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웨이트에 대해서

쿠웨이트에 대해서

작성일 2010.10.31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쿠웨이트에 대한 정보 다~ 가르쳐주삼~~~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아라비아 반도 페르시아만에 면한 입헌군주국.

위치 중동아시아 아라비아반도
면적 1만 7818㎢
인구 243만 9000명(2003)
인구밀도 136.9명/㎢(2003)
수도 쿠웨이트
정체 입헌군주제
공용어 아랍어
통화 쿠웨이트 디나르(KD)
환율 1KD = 3.34$(2003.9)
1인당 국민총생산

1만 8270$(2003)

 

어떤식으로 대답해야할지몰라서 그냥 답해 보겠습니다.

 

쿠웨이트의 위치:

서남아시아의페르시아만에 위치

사막지역에 위치하고있지만 막대한 양의 석유가 있는곳

 

언어: 아랍어

 

정치: 입헌 군주제로 일본처럼 수상이 있다.

종교: 이슬람교가 다수 크리스트교 소수

음식:

의복: 머리에서 발끝까지덮는 특이한 다시다시를 입는다.

집:세계에서 부유한 나라로 사치스러운 가옥들을 짓고 산다.

 

 

문화유산:

여행지: 걸프로드, 쿠웨이트 타운, QURAIN HOUSE, 국립박물관등이 있다.

국제정세: 주요 수출품이 석유임으로 석유가 필요한 많은 나라들과 무역을 하고 있다.

 

이렇게 밖에 못적었지만 많은 도움이 있으셨길 빕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주쿠웨이트 대사관 바로가기]


 

 

쿠웨이트 생활안내

- 목 차 -


Ⅰ. 쿠웨이트 개관


Ⅱ. 도착전 준비사항

    1. 사증
    2. 식품
    3. 건강진단
    4. 기후 및 의복
    5. 이사화물
    6. 각종 증명서

Ⅲ. 도착후 참고사항

    1. 주택
    2. 식품
    3. 교육
    4. 자동차
    5. 이사화물
    6. 공항
    7. 쇼핑
    8. 식당
    9. 호텔
   10. 관광
   11. 종교활동
   12. 언론매체
   13. 치안상태
   14. 대사관
   15. 재외동포 현황
   16. 우리기관 및 상사 현황
   17. 교통, 통신, 우편제도
   18. 어학교육기관 및 학원
   19. 긴급상황 대처요령
 

Ⅳ. 기타 일반사항

    1. 환전
    2. Tip 제도
    3. 미용 및 이발
    4. 공휴일
    5. 인터넷 사용환경
    6. 한국과의 시차
    7. 한국신문 구독 가능성
    8. 주요기관 영업시간 및 휴무일
    9. 전력사용 현황
   10. 기타 참고사항  

    

 

1. 공식국명

  • 쿠웨이트 (STATE OF KUWAIT)

2. 위 치

  • 북위 28-30도 (한국과 대만의 중간위도), 동경 46-48도

3. 기 후 : 열대성 사막기후

  • 한낮의 평균기온이 여름철은 50℃이며 겨울철은 8℃ 정도임.

    - 여름철에는 그늘이 없는 곳은 60℃까지 올라가기도 함.
  • 여름철은 4월하순부터 10월말까지임.

 

 
  • 겨울철은 12월부터 2월 중순까지임.

4. 면 적

  • 17,818 ㎢ (경상북도 크기)

5. 인 구

  • 약 275만명(쿠웨이트인 96만명, 비쿠웨이트인 179만명)

6. 수 도 : 쿠웨이트시

  • 대부분의 인구가 쿠웨이트시에 집중 거주하고 있는 도시국가 의 형태

7. 언 어 : 아랍어

  • 영어가 일반적으로 통용되어 영어만으로도 일상생활에 큰 불편은 없음.

8. 종 교

  • 쿠웨이트인구의 95%가 이슬람교(수니파가 다수) (국교 : 이슬람)
  • 외국인을 위한 두개의 교회(카톨릭 및 개신교)가 있으며 예배도 허용됨.

9. 정 체

  • 입헌왕정국

10. 국 경 일 : 2월 25일

  • 원래는 1961.6.19 독립하였으나 하절기의 더운 기후때문에 2.25로 지정하여 기념

11. 국가원수 : SHEIKH JABER AL-AHMED AL-SABAH

  • 1977년 즉위, 13대

12. 정 당 : 없음

13. 의 회

  • 단원제 국회로 4년 주기로 선출되는 의원 50명으로 구성

14. 화폐단위

  • 1 Kuwait Dinar(1KD) = 약 US$ 3.5, 1KD = 약 3,900원

    (2005년 7월 현재)
  • 1 KD는 1,000 FILS이며 지폐로 1/4, 1/2, 1, 5, 10, 20KD가 있으며 1,000 FILS 이하는
    동전

15. 쿠웨이트 약사

  • 16세기 이전부터 터키(Ottoman 제국)의 영향하에 있었으며, 18세기초 오늘날의 사우디, 이라크, 이란 등으로부터 Amaiza족 등이 이주하여 현 쿠웨이트 민족의 주류 형성(1756년 초대 Sabah왕 즉위). 이주 당시 황무지를 개척, KUT라는 명칭의 정착요새 구축, 이로부터 쿠웨이트라는 이름이 유래(진주조개 채취, 조선, 육상 및 해상 교역 등이 주요 생업)
     
  • 1897년 Mubarak왕은 터키의 쿠웨이트 합병을 피하기 위해 영국에 보호를 요청했고,영국은 지중해와 인도간의 무역이권을 확보하기 위해 1899년 쿠웨이트와 보호조약을체결
  • 1938년 최초의 석유발견(Burgan 지역) 및 1946년 최초의 석유수출과 더불어 석유가 주요 소득원이 되기 시작
  • 1961년 쿠웨이트는 외교권을 갖고있던 영국과의 보호조약을 폐기, 독립(1950년 및 1960년대륵 거치면서 국가 기본체계를 갖추기 시작)
  • 1990.8.2 새벽 이라크가 침공, 쿠웨이트 합병을 선언했으나, 유엔 결의에 따라 구성된 미국을 주축으로한 27개국 연합군의 공격으로 이라크군은 패퇴하여 1991.2.26. 해방

 

  

 

 

   

1. 사 증

가. 일반 방문

  • 쿠웨이트는 외국기업의 투자 및 무역을 유치하고 외국인의 쿠웨이트 방문을권장하기 위하여, 34개 국가의 국민들에 대해서는 비자를 쿠웨이트 입국시점에 출입국관리사무소에서 발급 받도록 하는 특례조치를 시행하고 있음(통상 1-3개월 유효비자 발급)
  •  동 특례조치는 상업, 방문 등 단기간 쿠웨이트를 방문하는 경우에만 적용되며,취업, 유학 등의 목적으로 장기 방문하시는 경우에는 기존 비자발급 절차를 밟아야됨

  •  특례조치를 받는 절차로는,

    - 쿠웨이트에 입국하면, 입국수속창구 이외에 별도 설치된 비자즉석발급대에서   여권과 현금 5KD(1KD는 약3.5달러 상당)를 납부하고, 비자발급을 신청하면   비자를 받을수 있음

    - 비자발급에 소요되는 시간은 줄을 서서 기다려야 하는 시간까지 포함하여  약 30분에서 2시간까지 소요

- 비자를 받은후 세관입국수속 창구에서 입국절차를 받음

  •  특례조치의 적용을 받는 34개 국가 명단은 아래와 같음

- 한국, 일본, 중국, 싱가폴, 홍콩,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미국, 영국, 프랑스,   이태리, 독일, 카나다, 호주, 뉴질랜드,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스위스,   오스트리아,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포르투갈, 아일랜드, 그리스, 핀란드, 스페인, 모나코, 바티칸, 아이슬랜드, 산마리노, 리히텐슈타인, 안도라

