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글자 고사성어 많이적어주세요

3글자 고사성어 많이적어주세요

작성일 2018.05.24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3글자 고사성어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질문 : 3글자 고사성어

 

 궁즉통 [窮則通]

 [한자 뜻과 음] 궁할 궁, 곧 즉, 통할 통. [풀이] 궁하면 오히려 통하는 데가 있음. 매우 궁한 처지에 이르면 도리어 펴 나갈 방법이 생김.

 

 

금상첨화(錦上添花) 비단위에 꽃을 더함 즉 비단만 하여도 아름다운데 예쁜 꽃까지 보태니 더욱 예쁘다는 뜻으로 좋은 일에 또 좋은 일이 겹칠 때에 씀.

 

결초보은(結草報恩) 풀을 묶어, 공을 세우게 하여, 은혜를 죽어서까지 갚음

 

화양연화(花樣年華) 인생에서 가장 아름답고 행복한 순간을 표현하는 말.

 

보국안민 (輔國安民) 나라를 도와 백성을 편하게 함.

 

독안룡(獨眼龍) : 獨 홀로 독, 眼 눈 안, 龍 용 용
애꾸눈의 용이란 뜻으로, 애꾸눈의 영웅, 애꾸눈이지만 덕이 높은 사람을 가리키는 말.

불수진(拂鬚塵) : 拂 떨칠 불, 鬚 수염 수, 塵 먼지 진
수염에 붙은 먼지를 털어주면 된다. 즉 윗사람이나 권력자에게 아첨하는 것을 비유한 말.

 

 백안시(白眼視) : 白 흰 백, 眼 눈 안, 視 볼 시
흰 눈으로 쳐다보는 것이기에 남을 업신여기거나 홀대함

시오설(視吾舌) : 視 볼 시, 吾 나 오, 舌 혀 설
내 혀를 보라는 뜻으로, 혀만 있으면 천하도 움직일 수 있어요는 의미.
월하로(月下老)와 빙상인(氷上人)이 합쳐진 것으로, 결혼 중매인을 일컫는 말.

 
일자사(一字師) : 一 한 일, 字 글자 자, 師 선생 사
한 글자를 가르쳐 준 스승이란 뜻으로, 핵심을 짚어주는 유능한 스승을 가리킨다.

등용문(登龍門) : 登 오를 등, 龍 용 용, 門 문 문
용문에 오른다는 뜻으로 입시나 출세의 관문을 뜻한다.


도원경(桃源境) : 桃 복숭아 나무 도, 源 근원 원, 境 지경 경
무릉도원, 즉 평화스런 유토피아

고가성어는 3자보다는 4자성어가 대부분이지요~~

 

간담상조(肝膽相照) : 肝 간 간, 膽 쓸개 담, 相 서로 상, 照 비칠 조
서로 간과 쓸개를 꺼내 보이는것 같다는 뜻으로 마음이 잘 맞는 절친한 사이를 가리키는 말.

개과천선(改過遷善) : 改 고칠 개, 過 지날 과, 遷 옮길 천, 善 착할 선
지난 잘못을 고쳐 새사람이 됨.

거안제미(擧案齊眉) : 擧 들 거, 案 책상 안, 齊 가지런할 제, 眉 눈썹 미
밥상을 눈 위로 들어올린다. 즉 아내가 남편을 공경하여 받으면 된다는 뜻.

건곤일척(乾坤一擲) : 乾 하늘 건, 坤 땅 곤, 一 한 일, 擲 던질 척
하늘과 땅을 걸고 한 번 주사위를 던진다. 곧 운명과 흥망을 하늘에 걸고 단판에 승패를 겨룸.

견토지쟁(犬兎之爭) : 犬 개 견, 兎 토끼 토, 之 갈 지, 爭 다툴 쟁
개와 토끼의 다툼. 양자의 다툼에 제삼자만 이익을 보게 된 것이다는 뜻.

결초보은(結草報恩) : 結 맺을 결, 草 풀 초, 報 갚을 보, 恩 은혜 은
귀신이 풀을 묶어 은혜에 보답한다는 뜻으로 은혜를 꼭 갚도록 한다는 의미.

