점정리

중2 과학 전기 전류와전압부분하고 전기저항부분 요점정리좀 부탁드릴게요 내공 80드려요 전압 1. 전압 (1) 전압... 전지의 직렬 연결과 전압 1. 전지의 직렬 연결 (1) 연결 방법...

중2 과학 2단원 전기와 자기 질문

중2 2단원 전기와 자기에 대한 질문이 있어요 ㅠㅠ 1. 전류계는 저항/전기를 필요로하고, 전압계는 저항/전기가... 답 전류계는 회로에서 직렬로 연결해야 됩니다.그러니 저항...

중1과학 7,8,9단원 요점정리...

중1과학 7,8,9 단원 마인드맵인데요 4절지에다 해야하는데 아직 진도가 안나가서요... 마인드맵 그림하고 요점정리... 때 발생하는 전기 5) 중력 : 지구가 물체를 끌어당기는 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