※ 주 한국 쿠웨이트대사관

  주소 : 서울 용산구 동빙고동 309-15

  전화 : 749-3688/9, 팩스 : 749-3687

  근무시간 : 09:00-12:30, 13:30-16:00, 토·일요일은 휴무

나. 취업진출(외국인 취업 및 거주허가 취득 절차)

  • 쿠웨이트인이나 스폰서 또는 고용주가 노동부에 WP(Work Permit ; 취업허가서) 발급신청
  • 동 취업허가서를 내무부 이민국에 제시, NOC(No Objection Certificate) 발급신청
  • NOC를 국내 해당인에게 송부
  • 해당인은 동 NOC를 주한 쿠웨이트 대사관에 제시
  • 주한 쿠웨이트대사관이 지정하는 병원에서 신체검사
  • 신체검사증을 제출, 동 대사관으로부터 임시 입국비자를 발급받아 쿠웨이트에 입국
  • 입국후 노동부에 스폰서쉽 증명서 발급신청(동시에 의료보험 가입)
  • 동 증명서 발급후 신체검사(재검) 및 지문채취 후에 내무부 이민국에 거주허가(여권에 거주비자 스티커 부착 형태) 발급 신청
  • 거주허가 발급후 1개월내 내무부에 외국인 신분증(Civil ID) 발급신청

    ※ 발급 소요기간 및 시한부여
  • NOC 발급에는 3-4주, 거주허가는 신청후 3-4일이 소요되며 거주허가는 도착후 2개월 내 발급받아야 하고 Civil ID는 거주허가 발급후 1개월내 신청 의무(동 기간 경과시 벌과금 부과)
  • 보통 취업 및 거주허가기간은 1년에서 3년까지이며 연장 가능
  • 취업허가는 다른 고용주(Sponsor)에게 이전(Transfer)될 수 있음.

    ※ 급히 입국해야 하는 경우에는 현지 지사나 스폰서를 통해 일반 방문비자로 입국할수 있으나, 본국으로 다시 출국하여 상기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야 함. (본국 신체
    검사 대신에 레바론이나 두바이 등 제 3국 병원에서 신체검사를 받는 경우에도 예외   적으로 인정해 주는 사례가 있음)

   

2. 식품

  • 현지에 한국식품점이 있으므로 한국식품 구입 가능(일부에 한정)
  • 24시간 운영되는 슈퍼마켓에서 거의 전세계로부터 수입된 식품을 판매하므로 식품구입에 지장이 없으나 양념류, 건어물, 라면 등은 충분히 준비해 오는 것이 좋음.

   

3. 건강진단

  • 일반 방문자의 경우 건강진단서 요구하지 않으나, 취업진출의 경우 건강검진 및 진단서를 요구함.

   

4. 기후 및 의복

  • 현지구입도 가능하지만 사전에 준비해 오는 것이 좋음.(양복, 와이셔츠 등은 상당히 고가임)
  • 여름이 길고 겨울(11월-2월)이 짧으므로 여름옷 3 : 겨울옷 1의 비율로 준비
  • 겨울은 바바리코트 정도를 입는 한국의 늦가을 또는 초겨울 날씨이므로 쉐타나 전기담요를 준비해 오는 것이 좋음.
  • 태양광선이 강하므로 썬글라스 착용이 필수(현지 안경값이 매우 고가이므로 사전에 준비해 오는 것이 좋음)

   

5. 이사화물

  • 전기 및 전자제품

    - TV 및 VIDEO방식 : PAL시스템

    - 전기시스템 : 240V, 50Hz

    - 현지 사용가능 한국 전자제품

      · 컴퓨터, 정밀오디오제품 : MULTI-SYSTEM TV, MULTI SYSTEM VIDEO등(전압이 불안정하므로 전압기 사용 권장, 전압기 가격이 높으므로 국내에서 구입)

      ·
    모터가 있는 전기제품은 주파수(HZ)의 차이(국내제품은 60Hz, 쿠웨이트 전기는 주파수를 50HZ)로 장기간 사용시 고장발생(고장 방지를 위해서는 전압안정기  및 주파수 변압기 사용 필요)
  • 가구, 비품 및 장식품

    - 임차료, 지불조건 등에 따라 Furnished 조건으로 입주 가능하나 이라크 전쟁 종료이후 경기 부양 및 이라크 특수를 기대한 외국인과 제3국 고용인의 입국 증가로 임차료가 최저 30-50% 이상 급등하여 임차료가 매우 높은 실정임.

    - 쿠웨이트 가구의 대부분은 외국수입품으로 중국에서 수입된 저가품부터 유럽취향의 고가품까지 다양함.

    - 운송비 감안시 UNFURNISHED일 경우 기존 한국가구를 가져 가면 경제성은 있으나 이것도 쇼파, 식탁, 탁자정도면 충분함.

    - 가격이 비교적 싼 가구, 중고가구도 구입 가능
  • 자동차

    - 자체생산되는 차량은 없고 거의 대부분 가솔린용(무연) 차량이 수입되고 있으며 국산차의 경우 현대, 대우, 기아, 쌍용자동차등이 진출해 있음. 국내에서 가져온 국산 자동차의 경우 현지 Agent가 운영하고 있는 A/S센터에 등록하면 A/S를 받을 수 있음.

    - 국산차를 국내에서 주문하여 가져올 경우 자동차 회사에 무연용 여부를 확인 필요함.  또 현지 또는 국내구입시의 가격상의 이점은 구입당시의 환율에 따라 다르므로 구입전에 현지가격을 확인 구입함이 바람직.

    - 현지에 다양한 중고차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며 인기있는 차종의 경우 중고차 시세도 좋은 편임.
  • 주류반입금지

    - 일반 이사화물에 주류반입시 적발되면 바로 현행범으로 경찰에 구금조치 함.

    - 항공휴대품으로 반입이 금지되며 적발시 공항에서 압수조치
  • 이사화물 탁송 및 보험

    - DOOR TO DOOR 또는 DOOR TO PORT 모두 가능하며 사전에 비용을 비교하여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

    - 기타사항은 일반국제운송절차 방법과 같음.

   

6. 각종 증명서 관계

  • 국제운전면허증

    - 국제운전면허증은 주재국 국제면허 발급관청에서 공증을 받아 사용해야 함.