경국지색(傾國之色) : 傾 기울 경, 國 나라 국, 之 갈 지, 色 빛 색
임금이 혹하여 나라가 뒤집혀도 모를 만한 나라 안에 으뜸가는 미인.

계구우후(鷄口牛後) : 鷄 닭 계, 口 입 구, 牛 소 우, 後 뒤 후
닭의 부리가 될지언정 소의 꼬리는 되지말라. 즉 큰 집단의 말석보다 작은 집단의 우두머리가 낫다는 뜻.

계륵(鷄肋) : 鷄 닭 계, 肋 갈빗대 륵
닭의 갈비뼈. 발라먹을 고겨나게 되는 없으나 버리기에는 아깝다는 뜻으로, 그다지 쓸모 있는 물건은 아니지만 언젠가는 쓸모있을 것 같아 버리기가 아쉬운 것.

과유불급(過猶不及) : 過 지날 과, 猶 같을 유, 不 아니 불, 及 미칠 급
정도가 지나친 것은 모자라는 것과 같다는 뜻.

과전이하(瓜田李下) : 瓜 오이 과, 田 밭 전, 李 오얏나무 리, 下 아래 하
오이밭에서 신을 고쳐 신지 말고(瓜田不納履), 자두나무 아래서 갓을 고쳐 쓰지 말라(李下不整冠)의 약자로 의심나는 일을 아예 하지 말라는 뜻.

교주고슬(膠柱鼓瑟) : 膠 아교 교, 柱 기둥 주, 鼓 북 고, 瑟 거물고 슬
거문고 기둥을 아교로 붙여놓고 거문고를 연주함. 즉 고지식하여 융통성이 없다는 뜻

구밀복검(口蜜腹劍) : 口 입 구, 蜜 꿀 밀, 腹 배 복, 劍 칼 검
입속에는 꿀을 담고 뱃속에는 칼을 지녔다는 뜻으로 말로는 친한체 하지만 속으로는 은근히 해칠 생각을 품고 있다는 추측을 비유.

구우일모(九牛一毛) : 九 아홉 구, 牛 소 우, 一 한 일, 毛 털 모
아홉마리 소 가운데서 뽑은 한 개의 털이라고 하는 뜻으로, 많은 것 중에 가장 적은 것을 비유한 말.

군맹무상(群盲撫象) : 群 무리 군, 盲 소경 맹, 撫 어루만질 무, 象 코끼리 상
여러 소경이 코끼리를 어루만짐. 즉 사물을 자기 주관대로 그릇 판단하게 되거나 그 일부밖에 파악하지 못해야 하는 좁은 식견을 비유하게 되는 말.

권토중래(捲土重來) : 捲 말 궈, 土 흙 토, 重 거듭할 중, 來 올 래
흙먼지를 말이 일으키며 다시 쳐들어온다는 뜻으로, 한 번 실피한 자가 태세를 가다듬어 다시 공격해 온다는 말.

금성탕지(金城蕩池) : 金 쇠 금, 城 성 성, 蕩 넘어질 탕, 池 못 지
몹시 견고하고 끓는 물의 연못이 있어 가까이 가지 못하는 성. 즉 방비가 아주 견고한 성.

금의야행(錦依夜行) : 錦 비단 금, 依 옷 의, 夜 밤 야, 行 다닐 행
비단옷을 입고 밤길을 간다는 뜻으로, 출세하고도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남이 알아주지 않는 아무 보람없는 행동을 비유한 말.

기인지우(杞人之優) : 杞 나라이름 기 人 사람 인 之 갈 지 優 근심 우
기(杞)나라 사람의 군걱정이란 뜻. 곧 쓸데없는 걱정이나 무익한 근심을 말함.

기호지세(騎虎之勢) : 騎 말탈 기, 虎 범 호, 之 갈 지, 勢 기세 세
호랑이를 타고 달리는 기세라는 뜻. 곧 중도에서 그만둘 수 없는 형세, 내친걸음.

낙양지귀(洛陽紙貴) : 洛 물이른 락, 陽 볕 양, 紙 종이 지, 貴 귀할 귀
낙양의 종이 값이 오른다는 뜻으로 저서가 호평을 받아 베스트셀러가 됨을 의미.

