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말 요점정리

기말 요점정리

작성일 2009.06.0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6학년 1학기

기말 요점정리요!!

급해요

국어 사회 과학이요

국어는 4단원까지

사회는 3-(1)까지

과학은 7단원 까지요

이상한 글 신고합니다!!

내공 90걸어요


#중3 사회 기말 요점정리 #중2 국어 기말 요점정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답변확정 부탁드려욤....^^

 

 

국어

 

 

 


◎ 이해한 내용이 사람마다 다른 이유
• 사람마다 경험한 것이 다르기 때문이다.
• 사람마다 살아 온 환경이 다르기 때문이다.
• 사람마다 알고 있는 것이 다르기 때문이다.
• 사람마다 생각하는 내용이 다르기 때문이다.

◎ 생각이나 느낌을 자유롭게 떠올리기
• 나의 경험을 생각해 본다.
•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해 본다.
• 경험했었던 일 중에서 좋았던 점과 나빴던 점에 대하여 생각해 본다.

 


◎ 배경에 대하여
• 배경은 인물이 활동하고 사건이 전개되는 모든 시간과 공간을 말한다.
• 시간적 배경 : 사건이 일어나는 시간(때)을 가리킨다.
• 공간적 배경 : 사건이 일어나는 공간(장소)을 가리킨다.

◎ 사건에 대하여
• 사건은 이야기 속 주인공에게 일어난 일을 말한다.
• 사건은 시간적 · 공간적 배경에서 일어나는 온갖 일을 말한다

 

 

 

 

 

 

 

 


◎ 인상 깊은 장면을 찾으려면
• 나의 경험과 관련지어 생각한다.
• 내가 주인공의 입장이 되어 본다.
• 만약 나라면 어떻게 하였을지 상상하여 본다.
• 왜 그 장면이 인상 깊다고 생각하였는지 이유를 생각해 본다.

◎ 인물에 대한 내 생각을 자유롭게 쓰려면
• 새롭게 알게 된 내용을 쓴다.
• 내가 경험했었던 일을 중심으로 쓴다.
• 내가 느끼고 생각한 대로 솔직하게 쓴다.
• 내가 이미 알고 있었던 일을 중심으로 쓴다.
• 다른 사람의 말이나 글을 내 경험과 관련지어 생각해 보고 쓴다.

 


◎ 사건과 배경의 관계
• 사건과 배경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 배경을 통하여 사건의 전개를 미리 짐작해 볼 수 있다.
• 사건과 배경의 관계를 잘 파악하면 이야기를 이해하기 쉽다.
• 배경이 바뀌면 사건의 전개도 배경에 어울리는 내용으로 바뀐다

 

 

 

 

 

 

 

 


◎ 매체와 정보
• 매체는 여러 가지 내용이나 자료를 전달하여 주는 수단을 말한다.
• 매체에는 신문이나 텔레비전, 라디오, 인터넷 등이 있다.
• 정보는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지식이나 자료를 말한다.
• 매체를 잘 이용하면 우리에게 필요한 여러 가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매체에서 정보를 찾을 때에 주의할 점
• 어떤 목적으로 사용할 정보인지 정확하게 파악한다.
• 매체의 특징을 알아보고 가장 효과적인 매체를 선택한다.
• 내게 필요한 정보와 불필요한 정보를 구별한다.
• 찾은 정보에 잘못된 내용은 없는지 확인한다.

◎ 찾은 정보를 바탕으로 글을 쓰려면
• 찾은 정보가 정확한지 확인한다.
• 찾은 정보를 요약하고 정리하여 글을 쓴다.
• 그 정보에 대한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쓴다.
• 정보를 어디에서 찾았는지 활용 매체를 밝힌다.
• 틀린 곳이 없는지 다시 한 번 읽어 보고, 알맞은 제목을 붙인다.

 


◎ 문단이란?
• 문단은 한 개의 중심 문장과 두세 개 이상의 보조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 문단은 하나의 중심 생각을 나타내는 글의 단위이다.

◎ 문단의 중심 내용을 찾을 때에는
• 문단의 구조와 글쓴이의 생각을 파악한다.
• 반복적으로 말하고 있는 핵심적인 낱말이 무엇인지 찾아본다.
• 중요한 내용과 중요하지 않은 내용을 구별하여 중요한 내용만 간추린다.

◎ 요약이란?
• 요약은 글을 읽고 글쓴이가 전달하고자 하는 핵심적인 내용만 간추리는 것이다.

