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키즈존 찬성측,반대측 반박좀...ㅜ

노키즈존 찬성측,반대측 반박좀...ㅜ

작성일 2022.12.07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학교에서 토론한다고 주제로 노키즈존 찬성,반대로 한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찬성측과 반대측 둘다 의견을 알아야해서..ㅜ 의견은 최대한 과학적,논리적으로 알려주세요..ㅜ 의견 각각 3개이상이에요! 내일까지 라서..빨리해주셨음해요! :)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노키즈존이 필요할까요?

카페나 식당, 술집이 많은 서울의 유흥가 지역에서 주로 볼 수 있었던 ‘노키즈존’이 최근 수도권 전역으로 퍼지고 있어요. 어린이의 출입을 금지하는 ‘노키즈존’ 상점들은 “어린이들이 큰 소리로 소란을 피우고 떠들어서 다른 손님들에게 피해를 준다.”, “어린이가 상점을 돌아다니다 사고를 당하면 상점 주인이 보상해야 한다.” 는 이유를 내세우며 노키즈존을 실시하고 있는데요.

' 한편에서는 어린이에 대한 명백한 차별이라며 노키즈존을 반대하고 있어요. 상점에 출입할 권리는 어린이에게도 있는데, 그것을 상점이 일방적으로 빼앗을 수는 없다는 이야기지요. 다른 손님들에게 피해를 주는 일부 어린이 때문에 모든 어린이들의 출입을 금지하는 건 지나치다는 주장도 있고요.

이번 주제는 어린이인 여러분의 이야기입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2. 어린이가 다른 손님에게 피해를 주고 안전사고의 위험도 있습니다.

1) 소란을 피우는 아이들과 이를 방치하는 몰지각한 부모들 때문에 필요합니다.

노키즈존이 등장한 이유는 일부 자기중심적인 부모들 때문입니다. 아기를 데리고 왔던 한 손님이 아기의 변이 묻은 기저귀를 커피전문점 테이블에 놓고 가 화제가 된 적이 있습니다. 노키즈존은 이러한 일부 몰지각한 부모의 태도 때문에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자신의 아이가 다른 손님들에게 방해가 되지 않도록 부모 스스로 솔선수범하거나 자신의 아이에게 다른 손님들을 배려하는 법을 가르치는 일이 선행되지 않는다면, 노키즈존의 확산은 불가피합니다.

2) 상점 주인도 매출 감소를 감수하고 시행하는 것입니다.

노키즈존은 어린이에 대한 차별이라기보다는 상점 주인의 입장에서 볼 때, 어린이의 안전과 다른 손님들의 편리함을 모두 보장할 수 있는 정당한 조치입니다. 어린이의 부주의로 사고가 날 경우, 종업원과 상점 주인이 져야 하는 책임이 상당히 큽니다. 상점 주인으로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입니다. 안전사고에 쉽게 노출되어 다치거나 상점 주인과 다른 손님들에게 피해를 주어 모두가 불쾌해지는 것보다는 노키즈존을 만들어 서로 얼굴 붉히는 일을 줄여 나가야 하는 일이 최선입니다.

3. 노키즈존은 어린이에 대한 차별입니다.

1) 모든 아이들이 소란을 피우거나 모든 부모들이 몰지각하지 않습니다.

상점 주인이 어른들의 편의와 경제적인 이익 때문에 어린이의 출입을 제한하는 것에는 문제가 있습니다. 어린이와 부모 둘 다에 대한 명백한 차별입니다. 몇몇 몰지각한 부모 때문에 모든 부모와 어린이들이 차별 당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모든 아이들이 시끄럽게 소란을 피우거나 모든 부모들이 몰지각하게 아이의 행동을 두고 보지만은 않습니다. 부모는 아이에게 공공예절을 가르치고 어른들은 어린이를 좀 더 배려하는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2) 특정 고객을 차별하는 문화가 확산될 수 있습니다.

어린이의 출입을 제한하는 방법보다 좀 더 나은 방법을 고안해야 합니다. 노키즈존이 이대로 확산된다면 우리 사회가 이런 차별에 대해 점점 더 무감각해지는 결과를 낳을 것입니다. 어린이를 차별하는 노키즈존에 이어 특정 고객을 차별하는 '노○○존'이 확산될 수도 있습니다. 서로 조금씩만 배려해주고 이해해준다면, 노키즈존은 필요하지 않을 것입니다.

4. 노키즈존에 관한 배경지식

1) 노키즈존

- 음식점이나 카페 등에서 어린이들의 출입을 금지하는 것.

- 출입 제한 대상이 되는 어린이의 연령대는 5세 이하, 10세 미만, 중학생 미만 등 상점마다 다르다.

2) 노키즈존이 확산된 계기

2011년 한 식당에서 뜨거운 물이 담긴 그릇을 들고 가던 종업원과 부딪힌 10세 어린이 손님이 화상을 입었다. 법적 공방 끝에 2013년 부산지법은 식당 주인과 종업원에게 4,100만 원을 배상하라고 판결했다. 법원은 10세 어린이 부모의 책임을 30%로, 식당 주인과 종업원의 책임을 70%로 봤다. 이 일을 계기로 노키즈존을 실시하는 상점들이 크게 늘고 있다.

노키즈존 찬성 반대

찬성 혹은 반대하는 이유 3가지 써주세요. 근데 각각에 기본권 넣어서 이유좀 써주세요.... 반대 이유 1. 노키즈존은 어린이와 그 가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는 연령 차별로 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