남가일몽(南柯一夢) : 南 남녘 남, 柯 가지 가, 一 한 일, 夢 꿈 몽
남쪽 나뭇가지의 꿈이란 뜻. 인생의 덧없음을 비유한 말.

남귤북지(南橘北枳) : 南 남녁 남, 橘 귤나무 귤, 北 북녘 북, 枳 탱자나무 지
강남의 귤을 강북에 옮겨 심으면 탱자로 변한다는 뜻. 사람은 환경에 따라 악하게도 되고 착해지게도 된다는 말.

남상(濫觴) : 濫 넘칠 람, 觴 술잔 상
거대한 양자강도 그 물의 근원은 불과 '술잔에 넘칠 정도의 적은 물 (濫觴)'에 불과하다는 뜻으로, 모든 사물의 시초나 근원을 이르는 말.

낭중지추(囊中之錐) : 囊 주머니 낭, 中 가운데 중, 之 갈 지, 錐 송곳 추
주머니 속의 송곳이란 뜻으로, 재능이 뛰어난 사람은 숨어 있어도 자연히 남의 눈에 드러난다는 것을 비유.

다기망양(多岐亡羊) : 多 많을 다, 岐 갈림길 기, 亡 잃을 망, 羊 양 양
길이 여러 갈래여서 양을 잃었다는 뜻으로, 학문해야 하는 방법이 너무 많아 옆길로 새기 쉽기 때문에 진리에 도달하기가 어렵다는 말.

단장(斷腸) : 斷 끊을 단, 腸 창자 장
창자가 끊어질 듯한 슬픔, 엄청나게 슬픔을 이르는 말

당랑거철(螳螂拒轍) : 螳 사마귀 당, 螂 사마귀 랑, 拒 막을 거, 轍 수레바퀴 자국 철
사마귀(螳螂)가 앞발을 들고 수레바퀴를 가로막으면 된다는 뜻으로, 분수를 모르고 대듦

 

두주불사(斗酒不辭) : 斗 말 두, 酒 술 주, 不 아니 불, 辭 사양할 사
말술도 사양하지 않도록 한다는 뜻으로 주량이 대단한 것을 일컫는 말.

독서망양(讀書亡羊) : 讀 읽을 독, 書 책 서, 亡 잃을 망, 羊 양 양
책을 읽다가 양을 잃어버림. 즉, 다른 일에 정신이 팔림

마부작침(磨斧作針) : 磨 갈 마, 斧 도끼 부, 作 만들 작, 針 바늘 침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참고 계속한 이유라면 언젠가는 반드시 성공함을 비유한 말.

망양지탄(望洋之歎) : 望 바랄 망 洋 바다 양, 之 어조사 지, 歎 탄식할 탄
넓은 바다를 보고 감탄한다는 뜻으로 남의 원대함에 감탄하고, 나의 미흡함을 부끄러워 함.

맹모단기(孟母斷機) : 孟 맏 맹, 母 어미 모, 斷 끊을 단, 機 베틀 기
맹자의 어머니가 베틀에 건 날실을 끊었다는 뜻으로, 학문에 정진할 것을 가르침

문경지교(刎頸之交) : 刎 목찌를 문, 頸 목 경, 之 갈 지, 交 사귈 교
목을 베어줄 수 있을 정도로 절친한 사이, 또는 그런 벗

반근착절(盤根錯節) : 盤 쟁반 반, 根 뿌리 근, 錯 섞일 착, 節 마디 절
굽은 뿌리와 엉클어진 마디라는 뜻으로, 뒤얽혀 처리하기 만만치 않은 일을 의미.

백년하청(百年河淸) : 百 일백 백, 年 해 년, 河 물 하, 淸 맑을 청
년을 기다려도 황하의 흐린 물은 맑아지지 않으면 된다는 뜻으로, 아무리 오래 기다려도 뜻이 이루어지기 무척 어려운 일이나, 믿지못할 일을 언제까지나 기다린다는 의미.

