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왕권 강화 ,정복전쟁, 불교 수용, 율령 반포를 노래로 ....ㅜㅜ

신라 왕권 강화 ,정복전쟁, 불교 수용, 율령 반포를 노래로 ....ㅜㅜ

작성일 2012.04.01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학교 숙제인데, .. 내일 까지 에요.. 제발 부탁드립니다....

신라 왕권 강화 ,정복전쟁, 불교 수용, 율령 반포를 노래로  하라네요...........

어려운건 알지만 ㅂ부탁드립니다.,ㅜ ㅜ


#신라 왕권 강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불교가 우리 땅에 들어 온지도 어언 1600년이 넘었다. 그러나 불교에 대해서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이 매우 드물다는 사실을 알고 많이 놀랐다.

 

더구나 불교 신자 중에도 불교 사상을 간략하게나마 제대로 아는 사람이 별로 없다. 하물며 자신이 믿지 않는 종교에 대해서는 그 오해가 얼마나 크겠는가.

 

종교란 무엇인가 물음에 불교신자는 가장 큰 가르침이라고 답변 할 수 있겠다. 석가모니 부처님을 신으로 믿는 것이 아니라 스승님으로 또는 먼저 깨우친 선배님, 즉 사람으로 여기고 가르침을 따르는 것이기 때문이다.

 

인도의 위대한 지도자 마하트마 간디는 힌두교 신자였지만 아들에게서 아버지는 불교신자라는 비판을 평생 동안 받았다. 아마도 간디가 불교 공부를 많이 하고 이해의 폭이 넓었기 때문에 그런 말을 들었을 것이다.

 

또한 그는 한 서방의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성경 속에 있는 예수님의 가르침인 산상수훈이 기독교 정신이라면 자신을 기독교 신자라고 불러도 좋다고 답변하였다.

 

이렇듯 간디는 상대방의 종교에 대한 이해가 상당했음을 알 수 있다. 간디는 종교라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모든 폭력과 전쟁을 몹시도 가슴 아프게 생각했다.

 

이 책은 종교 간의 차이점을 강조하기 위해 쓴 것도 아니고 특정종교를 비판하기 위하여 쓴 것도 아니다.

 

최소한이라도 상대방을 알자는 것이다. 오해해서 비난하는 일은 서로의 상처만 깊게 할 뿐이다.

 

내 가까운 사람이 종교생활을 잘못 한다고 해서 그 종교전체를 비난하는 성급한 일은 하지 말아야 하겠다.

 

영화 한편을 보는 시간만으로도 불교의 핵심을 알게 하자는 의도로 만들었다. 간략하고 쉽게 쓰는 것이 두껍고 어렵게 쓰는 것보다 훨씬 힘든 작업이었다.

 

이 간략한 책을 통하여 자신이나 이웃이 가진 종교에 대해서 하나라도 더 알게 된다면 이 책이 나온 소기의 목적이 달성된 것으로 생각한다.

 

 

-알기 쉬운 불교사상-

출판사: 퍼플 / 판매 : 교보문고 전자책 ( eBook )

서문에서 인용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불교에 대한 공통점은 삼국 모두 왕권강화를 위해 호국불교였습니다.

차이점은 신라는 학승이 많고 이론적이었고 고구려는 미슬과 생활에 연관을 두었습니다.

백제는 사찰건축과 예술에 두각이 나타나고 일본과 교류에 힘을 썼습니다.

고구려도 담징은 일본 미술과 불교에 힘을 썼습니다.

 

 

한국에 불교가 최초로 전파된 것은 372년(고구려 소수림왕 2)6월에 중국의 진나라의 순도와 아도가 불경과 불상을 가지고 들어와 초문사와 이불란사 등을 창건하고 설법을 시작한 것이 그 시초이라고 합니다.

이들의 설법과 전도를 공허한 고구려에서는 그후 평양의 9개의 절과 반룡사영탑 등을 짓는 한편 불교 전파에도 힘써 많은 고승이 배출되었습니다.
의연은 불교역사 연구를 통하여 많은 업적을 남겼고, 담징과 법정 등은 일본에 불교를 전파하였습니다.

그런데 도림과 덕창 및 혜량과 신성 등은 고구려의 호국불교를 위한 실력배양에 많은 힘을 기울였습니다.