    - 한국면허증은 인정이 되지 않으며, 현지면허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필기시험(영어) 및 주행시험을 통과해야 함.
  • 무사고 운전증명서(보험가입시 필요여부) : 필요없음
  • 자녀입학 관련 서류

    - 재학(졸업)증명서, 성적증명서, 예방접종기록등 건강카드
  • 이사화물 탁송관련 서류

 

  


   

1. 주 택

  • 주택사정 : 이라크전 종료이후 경기부양, 이라크 특수를 겨냥한 외국기업인 및 근로자의 대거 유입등으로 임차료가 30~50%정도 급등한 상황임.
  • 계약방법 : 임대주와 임차인의 계약서 서명
  • 계약시 유의사항

    - 보증금 및 임차기간 만료시 사전통보기간(통상 1~3개월) 설정에 유의
  • 일주일전 사전점검 및 계약종료시 원상회복 관계 : 계약서에는 보통 명시되어 있으나 구미지역처럼 철저히 따지지는 않고 있음.
  • 임차료, 지불조건, 주택규모에 따라 Unfurnished, Furnished 주택선택 가능
  • 주택관련 보험제도 : 통상적으로 보험가입의무를 규정하고 있지 않고 있음.
  • 전기료와 수도료의 경우 통상 집주인이 부담하거나 세입자와 분담하는 방식이 일반적
  • 전화는 쿠웨이트를 떠날시 정산이 까다로우므로 주택임차시 주인명의로 전화 가입하는 것이 유리

   

2. 식 품

  • 거의 모든 생필품이 수입되고 있어 구입이 용이하나 배추는 겨울철을 제외하고는 매우 고가이므로 김치전용 냉장고를 준비해 오는 것이 좋음.
  • 시장

    - 서구식 대형 그로서리(식품, 과일, 잡화)

    - 야채시장

    - 생선시장

    - 육류시장

   

3. 교 육

가. 초·중·고 교육

  • 학제개요 : 공립학교(아랍어)는 초,중,고 4년씩이고, 사립학교 경우 American School은 미국학제를, British School은 영국 학제를 따름.
  • 학교현황(교육비 포함)

    - Int'l School : 6개가 있으며 학생의 60%이상이 쿠웨이트인임.

    - 학비(연간) : US$ 8,000-11,000, 버스통학비 : 약 US$ 700
  • 학교선정시 유의사항

    - 학제가 틀리므로 대학진학을 고려하여 영국계 또는 미국계 학교 선정
  • 입학절차 : 서류 및 면접시험(대부분 통과)
  • 필요서류 : 전학교 재학, 성적증명서, 예방접종 및 건강진단카드
  • 유치원 : 영어로 가르치는 유치원 및 유아원이 있음.
  • 주말한글학교
    : 걸프전 이전에는 정규 국민학교 과정의 한국 학교가 있었으나, 걸프전 이후 폐교됨. 현재는 매주 목요일(4시간) 마다 주말한글학교를 운영중임.

나. 대학교육(교육비 포함)

  • 학제개요 : 4년제 대학교와 2년제 전문대학(모두 아랍어로 교육)
  • 입학조건 : 외국인의 경우 아랍어 시험과 서류면접으로 입학허용 결정
  • 교육비 : 외국인에 한해 징수

   

4. 자동차

  • 자동차 수입관세는 5%이며 세계 각국의 차종을 현지에서 구입 가능
  • 자동차 보험 : 책임보험 가입은 의무이며, 연간 US$ 80정도를 내야함. 종합보험은 차종에 따라 연간 US$ 500- 2,000정도이고, 현대 소나타 새차의 경우 US$ 600정도 임.
  • 유류보급방법 : 지역마다 주유소가 있고 1리터당 US$ 0.2 수준으로 저렴함.

   

5. 이사화물

  • 통관회사가 통관대행 및 운송
  • 소량의 경우 본인이 직접 가져올수도 있으나, 복잡한 절차로 통상 통관회사에 의뢰

   

6. 공 항

  • 공항위치 및 공관과의 거리

    - 시내 남쪽 30km지점에 위치

    - 택시 이용시 4KD(15미불 정도)임.
  • 한국-쿠웨이트간 편의 항로

    - 서울-방콕-쿠웨이트

    - 서울-두바이-쿠웨이트

   

7. 쇼 핑

  • 개점시간 : 오전 9시-오후 1시,오후 5시-오후 9시(금요일은 대개 휴무)
  • 주요상가

    - Salhia Complex(메리디안호텔과 연결) : 고급의류, 시계, 보석, 구두, 양품등 전문점,  Kei(일식)레스토랑 등이 있음.

    - Salmiya Center : 의류, 시계, 보석, 구두, 전자, 양품, 장남감, 피자헛, 햄버거, 켄터키치킨등이 있음.

    - Salmiya지역상가 : 이지역내에 뷔페레스토랑, 피자헛, 햄버거집, 중식레스토랑 등이 있음.

      · Sultan Center : 식품 및 생활용품 판매처로 24시간 영업

      · Zahra Complex : 의류, 보석, 시계, 구두, 양품

      · Marina Mall : 의류, CD, 전자제품 등 종합 쇼핑몰

    - 각 지역 중심부에는 Co-operative 슈퍼마켓이 있어서 생필품을 구입할 수 있음.

   

8. 식 당

  • 아랍식당 : 양고기등 아랍전통 음식

    - Al-Ghanim Restaruant, Taboulah Restaurant(Sheraton 호텔내 소재)등
  • 서양식당 : 쿠웨이트 주요 호텔에 소재
  • 한국식당 : 고려관(TEL:2452740), 한국관(TEL:5634200, Ext:315)

    - 평균식대 : 1인당 US$ 20-30
  • 중국식당 : Gulf Royal, Peacock(SAS 호텔내 소재) 등이 있음.
  • 일본식당 : 사꾸라, 케이, 에도, 와사비등이 있으며 가격은 1인당 US$30 정도 소요

   

9. 호 텔

  • 특급호텔 : 5개(1인 1실 약 200미불 이상)

    - Crown Plaza(Tel : 4742000),   Sheraton (Tel : 2422055), SAS(Tel : 5657000),  Hilton(Tel : 3725500), Mariott(Tel : 2455550)
  • 중급호텔 : 다수있으며 1인 1실 약US$ 100-170

    - Safir(Tel : 253000), Regency Palace(Tel : 5628000)
    - Merdien(Tel : 2465687), Carlton Tower(Tel : 2452740), New Park(Tel : 5634200)
  • 민박 : 교민 운영

    - 아리랑 하우스(Tel : 5441250, 9625671), 하나 하우스(Tel : 5668945, 9727357),  선 하우스(Tel : 5415269, 7694195), 아쉬람하우스(Tel : 9504971, 7503820), 싱글하우스(Tel : 9594580, 6180434)

   

10. 관 광

  • Entertainment City(어린이 위락시설)
  • 동물원, 쿠웨이트 타워, Science Center
  • 해변 산책로, 인공섬, Water World

   

11. 종교활동

  • 개신교 교회 및 성당 : 주 1회 예배

   

12. 언론매체

  • TV

    - 체널 4개가 있으며 아랍어방송 1, 영어방송 1, 스포츠 오락방송 1등 아랍어 방송 2개가 있음 (모두 국영방송)

    - 영어방송의 경우 대부분이 미국방송 프로그램을 그대로 방영하고 있음.

    - 위성수신 TV Channel이 다양하며 CNN, BBC, STAR TV 시청 가능

    - Arirang TV, Sun Channel, YTN TV등 한국 TV방송도 가입시 시청 가능
  • 일간지

    - 아랍어 현지 신문 5개, 영자신문 3개

   

13. 치안상태

  • 최근 이라크 사태 및 사우디 사태로 외부 테러분자들의 쿠웨이트내 잡입 가능성등 우려.
  • 이라크전 종전후 쿠웨이트 청소년 일부가 대미성전에 참가한다고 이라크로 잠입, 대미테러활동에 동원되는 사건 발생.
    - 내부 수니극단주의 세력에 대한 테러 가능성 대두

   

14. 대사관

  • 연락처

    - 주소 : Qourtoba Block 4, Street 1, Jaddah 3, House No. 5

    - 전화번호 : (965) 5339601/2/3

    - FAX : (965) 5312459

    - E-Mail : [email protected]

    - 홈페이지 주소 : http://www.mofat.go.kr/kuwait/
  • 근무시간 : 08:30∼16:00(토-수), 목·금요일은 휴일

   

15. 재외동포현황

  • 약 410명(자영사업자, 취업자 및 동반가족 : 약 160명, 주재상사 직원, 건설업체 근로자 및 동반가족 : 약 250명)

   

16. 우리기관 및 상사현황

  • 정부투자기관 : 무역관
  • 민간기관 : 현대건설, LG건설, 두산중공업, SK건설, 대림엔지니어링, LG전자 등 6개 회사가 진출해 있음.