백면서생(白面書生) : 白 흰 백, 面 얼굴 면, 書 글 서, 生 날 생
오직 글만 읽고 세상사에 경험이 없는 사람

백미(白眉) : 白 흰 백, 眉 눈썹 미
무리 중에서 가장 뛰어난 것

백중지세(伯仲之勢) : 伯 맏 백, 仲 버금 중, 之 갈 지, 勢 기세 세)
형제의 우열을 정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서로 비슷한 형세를 가리킴

비육지탄(脾肉之嘆) : 脾 넓적다리 비, 肉 고기 육,之 갈 지, 嘆 탄식할 탄
넓적다리에 살만 찌는 것, 즉 성공하지 못하고 헛되이 세월만 보냄을 한탄함.

사족(蛇足) : 蛇 뱀 사, 足 다리 족
뱀의 발, 즉 쓸데없는 것을 뜻함.

선즉제인(先則制人) : 先 먼저 서 則 곧 즉, 制 다스릴 제, 人 사람 인
선수를 쳐서 상대를 제압한다는 의미

송양지인(宋襄之仁) : 宋 송나라 송, 襄 도울 양, 之 어조사 지, 仁 어질 인
송나라 양공의 인정, 쓸데없는 인정

수어지교(水魚之交) : 水 물 수, 魚 고기 어, 之 어조사 지, 交 사귈 교
물과 고기의 사이처럼 친한 사귐

수적천석(水滴穿石) : 水 물 수, 滴 물방울 적, 穿 뚫을 천, 石 돌 석
떨어진 물방울이 바위를 뚫어 준다.

수주대토(守株待兎) : 守 지킬 수, 株 그루 주, 待 기다릴 대, 兎 토끼 토
어리석게 한 가지만 기다려 융통성이 없음. 노력없이 성공을 바람.

순망치한(脣亡齒寒) : 脣 입술 순, 亡 잃을 망, 齒 이 치, 寒 찰 한
입술을 잃으면 이가 시리다. 즉, 이웃나라가 망한 경우라면 자기 나라도 온전하기 어렵다는 뜻이 있을 수도 있으며, 서로 떨어질 수 없는 밀접한 관계를 나타낸다.

술이부작(述而不作) : 述 지을 술, 而 말 이를 이, 不 아니 불, 作 지을 작
'참된 창작은 옛것을 토대로 자연스럽게 태어난다'는 공자의 말씀

앙급지어(殃及池魚) : 殃 재앙 앙, 及 미칠 급, 池 못 지, 魚 고기 어
성에 난 불을 끄느라 연못물을 퍼다 썼더니 못의 고기가 죽었다는 뜻으로 하나의 재앙이 또 다른 재앙을 불러옴을 비유한 말.

양상군자(梁上君子) : 梁 들보 량, 上 위 상, 君 군자 군, 子 아들 자
대들보 위의 군자. 곧 도둑을 가리키는 말.

엄이도령(掩耳盜鈴) : 掩 가릴 엄, 耳 귀 이, 盜 훔칠 도, 鈴 방울 령
자기 귀를 가린 후에 방울을 훔친다는 뜻으로, 나쁜 짓을 한 경우라면서 그 해악을 일부러 생각하지 않으려 함을 비유한 말.

역린(逆鱗) : 逆 거스를 역, 鱗 비늘 린
다른 비늘과 반대로 거슬러서 난 비늘이란 뜻으로, 왕의 노여움을 비유하게 되는 말.

역자교지(易子敎之) : 易 바꿀 역, 子 아들 자, 敎 가르칠 교, 之 갈 지
바꾸어 가르친다는 뜻으로, 부모가 자기 자식을 가르치겨나게 되는 어렵다.

연목구어(緣木求魚) : 緣 인연 연, 木 나무 목, 求 구할 구, 魚 고기 어
나무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구함. 불가능한 일을 억지로 하려 함.

오리무중(五里霧中) : 五 다섯 오, 里 마을 리, 霧 안개 무, 中 가운데 중
사방 5리가 온통 안개 속이라는 뜻으로, 즉 앞길을 예측할 수 없음.

오월동주(吳越同舟) : 吳 오나라 오, 越 월나라 월, 同 한가지 동, 舟 배 주
원수인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를 탔다는 뜻으로 서로 미워해도 위험에 처한 것이라면 돕게 해도 된다는 말이다.