◎ 문단의 내용을 요약하는 방법
• 글 전체의 짜임을 생각하며 글을 읽고, 내용을 파악한다.
• 문단을 나누고, 각 문단에서 ‘무엇’에 대하여 ‘어떠하다’고 말하는지 살펴본다.
• 각 문단의 핵심적인 말들을 찾아서 요점을 파악하고, 중심 내용을 간추린다.
• 각 문단의 중심 내용을 연결하여 글 전체의 중심 내용을 요약한다.

 

 

 

 

 


◎ 묘사에 대하여
• 묘사란 어떤 대상의 구체적인 모습을 눈에 보이듯이 생생하게 말하거나 글로 나태내는 방법을 말한다.
• 묘사하기 전에는 대상을 자세히 관찰하고, 각 부분의 특징이나 본 것, 느낀 것에 대하여 생각해 본다.
• 보고 들은 것뿐만 아니라 마음에 느낀 것을 자세하게 나타낼 때에도 묘사를 한다.
• 묘사는 다른 표현 방법보다 글쓴이의 생각이나 느낌을 듣는 사람에게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 인물이나 사물을 묘사하는 방법
• 전체에서 부분으로 묘사한다.
• 순서를 정하여 묘사한다.
• 눈으로 보듯이 생생하게 묘사한다.
• 인상적인 부분을 강조하여 묘사한다.
• 다른 사물에 빗대어 나타내거나 흉내내는 말을 사용하여 묘사한다.

◎ 묘사의 종류
• 글쓴이의 태도에 따라 객관적 묘사와 주관적 묘사로 나눌 수 있다.
• 객관적 묘사 : 사물이나 대상을 관찰하고 나서 알게 된 사실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글에 쓰인다.
• 주관적 묘사 : 사물이나 대상을 관찰하고 나서 느낀 생각이나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정서를 표현하는 글에 쓰인다.

◎ 정확하게 발음하는 방법
• 받침 ㄱ(ㄲ, ㅋ, ㄱㅅ, ㄹㄱ), ㄷ(ㅅ, ㅆ, ㅈ, ㅊ, ㅌ), ㅂ(ㅍ, ㄹㅂ, ㄹㅍ, ㅂㅅ) 뒤에 연결 되는<ㄱ>, <ㄷ>, <ㅅ>, <ㅈ>은 <ㄲ>, <ㄸ>, <ㅃ>, <ㅆ>, <ㅉ>으로 발음한다.
국밥[국빱], 꽃다발[다발], 옆집[엽찝]

 


◎ 글 전체의 내용을 요약하는 방법
• 글을 읽고 글쓴이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 글을 여러 개의 문단으로 나누고, 각 문단의 중심 내용을 요약한다.
• 문단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전체의 내용을 다시 몇 부분으로 나눈다.
• 각 부분의 중요한 내용을 간추리고 연결하여 글 전체의 중심 내용을 요약한다.
• 요약한 내용이 글 전체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 확인한다.

 

 

 


◎ 시와 이야기의 다른 점
• 시는 연과 행의 구분이 있으나, 이야기는 일정한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다.
• 시는 되풀이되는 말을 사용하여 노래 부르는 듯한 느낌이 들고, 이야기는 줄글과
  대화글을 사용하여 자세하고 편안한 느낌이 든다.
• 시는 간결하게 표현하여 강하고 인상적이지만, 이야기는 장면이나 생각을 자세하게
  묘사한다.

◎ 다른 형식의 글로 바꾸어 쓸 때에 주의할 점
• 원래의 내용이 잘 드러나도록 쓴다.
• 내 경험이나 생각과 관련지어 그 때의 느낌을 떠올려 쓴다.
• 시를 이야기로 바꾸어 쓸 때에는 시에 줄글로 자세하게 표현한다.
• 이야기를 시나 전래 동요로 바꾸어 쓸 때에는 되풀이되는 말이나 글자 수가 일정하게
  반복되는 말이 주는 느낌을 살린다.

 


◎ 감각적 표현의 특징
• 감각적 표현이란 사물에서 받은 인상이나 느낌을 보거나 듣거나 만져 보는 것처럼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 여러 가지 비유적 표현을 사용하여 실감나게 표현한다.
• 흉내내는 말을 비롯한 여러 가지 꾸며 주는 말을 사용한다.
• 시에서는 글쓴이가 받은 인상이나 느낌을 좀더 실감나게 나타내기 위하여 감각적 표현을 자주 사용한다.
• 감각적 표현을 음미하면서 시를 읽으면 시의 분위기나 글쓴이의 마음을 좀더 잘 이해할 수 있다.

