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음운체계

국어음운체계

작성일 2023.06.19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중3국어음운체계 이해가 안되서 그러는데 정말 쉽게 이해되게 설명해주실분 있나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안녕하세요. 매월 선생님들도 시험보는 학원, 목동 길벗아카데미 국어과 이현호T 입니다.

질문자님께서 음운의 체계에 대해서 질문을 주셨네요.

이것을 중3 70점 이상을 대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음운이란? 말의 뜻을 구별하는 가장 작은 소리의 단위를 말합니다. 음운에는 자음과 모음, 소리의 길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말'과 '발'은 단어의 뜻이 다르죠? 근데 이 두 단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ㅁ'과 'ㅂ'의 차이죠. 이렇게 말의 뜻을 구별하는 'ㅁ'과 'ㅂ'. 즉, 자음이 음운입니다.

또한 '말'과 '물'도 역시 단어의 뜻이 다르죠? 그런데 이 둘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ㅏ'와 'ㅜ'의 차이죠. 이렇게 말의 뜻을 구별하는 'ㅏ'과 'ㅜ'. 즉, 모음이 음운입니다.

마찬가지로 소리의 길이도 소리의 길이가 긴 '눈'은 내리는 눈이고, 소리의 길이가 짧은 '눈'은 사람의 눈을 의미하는 단어로서 다른 뜻의 단어 입니다.

이렇게 말의 뜻을 구별하는 가장 작은 소리의 단위를 음운이라고 합니다.

음운의 체계에는 자음의 체계와 모음의 체계가 있습니다.

첫 번째로 자음이란 소리를 낼 때 공기의 흐름이 목 안 또는 입안에서 장애를 받고 나오는 소리를 말합니다.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ㅉ 총 19개)

자음의 체계는 '소리 내는 위치'와 '소리 내는 방법'에 따라 나뉩니다.

소리 나는 위치

소리 내는 방법

입술

소리

잇몸

소리

센입

천장

소리

여린입천장소리

목청

소리

파열음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마찰음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파찰음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비음

유음

(1) 소리 나는 위치에 따른 자음의 분류

입술소리: 입술 사이에서 나는 소리

잇몸소리: 혀끝윗잇몸 사이에서 나는 소리

센입천장소리: 혓바닥센입천장 사이에서 나는 소리

여린입천장소리: 뒷부분여린입천장 사이에서 나는 소리

목청소리: 목청 사이에서 나는 소리

(2) 소리 내는 방법에 따른 자음의 분류

파열음: 입안의 어떤 위치에서 공기흐름을 막았다가 그 막은 자리를 일시에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

마찰음: 입안이나 목청 사이의 통로좁히고 그 틈 사이로 공기를 내보내어 마찰을 일으키면서 내는 소리

파찰음: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막았던 자리를 조금 열고 좁은 틈 사이로 공기를 내보내어 마찰을 일으키면서 내는 소리

비음: 입안통로를 막았다가 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

유음: 혀끝을 잇몸에 가볍게 대었다가 떼거나 혀끝을 윗잇몸에 댄 채 공기를 그 양옆으로 흘려보내면서 내는 소리

(3) 소리의 세기에 따른 자음의 분류

예사소리: 성대를 편안히 둔 상태에서 발음되며 숨이 거세게 나오지 않음.

된소리: 성대 근육긴장되며 숨이 거세게 나오지 않음.

거센소리: 성대 근육긴장되며 숨이 거세게 나옴.

다음으로 모음이란 소리를 낼 때 공기의 흐름이 입안에서 장애를 받지 않고 나오는 소리를 말합니다.

모음의 종류에는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나뉩니다.

단모음은 발음할 떄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변하지 않는 모음이고 이중모음은 발음할 떄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변하는 모음입니다.

단모음은 발음할 때 혀의 최고점의 위치, 입술 모양, 혀의 높낮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혀의 최고점의

위치

입술

모양

혀의 높낮이

전설 모음

후설 모음

평순 모음

원순 모음

평순 모음

원순 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 혀의 최고점입천장중간점을 기준으로 앞쪽에 놓이는 전설 모음과 뒤쪽에 놓이는 후설 모음

• 혀의 높이가 높은 고모음, 혀의 높이가 중간인 중모음, 혀의 높이가 낮은 저모음

• 입술을 둥글게 오므려 소리 내는 원순 모음과 그렇지 않은 평순 모음

여기에서 전설 모음과 후설 모음을 구분하는 팁을 하나 드리자면... 'ㅣ' 모음이 들어가는 것은 '전설모음'이고 'ㅣ'모음이 들어가지 않는 것은 '후설모음'입니다.

중1은 자유학기제로 시험을 보는 학교가 있고 보지 않는 학교가 있는데 품사 부분은 중1 국어 교육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문법 사항이므로 이 문제가 시험에 출제가 된다면 출제율은 4.5/5 정도 되고 난이도는 3/5 정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어떠신가요? 도움이 많이 되셨나요? 국어를 더 체계적으로 배우고 싶다면, 이러한 꼼꼼한 해설을 듣고 싶다면, 더 많은 도움을 받고 싶다면, 좀 더 국어를 재미있고 쉽고 현장감 있는 강의를 듣고 싶다면 길벗아카데미 이현호T를 찾아주세요. 02) 2062-1858

(380) 상관없다. 그래도 푸는게 나 [국어과 이현호T] - YouTube

(380) [입시 설명회 6부] 길벗 대표원장이 말하는 2005년부터 지금까지 18년동안 목동 대표 학원이 될 수 있었던 비법 - YouTube

길벗아카데미 목동대표학원(수학/영어/국어) (gilbutacademy.com)

중3 국어 음운체계

'알다'는 음운이 4개인가요? 알의 ㅇ은 ㅏ를 꾸며준거니까?? 알다의 음운은 4개입니다. 알다 ㅏ, ㄹ, ㄷ, ㅏ 처음에 오는 ㅇ은(초성 ㅇ은) 소리값이 없기 때문에 음운으로 보지...

중3 국어 음운체계 질문

... “다람쥐”에서 ㅏ모음은 후설이지만, ㅟ모음은 전설모음입니다. *참고: 음운 체계 단원은 자음과 모음 체계표를“ 반드시” 외워야만 시험을 볼 수 있어요. 꼭 암기하세요.

국어 음운체계 문제

... '우주'의 음운 개수를 세는 법에 있어, 초성의 'ㅇ'은 음가가 없고, 종성에만 음가가 있습니다. '우주:ㅜ/ㅈ/ㅜ'로 자음 1개, 모음 2개의 구성이므로 맞는 선지임. 1. 설명의...

국어 음운체계

문제 풀어주세요 ♥② "콩"입니다. "산"과 "콩"은 초성, 중성, 종성을 모두 갖춘 음절입니다. ①③④는 종성이 없고 ⑤는 초성이 없습니다. 끝.

국어 음운체계 문제해설

두문제 답 좀 알려주세요 빨리..ㅜㅜㅜ 1.8번 문제 답 5, 7번 문제 답 1 2. (1) 반모음은 단모음이 아닌 이중모음의 필요 조건입니다. 그러니 8번에서 맞는 진술은 5입니다. (2)...

중3 국어 음운체계

이것도 답은 1번인데 3번은 왜 답이 안돼죠? 문제에서는 '소리 내는 방법'에 따라 바르게 분류한 것을 찾으라고 했는데 소리내는 방법이란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