   

17. 교통·통신·우편제도

  • 교통수단 : 택시, 버스가 있으나 버스의 경우 제 3국 근로자들이 주로 이용하고 있으며 노선 및 회수가 적어 이용하기 어렵고 외국인의 경우 콜택시 제도가 잘되어 있어 이를 이용하면 편리함.

    - 콜택시 전화번호 : 2453516,2444330,2407776,4811824

    - 렌트카의 경우 차종에 따라 1일 12KD~30KD(40~100미불)이며, 일시 기사고용 가능하고 주, 월단위 렌트시 비용이 줄어듬.
  • 통신 및 전화제도

    - 국내전화는 연간 US$ 100만 내면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나, 국제전화가 가능한 전화신청시 보증금으로 약 1,700미불을 납부해야 하며 사용요금이 매우 비싼편임.

    - 한국호출 국제전화(예 : 서울) : 0082-2-전화번호

       (1분당 650Fils = US$ 2.2로 약2,700원정도)

    - 인터넷을 연결하여 전화를 이용하면 저렴함(Dialpad등).
  • 우편제도

    - DHL등 쿠리어를 제외한 모든 우편은 집으로 배달되지 않고 우체국에 있는 사서함으로 배달됨.
  • 공공요금

    - 전기, 수도료는 국가지원이 많으므로 저렴한 편이나 99년도에 상당 수준 인상됨.

    - 임차주택의 경우 대부분 임차료에 전기·수도료가 포함되는 것이 관례임.

   

18. 어학 교육기관 및 학원

  • 아랍어, 영어 교육학원이 있으며, 아랍어의 경우 무료수강도 가능
  • 다양치 않으나 British Council 주최 교양강좌와 Bayt Luthan 개설 취미교실 활용 가능

   

19. 긴급전화

  • 경찰 : 109
  • 화재 : 100또는 105
  • 전기,수도,화재신고 : 777
  • 전화안내 : 101

   


   

1. 환 전

  • 1 KUWAIT DINAR(1KD) = 약 3.5미불(2005년 7월 현재)
  • 변동환율제로 환전량에 제한없음.

   

2. TIP제도

  • 일반적으로 서구식의 TIP제도는 정착되지 않았으며, 호텔, 식당에서 소액의 TIP을 주고 있음.

   

3. 미용 및 이발

  • 이발료는 1.5 KD ~ 3.0 KD 정도이나, 미용료는 영미지역보다 비싼 편임.

   

4. 공휴일(연간 15일 정도)

  • 매주 목·금요일은 휴일
  • 공휴일(공휴일이 목·금요일과 겹치는 경우 토요일을 휴일로 정함)

    - 신정(1.1), 라마단 종료 축제기간(4일간*), 독립기념일(2.25), 해방기념일(2.26-27), 이슬람 성찬일(4일간*), 이슬람 신년일 (1일*), 모하메드 탄생일(1일*), 모하메드 승천일(1일*), 라마단 종료 축제기간(3일간*)(*표는 달의 운동에 따라 매년 변동)

   

5. 인터넷 사용환경

  • DSL/ISDN/모뎀/무선 등 인터넷에 가입하여 이용할 수 있으나, 속도가 느린 반면, 사용료가 비싸고 서비스 중단사례가 자주 발생.

   

6. 한국과의 시차

  • 한국보다 6시간 늦음.(섬머타임 없음.)

   

7. 한국신문 구독 가능성

  • 한국신문 구독은 어렵고 인터넷을 통해 한국신문을 접할수 있으며, 위성TV를 통해 한국방송 시청할수 있음.

   

8. 주요기관 영업시간 및 휴무일

  • 은 행 : 09:00 - 13:00(금,토 휴무)
  • 우체국 : 08:00 - 14:00(목,금 휴무)
  • 식 당 : 12:00 - 15:00, 18:00-22:00
  • 상 점 : 09:00 - 13:00, 16:00-20:00

   

9. 전력사용현황

  • - TV 및 VIDEO방식 : 독일 PAL시스템

    - 전기시스템 : 240V, 50Hz

   

10. 기타 참고사항

가. 각종 증명서 신청

  • ID신청 구비서류 : 신청서, 여권사본(거주비자 구비), 사진 4매
  • 운전면허증 : 신청서, 소지하고 있는 운전면허증 사본, 사진 5매

나. 은행구좌 개설

  • 현지화 및 달러화 구좌 모두 개설할 수 있고 CREDIT CARD신청도 가능

    - 구좌신청시 여권 및 ID사본 필요
  • 여행자 수표 환전시 과다하게 수수료를 징수하고 있음.

다. 의료

  • 외국인에 한해 의료보험제도 시행
  • 국립병원은 진료비 US$ 7미만 비용으로 거의 해결, 사립 병원은 10KD(35미불)의 기본진료비를 내야하며 기타 검사, 치료에 따른 추가 비용 부담 - 사립병원 이용을 위한 의료보험 가입 가능
  • 의약품중 항생제,습관성 약품등은 의사의 처방전 필요
  • 결석, 안질환, 수두, 치주염, 유정공해 및 모래바람에 의한 호흡기 질환 주의

라. 여가생활

  • 스포츠 : 테니스, 볼링, 수영, 스콰시, 낚시등 각종 스포츠 가능
  • 여행 : 도시국가의 형태이므로 국내에서 갈 곳이 거의 없음. 자동차여행 경우 사우디, 바레인이 가능하나 장시간 운전과 비자획득 및 국경통과 지체 등으로 여행이 자유롭지 못함.

마. 관습 및 체류시 주의사항

  • 관습

    - 전통적 회교국으로서 사회생활의 근간을 이슬람교리에 두고 있음.

    - 대가족제도를 유지하고 있으나 사회발전에 따라 점차 핵가족화 경향

    - 이슬람교리에 따라 4번까지 중혼이 가능하나 중혼은 점차 줄어들고 있음.

    - 매춘, 음주, 돼지고기, 이자놀이, 도박 등은 금기사항
  • 체류시 주의해야할 사항

    - 이슬람교도가 아닌경우 이슬람 사원에 들어가지 말것

    - 기도하고 있는 사람의 앞을 지나가거나 말을 걸지말고, 기도할 때 까는 담요를 밟지 말 것

    - 친한 경우가 아니면 종교나 상대방 부인에 관한 이야기를 하지 말것

    - 여주인이나 여자식구를 위해 선물을 사오거나, 여주인의 안부를 물어서는 안되며 거리에서 여인의 사진을 찍어서는 안됨.

    - 여성의 경우 옷차림은 정숙하여야 하며 어깨를 드러내는 옷은 피해야함.

    - 라마단 단식기간중에는 아랍인앞에서 먹거나 마시거나 담배를 피우지 말것(위반시 구금)

    - 특별히 의심되지 않는 쿠웨이트인이 제공하는 아랍커피와 홍차는 받아 마시는 것이  예의임.
        . 아랍커피의 경우, 마시고 나서 잔을 살짝 흔들며 돌려주면 그만 마시겠다는 의사 표시임.

    - 주류반입 및 음주가 금지되어 있음.

    - 최근 아국에 대한 테러범의 공격 가능성 및 납치등이 증대되고 있어 치안에 각별 유의 필요

    - 물건을 주고 받을 때는 바른손을 사용.