옥하(玉瑕) : 玉 구슬 옥, 瑕 티 하
옥의 티, 즉 아무리 훌륭한 것에도 결점은 있다. 혹은 작은 결점은 어디에나 있으니굳이 없애려 하지 말라.

와각지쟁(蝸角之爭) : 蝸 달팽이 와, 角 뿔 각, 之 갈 지, 爭 다툴 쟁
달팽이 뿔 위에서의 싸움, 즉 사소하고 무의미한 싸움.

와신상담(臥薪嘗膽) : 臥 누을 와, 薪 섶나무 신, 嘗 맛볼 상, 膽 쓸개 담
나무 위에서 잠을 자고 쓸개를 핥어 준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기 위해 고난을 참고 견딤.

요동지시(遼東之豕) : 遼 멀 요, 東 동녁 동, 之 갈 지, 豕 돼지 시
요동의 돼지, 즉 견문이 좁아지면서 오만하여 하찮은 공을 뻐기며 자랑함을 비유한 말.

욕속부달(欲速不達) : 欲 하고잘 할 욕, 速 빠를 속, 不 아니 부, 達 통달할 달
마음만 급하다고 일이 잘 될 수 있는 게 아니라도는 뜻. 즉, 매사를 하나씩 차근차근 풀어나가라는 말.

우전탄금(牛前彈琴) : 牛 소 우, 前 앞 전, 彈 탄알(활) 탄, 琴 거문고 금
소에게 거문고 소리를 들려주면 된다는 뜻으로, 우둔한 사람에게 도리를 설명해줘도 이해하지 못하기에 헛된 일이라는 말.

우화등선(羽化登仙) : 羽 깃 우, 化 될 화, 登 오를 등, 仙 신선 선
껍질을 벗고 날개를 달아 하늘로 올라간다는 뜻으로 사람이 도를 깨쳐 신선이 됨. 즉 세상의 혼란함에서 벗어난다는 말이다.

월하빙인(月下氷人) : 月 달 월, 下 아래 하, 氷 얼음 빙, 人 사람 인

위편삼절(韋編三絶) : 韋 다룸가죽 위, 編 엮을 편, 三 석 삼, 絶 끊을 절
한 책을 되풀이해 읽어 철한 곳이 헤진 걸 다시 고쳐 매어 읽음. 즉 독서를 열심히 함.

은감불원(殷鑑不遠) : 殷 은나라 은, 鑑 거울 감, 不 아니 불, 遠 멀 원
은나라의 거울은 먼데 있지 않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실패를 자신의 거울로 삼으라는 말.

읍참마속(泣斬馬謖) : 泣 울 읍, 斬 벨 참, 馬 말 마, 謖 일어날 속
울면서 마속을 벤다는 뜻으로, 공정함을 지키기 위해서 사사로운 정을 버린다는 말.

일이관지(一以貫之) : 一 한 일, 以 써 이, 貫 꿸 관, 之 갈 지
하나의 이치로서 모든 것을 꿰뚫음.

자가당착(自家撞着) : 自 스스로 자, 家 집 가, 撞 칠 당, 着 붙을 착
자기가 한 말이나 글의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뜻으로, 특히 말과 행동이 앞뒤가 맞지 않을 때를 말함.

전거복철(前車覆轍) : 前 앞 전, 車 수레 거, 覆 뒤집힐 복, 轍 바퀴자국 철
앞 수레가 엎어지게 되는 바퀴자국이란 뜻으로 앞의 실패를 거울로 삼으라는 의미.

조명시리(朝鳴市利) : 朝 아침 조, 鳴 울 명, 市 저자 시, 利 날카로울 리
명서은 조정에서 다투고, 이익은 시장에서 다투라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 적정 장소에서 행하라는 말.

조삼모사(朝三暮四) : 朝 아침 조, 三 석 삼, 暮 저물 모, 四 넉 사
아침에 세개, 저녁에 네개라는 뜻으로, 당장 눈앞의 차이만을 알고 그 결과가 같음을 모르는 경우를 빗대는 말.

주마가편(走馬加鞭) : 走 달릴 주, 馬 말 마, 加 더할 가, 鞭 채찍 편
달리는 말에 계속 채찍질을 한다는 뜻으로, 최선을 다하여 열심히 하고 있다는 사람을 좀 더 부추기어야 하거나 몰아친다는 말임.