 

백제는 384년(침류왕 1) 인도의 승려인 마라난타가 동진을 경유하여 입국해서 왕의 우대를 받고 궁중에 머물다가 이듬해 남한산에 절을 짓고 포교를 시작하였습니다.

그후 미륵사와 한산불사 및 수덕사 등 많은 사찰이 건조되엇습니다.

백제불교는 일본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 많은 고승들이 일본에 건너가 불교 전파에 큰 공헌을 하였는데, 일본 성실종의 개조가 된 도장을 비롯하여 혜총과 도림 등이 있습니다.

이 밖에도 백제 멸망 후 그 재건을 위해 궐기하였던 승장 도침이 있습니다.

또한 인도에 유학하고 귀국 후 율부 72권을 번역한 겸익 등도 유명합니다.

 

신라는 삼국 중에서 불교가 가장 늦게 전파된 나라로 527년(법흥왕 14) 이차돈의 순교가 있은 후 비로소 공인되었는데 그후 급속히 발전하여 국가적 종교로 존숭되고 승려와 사원이 국가의 두터운 보호를 받게 되었습니다.

많은 구법승이 인도와 당나라에 유학하였고 그들에 의하여 당나라의 13종이 도입되어 발전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선종은 독자적으로 발전하였습니다.

이른바 구산선문의 분파를 이루었습니다.

국가 안태와 왕실의 번영을 비는 호국불교로서의 신라불교는 정치와 문화 및 사상과 국민생활에까지 지대한 영향을 끼쳤을 뿐만 아니라 건축과 공예 방면에도 찬란한 예술의 꽃을 피웠습니다.

한편 수많은 고승이 배출되어, 원광과 같은 대학승은 세속5계로 국민도의를 확립하였습니다.

그리고 자장은 문물제도를 수립하였으며, 의상은 실천적인 수행과 사찰의 건립을 통하여 화엄의 교리를 널리 펴는 한편 많은 학승을 양성하였습니다.

원효는 80여 부의 논소를 지어 불교의 대중화를 꾀하는 한편 통일불교 창조에 정력을 쏟았습니다.

의상과 원효는 그 학통이 중국과 일본에도 널리 알려졌습니다.

원측은 유식설에 통달하여 독특한 견해를 가졌고, 그 때문에 중국의 법상종 정통파에게는 비난을 받았으나 그의 저술 해심밀경소는 티베트어로 번역되어 전하여지고 잇습니다.

혜초는 인도에 건너가 불적을 순례하고 육로로 중앙아시아를 거쳐 귀국한 다음 왕오천축국전을 저술하여 귀중한 자료를 남겼습니다.

신라 왕권 강화 ,정복전쟁, 불교 수용...

... 신라 왕권 강화 ,정복전쟁, 불교 수용, 율령 반포를 노래로 하라네요........... 어려운건 알지만 ㅂ부탁드립니다.,ㅜ ㅜ 1 불교가 우리 땅에 들어 온지도 어언 1600년이 넘었다....

한국사에서 왕권 강화불교 수용이...

... 발전하면서 왕권강화되었고 강화되었을 때 율령(법)을 반포하고 불교수용했다고 하는데 왜 많은 종교... 참고로 한가지 더 알려드린ㄷㅏ면, 신라엔 더 불교수용이...

병부설치, 율령반포, 공복제정 불교공인...

신라 법흥왕이 병부설치 율령반포 공복제정 불교공인 건원이라는 연호사용 골품제정비 금관가야 정복을 하였는데... 것이니 왕권강화에 많은 영향을 주었을 것입니다. 정확히...

신라 법흥왕

... 알려주세요ㅜㅜ 4번은 안 적어주셔도 됩니다.. 신라 법흥왕: 1.... 중앙 집권 강화: 상대등과 병부를 설치하고 율령반포하여 중앙 정부의 권한을 강화했습니다. 불교 장려...

백제의 불교 공인과 수용은 그 당시의

... 정비하고 왕권강화와 중앙집권화를 위한 개혁정치를 했고 그 일환으로 태학을 설립하고 율령반포하기도 했습니다. 불교수용해서 사상의 통일을 꾀하는 것은...

신라 불교문화 왕권관계 책읽다가...

... 이는 신라뿐아니고.. 고구려, 백제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삼국시대의 왕권강화책으로 대표적인것이 율령반포, 불교수용, 부자상속, 지방정권의 중앙 귀족화,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