    - 쿠웨이트인과 면담시, 신발바닥이 보이도록 앉는 것은 실례

바. 주요항공사

  • Kuwait Airways(Tel : 2451303), Gulf Air(Tel : 2412582), KLM (Tel : 2424220), Lufthansa(Tel : 2422493), Air France(Tel : 2426241), UAE Airline(Tel : 887887)

사. 주요연락처

  • 대사관 : 5339601∼3, Fax : 5312459
  • KOTRA : 2436933, Fax : 2436948
  • 한인회 : 2412988, FAX : 2412955
  • 주재상사 및 건설회사

    - 현대건설 : 5399804, Fax : 5399806

    - 대림엔지리어링 : 5654874, Fax : 5654915

    - 두산중공업 : 5486425, Fax : 5518453

    - LG건설 : 3204924, Fax : 3260601

    - SK건설 : 3716781, Fax : 3714683

아. 기 타

  • 사진

    - ID, 운전면허발급, 학교입학, 거주허가, 인근국 여행시 비자신청서용으로 증명사진, 명함판사진 두종류 칼라 사진으로 1인당 여러 규격으로 20매 이상씩 다량 필요하며 현지촬영도 전혀 문제 없음.
  • 명함 : 아랍어를 넣는 것이 좋으므로 현지 제작이 바람직함.

    - 그러나 영문 명함도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슴.
  • 도착전 쿠웨이트에 대한 사전지식 획득 방법 : 주한 쿠웨이트대사관 또는 필요시 공관에 요청
  • 이주시 항공화물량 : 1인당 20-25Kg까지는 허용되며, 초과시 부담되는 운임이 비싸므로 선편으로 짐을 별도로 부치는 것이 좋음. 짐이 소량일 경우 Unaccompanied Baggage의 항공화물로 부치면 됨.
  • 한국에서 현지로의 통화방법

    - 001 또는 002를 누른다음 965(쿠웨이트 국가코드)+고유전화번호
Ⅳ. 기타 일반사항
Ⅲ. 도착후 참고사항
Ⅰ. 쿠웨이트 개관

1

2

3

4

5

6

7

8

9

10

11

12

연간

기온

(C)

평균

12.7

14.4

18.9

24.4

30.0

32.2

38.0

37.5

33.5

27.8

21.1

15.0

25

최고

26

28

31

37

47

47

50

50

47

40

33

25


최저

4

5

8

12

18

25

26

25

20

16

10

7


우량(㎜)

22.9

22.9

27.9

5.1

0

0

0

0

0

2.5

15.2

28

124.5

II. 도착전 준비사항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쿠웨이트

수도->쿠웨이트<kuwait> 언어->아랍어 기후->사막기후 종교->이슬람교 85%

인구->약260만명 개요->아라비아 반도 페르시아만<潫>에 면한 입헌군주국

관광지-------------------------------------<

쿠웨이트타워

1

매인 타워 높이 187m 1979년 개장 페르시아만 해변가에 있는 쿠웨이트 상징물로서 쿠웨이트 시내를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다.

지도는 이렇게 생겼습니다!! 한구석에 퍽!! 하고 박혀있는 쿠웨이트입니다,ㅋ

......................특산물...........................임돠.........................

이 나라 쿠웨이트는 주로 석유의 원유를 땅에서 뽑아내서

수출 및 이용하고 잇는나라이다 우리 대한민국과도 여러 차례

교류가 잇었다.!

--------------------끗-----------------------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쿠웨이트시티가 현재 자리잡고 있는 곶은 겨우 300년 전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다. 18세기 초에 쿠웨이트는 성채에 딸린 창고 주위에 텐트들이 몰려 있는 것에 불과했다. 성채 주위에 살고 있던 여러 가문들은 그들 내부에서 서로 나뉘어졌고 새로운 개척지에 의무들이 부과되었다. 알사바(Al-Sabah)가문은 현재 쿠웨이트의 지배 가문으로 현지의 법이나 질서를 담당하도록 임명되었다. 작은 정착 지역은 이후 급속하게 커져갔다. 1760년에 마을의 최초 성벽이 세워졌고 쿠웨이트 도우 선박들 수는 800척에 이르렀으며 낙타 대상들이 바그다드와 다마스쿠스 사이를 정기적으로 오가게 되었다.19세기 초에 이르러 쿠웨이트는 번창하는 교역 항구였다. 그러나 항상 문젯거리는 임박해 있었다. 쿠웨이트가 오토만 제국의 일부였는지 아닌지는 종종 불명확하지만 공식적인 쿠웨이트 역사에서는 항상 오토만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유지했다는 단호한 입장을 나타낸다. 19세기 말에 쿠웨이트는 오토만 제국과 대체로 잘 지냈다. 그들은 터키인들이 동부 아라비아(알하사로 알려졌다)의 지배를 공고히 하려는 와중에서 제국에 흡수되는 것을 교묘하게 피해왔다. 그러나 그들은 알하사(Al-Hasa)의 지방 총독의 역할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이러한 결정은 현대 쿠웨이트 역사에서 중추적인 영향을 미쳤다. 보통 무바라크 대왕으로 알려진 무바라크 아랏바 알사바(Mubarak al-Sabah al-Sabah) 수장은 1896년에서 1915년까지 재위하였다. 무바라크는 터키를 몹시 불신하였고 콘스탄티노플이 쿠웨이트를 병합하려고 계획한다고 확신했다. 그는 다른 형제와 함께 수장이던 그의 형을 죽이고 반란을 일으켜 스스로 왕의 자리에 올랐다. 1899년 그는 조약을 체결하여 영국 해군의 보호를 대가로 영국의 동의 없이 영토를 조차하거나 외국 세력과 지원과 협상을 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영국이 조약을 체결한 데는 당시 터키의 주요 동맹국이며 재정정 지원자이던 독일을 페르시아 만에서 몰아내려는 의도였다. 오토만 제국은 쿠웨이트에 대한 주권을 주장했지만 강제로 일을 벌일 만한 입장이 못되었다. 쿠웨이트는 1920년대 초반을 현대 사우디아라비아의 창시자인 압둘 아지즈 빈 압둘 라만 알 사우드(Abdul Aziz bin Abdul Rahman Al-Saud)의 군대와 싸우는데 다 썼다. 1923년 전투는 영국이 중재한 조약으로 끝났다. 결과적으로 석유 채굴권은 1934년 미국과 영국의 합작 기업인 쿠웨이트 석유 회사(KOC)에 넘어갔다. 최초의 유정은 1936년에 파여졌고 1938년에는 쿠웨이트가 석유 위에 뜬 국가나 마찬가지라는 사실이 명확해졌다. 2차대전이 발발하면서 KOC는 활동을 정지했지만 전쟁이 끝난 후 석유 수출이 재개되면서 쿠웨이트 경제도 활기를 되찾았다. 쿠웨이트가 석유로 부유해지기 시작하면서 보건, 교육, 일반적인 생활의 질도 급속히 향상되었다. 1961년 6월 19일 쿠웨이트는 독립국가가 되었다. 최초의 국회 선거는 다음해에 열렸다. 비록 쿠웨이트의 상인 가문이 상당한 의석을 차지하기는 했지만 진보주의자들도 정부에서 최초로 발판을 마련했다. 1976년 8월 의회가 일상적인 통치를 불가능하게 만들고 있다며 내각이 사임하였다. 왕은 헌법을 정지하고 의회를 해산한 뒤 왕세자(전통적으로 수상에 임명된다)로 하여금 새로운 내각을 구성하게 하였다. 새로운 선거는 1981년이 돼서야 열렸지만 의회의 새로운 다수파 역시 충돌을 빚어 1986년 다시 해산되었다.정치, 경제적 긴장에도 불구하고 1990년 중반까지 특히 8년에 걸친 이란-이라크 전쟁이 끝나면서 쿠웨이트(그리고 걸프지역의)의 경제는 낙관적으로 보였다. 그런 와중에 1990년 7월 16일 이라크가 아랍 연맹의 의장에게 편지를 보내어 쿠웨이트가 OPEC 할당량을 초과하고 있으며 국경을 넘어 이라크 유정의 원유를 훔치고 있다고 비난하면서 큰 충격을 몰고 왔다. 이라크 대통령 사담 후세인은 군사 행동으로 위협했다. 이후 2주 동안은 뒤에서 여러 사절이 이라크를 바쁘게 오가며 충돌을 피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제시했지만 소용이 없었다. 이라크 탱크는 8월 2일 새벽 쿠웨이트시티를 점령하였고 정오에는 사우디 국경까지 진격하였다. 왕과 그의 내각은 사우디아라비아로 피신했다.UN은 재빨리 이라크가 쿠웨이트에서 철군하도록 요청하는 일련의 결정을 통과시켰다. 이라크는 침략이 쿠웨이트 왕을 전복시킨 반군 단체의 요청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하며 응수했다. 8월 8일 이라크는 쿠웨이트를 합병했다. 미국을 비롯한 서방세계는 이라크에 대한 UN의 무역 제재를 발효시켰으며 같은 달 사우디아라비아에 500,000만 명이 넘는 외국 군대를 파견했다. 11월 말 미국과 영국은 1991년 1월 15일까지 이라크가 자진해서 철군하지 않을 경우 쿠웨이트로부터 이라크를 몰아낼 군대를 파견하는 UN 결의안을 제출했다. 마지막 날이 지나도록 이라크 군은 움직이지 않았으며 몇 시간 뒤 대부분이 미국군인 연합군 폭격기는 이라크와 쿠웨이트에 5주에 걸친 폭격 작전을 시작했다. 지상군 공격이 감행되면서 사태는 점점 끝나갔다. 이라크 군은 겨우 100여 시간만에 붕괴되었다. 2월 말 연합군이 쿠웨이트시티에 도착했을 때는 퇴각하던 이라크 군이 불을 질러 놓아 수백 개 유정들로부터 새어나오는 시커먼 연기들만이 가득했다. 정부는 단순히 쿠웨이트를 재건하는 정도가 아니라 전쟁 이전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하는데 착수했다. 그러는 동안 쿠웨이트 정치의 미래에 대한 열띤 논쟁이 시작되었다. 점령기간 중 왕에게서 야당이 받아낸 약속을 지키기 위해 새로운 국회 선거가 1992년 10월 열렸다. 야당은 새로운 50석의 의석 중 30석이 넘게 차지하면서 정부를 놀라게 하였다. 비록 알사바 가문이 중심적인 국방, 외무, 내무 장관 자리를 여전히 차지하였지만 야당 의원들은 내각의 16석 자리 중 6석을 확보하였다.침략으로부터 2년 뒤까지 이라크와의 긴장이 여전히 높은 가운데에서도 쿠웨이트 정부는 대체로 전쟁과 점령의 상처를 지우는데 성공했다. 1994년 쿠웨이트는 몇 명의 이라크인들을 전 미국 대통령인 조지 부시가 전 해에 방문하였을 때 암살을 시도한혐의로 기소하였다. 쿠웨이트 주장에 따르면 이 시도는 마지막 순간에 발견되어 무산되었다고 한다. 이후에도 몇 번씩 이라크 해방군의 움직임에 따라 쿠웨이트나 미국, 아니면 양국의 군대가 동원되기도 했다.