◎ 감각적 표현을 쓰려면
• 사물을 자세히 관찰한다.
• 나만의 생각이나 느낌이 잘 드러나게 표현한다.
• 사물에 어울리는 말이나 표현이 무엇인지 생각해 본다

 

 

 

 

 

◎ 극본과 이야기의 차이점
극본
이야기
연극을 하기 위한 글. 이야기를 들려 주기 위한 글
해설, 지문, 대사로 이루어져 있음. 줄글로 이루어져 있음.
때, 곳, 나오는 사람들, 무대 장치 설명 등
을 해설로 나타냄.
인물, 사건, 배경을 줄글로 나타냄.
지문과 대사로 인물의 성격과 사건의 흐름
을 나타냄.
내용 속에서 인물의 성격과 사건의 흐름을 묘사함.
글의 분위기를 지문 속에서 인물의 행동과
목소리로 지시함
글의 분위기를 설명하듯이 표현함.

◎ 이야기를 극본으로 바꾸는 방법
• 등장 인물과 배경을 해설로 표현한다.
• 사건의 흐름을 인물의 대사와 지문으로 표현한다.
• 인물의 표정이나 몸짓, 목소리를 지문으로 표현한다.
• 이야기에 나오는 등장 인물의 수에 제한을 두어 극본으로 표현한다.

◎ 극본을 이야기로 바꾸는 방법
• 이야기에서는 해설을 줄글로 바꾸어 쓴다.
• 인물의 대화는 대화글로 풀어서 나타내고, 지문은 상황을 풀이하는 줄글로 나타낸다.
• 경우에 따라 인물의 성격이나 사건을 예를 들어 가며 자세하게 묘사한다.

 


◎ 효과적인 표현의 특징
• 생각이나 느낌이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 행동이나 사건이 실감나게 드러난다.
• 읽는 사람에게 재미를 느끼게 해 준다.

◎ 효과적인 표현 방법
• 다른 것에 빗대어 표현하는 방법.
• 그림을 그리듯 선명하게 표현하는 방법.
• 인물을 생각이나 말을 넣어 표현하는 방법.
• 사람이 아닌 것을 사람처럼 표현하는 방법.
• 소리나 모양을 흉내내는 말을 넣어 표현하는 방법

 

 

 

 

 

 

◎ 내 생각을 주장할 때에는
• 주장하려는 내용이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한다.
•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한다.
• 주장과 근거가 서로 잘 어울리는지 살펴본다.

◎ 주장과 근거가 분명하게 드러나게 글을 쓸 때에는
• 주장하려는 내용에 대하여 필요한 사실들을 조사한다.
• 처음 부분에서 문제점이 무엇인지 분명하게 밝힌다.
• 가운데 부분에서 문제점에 대하여 타당성 있는 주장을 내세운다.
•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와 실천 방안을 제시하여 다른 사람의 공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 끝 부분에서 주장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정리한다.

◎ 정확하게 발음하는 방법
• 받침 ,<ㅁ>, <o> 뒤에 <ㄹ>이 올 경우, <ㄹ>을 <ㄴ>으로 바꾸어 발음한다.
침략[침냑], 심리[심니], 강릉[강능], 동력[동녁]
• <ㄴ>이 <ㄹ>의 앞이나 뒤에 올 경우, <ㄴ>을 <ㄹ>로 바꾸어 발음한다.
광한루[광할루], 훈련[훌련], 물난리[물랄리], 생일날[생일랄]

 


◎ 주장과 근거
• 주장은 어떤 문제에 대하여 내세우는 글쓴이의 의견이다.
• 근거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내용이다.
• 글쓴이는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근거를 제시한다.
• 근거에는 ‘있었던 일’, ‘일반적인 사실’, ‘다른 사람의 의견’ 등이 포함된다.
• 주장은 분명해야 하고, 근거는 주장을 적절하게 뒷받침하는 보편 · 타당한 것이어야 한다.

◎ 주장과 근거를 찾는 방법
• 글쓴이가 제시한 문제가 무엇인지 알아본다.
• 글의 짜임을 알아보며, 글쓴이의 주장이나 입장이 무엇인지 찾아본다.
• 글쓴이의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는 근거가 무엇인지 정리한다.