중과부적(衆寡不敵) : 衆 무리 중, 寡 적을 과, 不 아니 불, 敵 적 적
적은 숫자로는 많은 숫자를 대적하지 못한다.

중원축록(中原逐鹿) : 中 가운데 중, 原 근원 원, 逐 쫓을 축, 鹿 사슴 록
중원의 사슴을 쫓도록 한다. 즉 패권을 다툼.

지어지앙(池魚之殃) : 池 못 지, 魚 물고기 어, 之 갈 지, 殃 재앙 앙
연못 속 물고기의 재앙. 즉 재난이 엉뚱한 곳에 미침

천고마비(天高馬肥) : 天 하늘 천, 高 높은 고, 馬 말 마, 肥 살찔 비
하늘은 높고 말이 살찐다는 뜻으로 가을을 가리킴.

3글자 고사성어 최대한 많이 적어주세

3글자 고사성어 최대한 많이 적어주세요 한자 안적고 한글만 적어도 됩니다 3글자 고사성어 최대한 많이 적어주세요 한자 안적고 한글만 적어도 됩니다 敲門磚고문전:문을...

3글자 고사성어 많이적어주세요

3글자 고사성어 많이적어주세요 질문 : 3글자 고사성어 궁즉통 [窮則通] [한자 뜻과 음] 궁할 궁, 곧 즉, 통할 통. [풀이] 궁하면 오히려 통하는 데가 있음. 매우 궁한 처지에 이르면...

고사성어 많이적어 주세요

고사성어 많이적어 주세요. 많이 한 사람을 Best답변 채택 해 드리겠습니다. 5일간의... 뜻하고 음 적어 주시고 글자 낱개 마다의 뜻도 적어주세요 부탁 드립니다. 가가대소...

[고사성어]2~3 글자 혹은, 쓰기쉬운 4글자...

... 쓰기쉬운2~3글자 혹은, 4글자지만 쓰기 쉬운고사성어(예... 3. 누ː누―이(累累―)[부사] 여러 번. 여러 차례. 4. 신신... (출처 : '쉬운 고사성어 30개만 알려주세요 한자도 적어...

고사성어(4글자) 20개 음,뜻,부수,유래

고사성어4글자 20개이상찾기 음,뜻,부수,유래를 정확하게기록하기 도와주세요ㅠ_ㅠ..!! 1. 호시탐탐 虎視眈眈 [범 호... 많이 보태지면 힘이 더 난다. 12. 다사다난 多事多難[많을...

4글자 고사성어 쉬운것으로 많이주세요

4글자 고사성어 쉬운것으로 많이주세요 1.가렴주구>>苛斂誅求>>매울 가,거둘 렴,벨 주... 3.감탄고토>>甘呑苦吐>>달 감,삼킬 탄,괴로울 고,토할 토 옳고 그름에 관계없이...

고사성어적어 주세요..

고사성어 30개만 잘 적어 주세요... 적확하게 적어주시길... 3. 가정맹어호 苛政猛於虎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더... 아주 흔하거나 쓸모 없는 평범한 것만이 많이 있음. 49....

고사성어 한자 4글자 음,뜻,속 뜻좀...

고사성어 4글자 그 한자의 뜻과 음,고사성어이 속 뜻 좀 가르쳐 주세요.. 쉬운걸로 부탁드립니다.. 내공은 꼭 드리겟습니다.. ★각주구검 <刻 새길 각. 舟 배 주. 求 구할 구. 劍 칼...

고사성어 뜻이랑 풀이랑 적어주세요

우리나라 고사성어 뜻이랑 풀이 적어주세요......... 내공10 걸어요.......... 7월 28일까지요............ ★각주구검 <刻 새길 각. 舟 배 주. 求 구할 구. 劍 칼 검. > ☆겉뜻: 배에 새겨...

쓰기 쉬운 고사성어 뜻과 함께 적어주세요

... 고사성어 짧으면서 쓰기 쉬운 한자로 된거 뜻도 함께 많이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내공도 걸어요...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른다 →글자라고는 아무것도 모르는 몹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