경제

GDP: US$320억
1인당 GDP per head: US$16,700
연 성장율: 3%
인플레이션: 5%
주요 산업: 원유, 석유화학, 탈염
주요 교역국: 일본, 인디아, 미국

문화

아라비아로 이슬람은 복종을 뜻하며 무슬림은 알라의 뜻을 따르는 사람을 말한다. 쿠웨이트의 이슬람 분파는 사우디아라비아처럼 엄격하지 않지만 자유롭다고 말할 수는 없다. 이슬람의 기초는 유일신 알라와 그의 예언자 모하메드를 따르는 것이다. 코란에 적힌 대로 알라를 섬기는 것은 인간의 의무이다. 대부분의 쿠웨이트인들은 순니 이슬람교인이지만 시아파 교인들도 상당수 있다. 쿠웨이트의 공식언어는 아랍어이지만 영어도 널리 통용된다.단순한 소수민족이 아니라 베두인은 전형적인 아랍인 그 자체로 낙타 무리를 방목하는 유목민으로 음식을 찾아 사막을 여행한다. 1400년 전에 이슬람을 북아프리카에서 페르시아까지 퍼뜨린 전사들은 그들 중에서 나왔다. 오늘날 베두인인들은 주로 이집트, 이라크, 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 예멘에서 살지만 그들의 숫자는 유목민의 특성 때문에 정확히 알 수 없다. 문화 단체들은 베두인의 예술 전통, 특히 직물 등을 보존하려고 노력하며 이런 노력이 없다면 쿠웨이트의 예술계는 많이 제한될 것이다. 베두인의 베틀은 알사두라고 불린다. 직물은 양털을 염색해 복잡하게 짜서 만든다. 푸울, 펠라펠, 호우모스는 중동의 대표적인 세 가지 음식이며 아침부터 저녁식사까지 볼 수 있다. 푸울은 파바콩, 마늘, 레몬으로 만들어 기름을 부은 반죽이다. 펠라펠은 병아리콩 반죽을 떼어 향료와 함께 기름에 푹 튀긴 것으로 절인 야채나 토마토와 함께 코브즈(아라비아식 얇은 빵) 조각에 내온다. 호우모스는 병아리콩을 갈아 반죽하여 마늘과 레몬을 섞어 만든다. 아라비아의 빵은 뭐하고든 같이 먹으며 인생을 뜻하는 아이쉬라고도 불린다. 둥글고 납작한 빵은 안에 여러 가지를 집어 넣어 먹기 좋다. 주요 요리는 주로 닭과 케밥, 또는 고기와 야채 스튜이다. 쿠웨이트 식당의 상당수는 인디안 식당으로 비리야니(향신료를 많이 넣은 볶음밥)를 주로 판다. 서양 패스트푸드도 많이 있다. 커피하우스(카와)는 쿠웨이트에서 중요한 사교의 장이다. 이슬람교에서 금지된 술에 대해서는 잊어버리도록 하자. 입국시에 짐 검사를 거의 반드시 하므로 몰래 가지고 들어오려 해도 소용없다.