 

 

 

 

사회

 

 

 
◎ 선사 시대의 생활 모습
구분
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유물
주먹 도끼, 찌르개 돌괭이, 돌보습, 빗살무늬 토기 청동 거울, 고인돌, 반달 모양 돌칼
주거 생활
동굴 생활 움집 발달된 형태의 움집
식생활
사냥, 고기잡이, 열매 채집 농사짓기, 가축기르기,
사냥, 고기잡이
농사짓기(벼, 보리, 조,
수수), 가축기르기
특징
이동 생활 정착 생활 지배자 등장

◎ 고조선
• 지금으로부터 약 4,300년 전에 단군왕검이 세운 나라이다.
• 도읍지는 아사달이며, 영토는 우리 나라 북부 지방과 그 위쪽 지역이다.
• 인간을 널리 이롭게 한다는 뜻인 ‘홍익인간’을 기본 정신으로 하여 나라를 다스렸다.
• 고조선은 계급, 법, 개인 재산, 노예 등이 인정된 사회였다.
• 고조선은 2,000년 동안 계속되었으나, 한나라의 침입으로 멸망하였다.

◎ 고조선 다음에 일어난 나라들 : 철기 문화를 바탕으로 부여, 옥저, 동예, 삼한, 신라, 고구려, 백제 등의 나라가 일어났다.

◎ 삼국시대
구분
고구려
백제
신라
시조
주몽
온조
박혁거세
수도
국내성→평양성
위례성→웅진→사비성
경주
전성기
광개토 대왕, 장수왕
근초고왕
진흥왕

◎ 통일 신라의 삼국 통일
• 신라의 삼국 통일 과정 : 백제의 멸망(660년) → 고구려의 멸망(668년) → 당나라 세력을 몰아 냄. → 신라의 삼국 통일(676년)
• 김유신 장군, 무열왕 등이 삼국 통일에 큰 공헌을 하였으며, 문무왕 때 통일을 이루었다.
• 신라의 감국 통일은 민족, 영토, 문화가 하나로 통일되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고구려를 이어받은 나라, 발해
• 고구려의 장수 대조영이 고구려를 이어 가기 위해 고구려의 옛 땅에 일으킨 나라이다.
• 고구려 유민들과 말갈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 고구려의 제도나 문화, 생활 양식을 띤 문화재가 많다

 

 

 

 

 

◎ 후삼국 시대
• 통일 신라의 힘이 약해지자 후백제, 후고구려가 일어나 후삼국 시대가 시작되었다.
• 견훤이 후백제를, 궁예가 후고구려를 세웠다.
• 왕건이 후고구려의 새 왕이 되면서 나라 이름을 고려라고 고치고, 후삼국을 통일하였다.

◎ 태조 왕건의 정책
• 왕건은 북진 정책으로 고구려의 옛 땅을 찾으려고 노력하였다.
• 각종 제도를 고쳐, 국민들의 삶을 편안하게 하려고 노력하였다.

◎ 고려의 외교 관계
• 송과의 교류가 활발하였으며, 벽란도를 중심으로 송, 일본, 아라비아 상인들과 무역이 이루어졌다.
• 거란과 여진족이 자주 침입해 왔으나, 용감한 우리 군사들이 물리쳤다.
• 몽고의 침입으로 강화 조약을 맺고 몽고의 정치적 · 문화적인 간섭을 받았으나, 공민왕은 자주 운동을 벌여 고려의 풍습을
  다시 되찾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 고려의 문화재:고려청자, 팔만대장경판, 직지심체요절 등의 뛰어난 문화재들이 전해진다

 

 

 

 

◎ 조선의 건국
• 조선은 1392년, 태조 이성계에 의하여 건국되었다.
• 한양을 새 도읍지로 정하였다.
• 유교를 정치의 이념으로 삼았다.

◎ 조선의 정책
• 농업을 장려하였다.
• 명나라를 섬기고, 왜와 여진족에게는 강력하게 대응하였다.
• 압록강과 두만강 이남까지 영토를 넓혔다.
• 경국대전을 편찬하여 법을 체계화하였다.

◎ 조선초기의 백성들의 생활
• 예절을 중시하였고, 부지런하고 검소한 생활을 하였다.
• 압록강, 두만강 이남까지 농민들이 옮겨 가서 살게 되었다.