축제 및 행사

이슬람 축제 때에는 거의 모든 곳이 문을 닫기 때문에 언제가 축제인지 아는 것이 중요하다. 쿠웨이트의 종교 축일은 이슬람의 음력 달력에 따르므로 서양달력으로는 매년 변한다. 주요 행사로는 낮동안 금식하는 라마단(2002년까지는 1월과 12월에 끝난다), 라마단 끝날에 열리는 3일간의 축제, 에이드 알피트르(Eid Al-Fitr), 예언자 모하메드가 에맘 알리(Emam Ali)를 그의 후계자로 지명한 것을 기념하는 가디레 콤(Ghadir-e Khom), 모하메드의 탄신일인 라비올아발(Rabi-ol-Avval) 등이 있다. 2월 26일의 자유의 날은 공식 행사가 아니지만 누구나 휴일처럼 여긴다

여행자 정보

비자: 걸프지역 국가 국민이 아니면 누구나 입국시 비자가 필요하다. 쿠웨이트는 관광비자를 발행하지 않으며 커다란 호텔들이 비자 보증인이 되어 준다. 이스라엘 입국 비자가 여권에 찍혀있으면 쿠웨이트로는 들어갈 수 없다.
보건위생: 폭발되지 않은 불발탄이나 지뢰
시간: 한국보다 6시간 늦다
전압: 220V, 240V, 50Hz
도량형: 미터법(도량형 환산표 참조)

경비 및 환전

통화: 쿠웨이트 디나르(KD)
일반 경비:
저렴한 숙소: US$40-70
중급 호텔: US$70-150
고급 호텔: US$150 이상
저렴한 현지 식사: US$ 5-7
중간 가격대의 레스토랑 식사: US$7-15
최고급 레스토랑의 식사: US$15이상

쿠웨이트는 비싸다. 최소 경비가 하루 US$65 정도에서 시작하며 보통은 이보다 더 든다. 중간 가격이라고 해도 US$80 이상이 들며 고급스럽게 여행할 경우 US$175 이상을 각오해야한다.엄청나게 복잡한 금융 체계의 쿠웨이트는 그 중에서도 환전이 특히나 짜증나는 수준이다. 은행은 많은 수수료를 떼며 환전소는 여행자 수표를 종종 받아주지 않는다. 다행스러운 것은 신용카드가 널리 통용된다는 것이다. 팁은 좋은 식당에서만 내면 된다. 그러나 계산서 금액에 덧붙여 좋은 식당에서 받는 서비스차지는 웨이터가 아니라 가게 돈 서랍으로 들어간다. 흥정은 시장에서만 일반적인 일이다.  

여행 시기

가장 놓은 여행시기는 5월에서 10월로 여름 바로 전과 후이며 이때는 기온이 많이 누그러진다.

주요 여행지

쿠웨이트  

전쟁이후 쿠웨이트시티는 가격을 제외하고는 눈에 띌 정도로 지내기 쉬운 곳이 되었다. 한때 쿠웨이트의 자랑이었으며 많은 걸작들을 소장하던 국립 박물관은 전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이슬람 예술 수집품 중 하나인 알사바가문의 수집품을 소장했었지만 점령기간동안 이라크에 의해 전시장이 철저히 약탈당했다. 이라크는 건물 전체를 싹 쓸어버리고 모든 것을 불태워버렸다. 박물관 단지의 정원 뒤에 있는 작은 홀이 보수되어 때로는 임시 전시장이 되고 있다. 국립 박물관에서 소장한 보물들을 잃었기 때문에 커다란 빌라의 지하에 소장된 이슬람 예술 개인 소장품인 타레크 라잡(Tareq Rajab) 박물관이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국립 박물관 근처의 작은 건물인 사두(Sadu) 하우스는 베두인 예술과 공예품을 위해 세워진 박물관, 문화 재단이다. 또 쿠웨이트에서 베두인 물품을 사기 가장 좋은 곳이기도하다. 이 집 자체는 석고와 산호로 지어졌으며 정원 주위에는 아름답게 장식된 조각들도 있다. 이 나라의 이슬람교인에게 더 인상적인 곳으로는 거대하고 현대적인 대 모스크로 1986년 열렸으며 세우는데 수백만 불이 들었고 5500명의 신자를 수용할 수 있다.  스웨덴 건축 사무소에 의해 디자인되어 1979년 개장한 쿠웨이트 타워는 쿠웨이트의 주요 명소가 되었다. 세 개의 탑 중 가장 큰 곳은 187m 높이이다. 위쪽 구형에는 2개 층의 전망대가 있고 매일 개장하며 왕의 시에프(Sief) 궁이 내려다보인다. 가장 큰 탑의 아래 구형에는 식당, 커피숍, 연회장 등이 있다.

파일라카(Failaka) 섬

쿠웨이트의 주요 고고학 유적지인 파일라카는 특별한 주의를 요하긴 하지만 꼭 가 볼만한 곳이다. 이라크는 파일라카에 요새화된 기지를 설치하고 지뢰를 매설해 놓았다.      파일라카의 역사는 바레인을 중심으로 한 청동기 시대의 딜문(Dilmun) 문명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리스 인들은 BC 4세기 알렉산더 대제의 장군 중 한 명인 네아르쿠스(Nearchus)에 의해 보내진 주둔군의 형태로 이곳에 도착했다. 이 전에는 이 섬에 소수의 사람들이 정착해 있었지만 이 곳이 진짜 도시가 된 것은 그리스 마을인 아카로스(Ikaros)가 되고 나서이다. 그리스인들은 파일라카에 두 세기 동안 살았다. 이 섬의 걸작은 신전이다. 파일라카는 쿠웨이트시티에서 북동쪽으로 20km 정도 떨어져 있으며 시내 남쪽에 있는 아라비아 걸프 해협에서 매일 출발하는 배로 쉽게 갈 수 있다.

알아마디(Al-Ahmadi)

1940년대와 50년대의 쿠웨이트 원유 산업을 간수하기 위해 세워진 알아마디는 당시의 왕인 아메드 수장의 이름에서 따왔다. 아직도 상당부분이 쿠웨이트 석유 회사(KOC)의 사유 재산으로 남아 있다. 석유 전시관은 작고 잘 설비된 곳으로 KOC외 석유 산업에 대한 자화자찬격의 소개를 하고 있다. 알마마디는 또한 들려 볼만할 작고 편안한 공공 정원을 가지고 있다.

잘 알려지지 않은 여행지

알자라(Al-Jahra)

알자라느 쿠웨이트에서 32km 서쪽에 위치해 있으며 1920년 사우디아라비아 군대대 침입해 왔을 때 영국의 도움으로 물리친 곳이다. 이 마을의 유일한 전통적 구경거리는 고속도로 근처에 있는 낮은 사각형 진흙 구조물인 붉은 요새(Red Fort)로 1920넌의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알자라는 또한 걸프 전쟁에서 악명 높던 장소이기도 하다. 연합군은 쿠웨이트에서 퇴각하려고 시도하다 정체된 이라크 호송대를 폭격하였다.

도하(Doha) 마을

쿠웨이트만으로 튀어나온 돌출 부위에 있는 도하 마을은 몇몇 작은 도우선 조선소와 누추한 오두막의 어촌 마을이 있는 곳이다. 쿠웨이트시티에서 도하 마을까지는 버스로 갈 수 있으며 북서쪽으로 20km 지점에 있다.

레저스포츠

페르시아만은 거의 연중 내내 수영, 윈드서핑, 요트, 스노크링, 다이빙의 풍부한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나 해변 주위나 물에 지뢰나 다른 폭발물이 없는지를 먼저 확인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쿠웨이트로 가는 길

쿠웨이트는 매우 싸고 광범위한 지방 또는 도시간 버스를 운행한다. 돌아다니기 위해서 택시도 이용할 수 있지만 미터기가 달려있지 않으므로 출발하기 전에 확실히 가격을 정하는 것이 좋다.쿠웨이트에서 차를 빌리는 것은 하루 US$20 정도 든다. 운전면허증과 다른 걸프 지역 국가들의 체재 허가가 있다면 다른 서류 없이 쿠웨이트에서 운전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국제운전면허증이나 서방세계의 운전 면허증으로 운전할 수 있는데 이때는 운전면허증의 보험을 위해 US$35불을 내야한다

국내 교통편

쿠웨이트는 매우 싸고 광범위한 지방 또는 도시간 버스를 운행한다. 돌아다니기 위해서 택시도 이용할 수 있지만 미터기가 달려있지 않으므로 출발하기 전에 확실히 가격을 정하는 것이 좋다.쿠웨이트에서 차를 빌리는 것은 하루 US$20 정도 든다. 운전면허증과 다른 걸프 지역 국가들의 체재 허가가 있다면 다른 서류 없이 쿠웨이트에서 운전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국제운전면허증이나 서방세계의 운전 면허증으로 운전할 수 있는데 이때는 운전면허증의 보험을 위해 US$35불을 내야한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쿠웨이트의 국기

 

역사 : 1961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였다. 1990년에서 1991년까지 일어난 걸프 전쟁 때에는 이라크에 점령당하기도 하였다.

지리/수도 : 쿠웨이트는 아라비아 반도의 동쪽에 위치하고 페르시아 만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29°22′N, 47°58′E)/쿠웨이트

행정 구역 : 쿠웨이트는 다음 여섯개의 행정 구역으로 나눠져있다: 알 아하마디(Al Ahamadi), 알 팔와니아(Al Farwaniyah), 알 아시마(Al Asimah), 알 자하라(Al Jahra), 하왈리(Hawalli), 무바라크 알-카비르(Mubarak Al-Kabeer).쿠웨이트의 주요 도시들은 쿠웨이트 수도와 자하라에 있다. 살미야와 하왈리는 많은 사람들이 주거하는 도시이고 상업적인 도시이다. 알 아시마의 슈와익은 공업이 발달한 도시이다. 쿠웨이트의 궁전인 아스-시프 궁전(As-Seef Palace)는 쿠웨이트 수도의 살로와라는 도시에 있다. 쿠웨이트의 에미르가 주거하는 곳이라서 살로와는 정치적인 일이 해결되는 도시이다.

기후 : 쿠웨이트는 사막성 기후를 같고 있다. 겨울때는 온도가 10도로 내리고 여름때는 온도가 54도까지 올라간다.

정치 : 이 나라는 군주제 국가이다. 군주의 칭호는 ‘에미르’이며, 에미르는 ‘토후(土侯)’라는 뜻이며, 유럽의 ‘공(公)’ 또는 ‘대공(大公)’에 해당한다.

주민 : 주민은 아랍인이 80%, 9%는 동남아시아 사람들, 이란인이 4%, 그 외 민족이 7%(영국인 등)이다.

언어 : 공용어 아랍어이다. 이주민 간에 페르시아어, 우르두어, 영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영어는 쿠웨이트 인구의 삼분의 일이 쓰고 있다.

종교 : 이슬람교가 국교이며 쿠웨이트 국민의 85%(수니파 70%, 시아파 30%)를 차지한다.나머지 15%는 성공회 등의 기독교, 힌두교 등이 차지한다. 이의 경우는 외국인들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이다.

군대 : 북쪽으로 이라크이기 때문에 미국 군대가 주둔하고 있다. 한국의 자이툰부대도 쿠웨이트 최북단에 주단하고 있다.

경제 : 좁은 땅에도 불구하고 쿠웨이트 유전에서 세계 석유의 10%가 매장되어 있다. 석유로 경제가 한때는 세계 제일의 1인당 GDP 기록으로 발전하기도 했다. 현재는 세계에서 네번째로 부자인 나라로써의 지위를 갖고 있다.

문화 : 주요 문화는 이슬람교 문화이다. 쿠웨이트의 문화는 인사를 중요시한다. 또한 돼지고기을 먹으면 안 되고, 주위에서 그걸 먹은 사람을 보면 불쾌감을 나타낸다.

인사 : 쿠웨이트의 문화는 다른 베두인 문화처럼 사람 대접 하는 일을 중요시한다. 그리하여 사람 대접의 일부인 인사도 중요시한다. 쿠웨이트인의 전통적인 인사는 악수와 양볼을 입맞추는 것이다. 남녀 사이는 몇 마디의 인사와 간단한 악수만 하는 것이 예의이다. 그러나 만약에 그들이 친척이라면 양볼에 입맞추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 다음에는 친밀감을 주기 위해 사적인 이야기를 나눈다.

차 : 쿠웨이트의 인사문화에 아주 큰 역할을 한다. 쿠웨이트인들은 자기 집으로 초대한 손님에게 차를 대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만약에 손님이 차 대접을 거절하면 쿠웨이트인들은 모욕으로 받아들인다. 왜냐하면 차 대접은 친절함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기 때문이다.

문화 유적지 : http://www.koreaweddingnews.com/html/hunymoon/asia/asia-kwit-006.html

특산물 : 석유

쿠웨이트에 대해서

쿠웨이트에 대한 정보 다~ 가르쳐주삼~~~ 쿠웨이트는 중동에 위치한 국가로, 석유 생산으로 유명하며 부유한 자원으로 경제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슬람 국가이다.

쿠웨이트에 대해서...

... <쿠웨이트에 대해서> 1. 면적 - 17,820㎢ 이며 우리나라의 약 0.8배입니다. 2. 수도 - 쿠웨이트 3. 사용 화폐 - 1 KWD = 3963.78 원입니다. 4. 종교 - 이슬람교 85% 가장 많습니다. 5....

쿠웨이트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 쿠웨이트에 대해서 조사해오는 거여,,, 근데. 인테넷 다뒤져봐도 별로 내용이 없내요..... 그래서요,, 쿠웨이트에 대해서 좀 마니 알려 주세요,, 꼭이여 뭐 그나라의 문화...

쿠웨이트에 대해서(내공100)

... 쿠웨이트 파워포인트, 차트로 쿠웨티트의 자연환경,문화재... 쿠웨이트에 대해 면적 - 17,820㎢ 이며 우리나라의 약 0.8배입니다. 수도 - 쿠웨이트 사용 화폐 - 1 KWD = 3963.78...

'쿠웨이트'의 대해서 파워 포인트

쿠웨이트에 대해서 파워포인트를 하려는데 어던 형식으로해야할지 몰라서....ㅎㅎ 착하고 존경스러운 님들아~~~~~~~~~~~~~~~ 갈켜주삼~~~~~~~~ 쿠웨이트에 대해 면적 - 17,820...

쿠웨이트...에 대해서

쿠웨이트에 대해서 좀 알려주삼 아라비아 만의 서쪽 해안 북위 29도, 동경 48도에 위치하고 있다. 지리적으로는 북으로 이라크와 접하고 남쪽으로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 도착비자에 대해서 여쭤봅니다.

... 쿠웨이트 도착비자에 대해서 여쭤봅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께서 달아주신 비자관련 여러 댓글을 보았습니다. 정말 대단하십니다. 하여 조심스럽게 제가 제 상황에 대해...

쿠웨이트 발표!

학교에서 쿠웨이트에 대해서 발표하라고 하는데 뭘 발표해야 할지 모르겠어요ㅜㅜ 쿠웨이트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해주세요!!!!ㅜㅜ 네이버에서 중동, 이슬람, 아랍어...

쿠웨이트에 대하여

쿠웨이트에 대해서 표로 좀 정리 좀해주세여... 아제발 얄팍한 지식이 아닌 살짝 정리한 진짜내용..이랄까... ㅎㄷㄷㄷ 제 내공이 없어서 20밖에 못올림니다. 쿠웨이트에...

쿠웨이트의 국화,음식,문화유산

... 6학년인데 숙제가 쿠웨이트에 대해서 알아오기입니다. 근데;; 다른건 다 나오는데 4가지는 찾아보아도 통 나오질 않네요. 쿠웨이트의 국화: 쿠웨이트 사람들이 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