◎ 조선 시대의 학문 · 과학 · 기술의 발달
발달 분야
이루어 낸 업적
달라진 서민들의 생활 모습
학문
한글 창제 백성들도 글을 배우고 읽을 수 있게 됨.
과학
측우기, 수표, 풍기대 발명 기상 현상을 정확히 알게 되어 생활에 도움을 줌.
천문학 발달 농사 절기를 알려 주는 등 농사에 도움을 줌.
해시계, 물시계 발명 시각을 정확하게 알수 있게 됨.
기술
농사직설 편찬 새로운 농사법으로 농산물 생산량이 늘어남.
향약집성방 편찬 백성들이 질병에서 벗어남.
인쇄술 발달 학문과 기술이 발달함.

◎ 조선시대의 신분
• 조선시대의 신분은 양반, 중인, 상민, 천민으로 나뉘었다.
• 신분에 따라 사회적으로 누리는 권리와 하는 일이 달랐다.

◎ 임진왜란
• 선조 때(1592년), 왜가 바다를 건너 쳐들어왔다.
• 관군, 수군, 의병, 명나라의 지원군이 힘을 합쳐 싸웠다.
• 전쟁은 7년 만에 끝났으며, 인구와 농토가 줄어들었고, 문화재가 많이 훼손되었다.

◎ 조선시대의 통신사
• 조선 통신사는 일본에 우리의 선진 학문과 기술을 가르쳐 주었다.
• 초기에는 임진왜란 때 강제로 끌려간 사람들을 찾아오기 위해 파견되었으나, 후에는 문화 사절단의 역할을 하였다.

◎ 병자호란
• 인조 때, 청나라가 10만 대군을 이끌고 압록강을 건너 쳐들어왔다.
• 조선은 청의 강력한 군사력을 이기지 못하고 청의 요구대로 군신 관계를 맺었다

 

 

 

 

◎ 산업의 발달
• 농사법이 발달하여 농민 생활이 전보다 풍요로워지고 부농이 생겼다.
• 상업이 발달하여 전국적인 상인 조직이 생겨났고, 외국과의 무역도 활발하였다.
• 수공업자들은 관청 소속에서 풀려나 자유롭게 수공업품을 생산할 수 있었다.
• 상공업이 발달하자 시장이 늘어나고, 상평통보 등 금속 화폐가 활발하게 쓰였다.

◎ 서민문화의 발달
• 서민의 생활이 풍요로워지고, 예술 ·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서민문화가 발달하였 다.
• 한글 소설, 판소리, 탈놀이, 민화 등 서민들을 위한 문화가 발달하였다.
• 서민 문화에는 서민들의 생활과 감정이 담겨 있다.

◎ 실학자의 주장과 활동
• 실학은 백성들이 잘 살고, 나라를 튼튼하게 하고자 일어났다.
• 유형원, 이익 등은 농업의 발달과 토지 제도 개혁을 주장하였다.
• 박지원, 박제가 등은 상공업의 발달을 주장하였다.
• 유득공, 안정복, 김정호, 유희 등은 우리의 역사 · 지리 · 언어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실학은 조선 사회를 개혁하려는 후배 학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 조선 후기의 종교 생활
• 백성들의 생활이 어려워지자, 민간 신앙이 성행하였다.
• 서양의 종교인 천주교가 전래되고, 최제우가 동학을 창시하였다.
• 천주교와 동학은 어렵게 사는 백성들에게 힘을 주었으나, 나라의 박해를 받았다.

 

 

 

 

◎ 흥선 대원군의 정책
• 서원을 정리하고, 양반들에게도 세금을 내게 하였으며, 의복을 간소화하고, 능력에 따라 관리를 등용하는 등 사회 · 정치를
  개혁하여 백성들의 환영을 받았다.
• 경복궁을 다시 짓기 위해 백성들을 동원하고, 무리하게 당백전을 발행하여 백성들의 원성을 샀다.
• 병인양요와 신미양요에서 서양 세력을 물리치자 전국 각지에 척화비를 세우고, 쇄국 정책을 폈다.

◎ 강화도 조약
• 일본의 강압에 의하여 강화도 조약을 맺고, 세 항구를 열어 일본과 무역을 하였다.
• 최초로 맺은 근대적인 조약이지만, 불평등 조약이었다.

◎ 조선 정부의 개화정책과 반대 운동
• 수신사, 영선사를 일본, 중국에 보내 선진 문물을 배워 오도록 하였다.
• 신식 무기를 갖춘 별기군을 만들었다.
• 임오군란 : 구식 군대가 신식 군대에 비해 심한 차별을 받자 난을 일으켰다.

◎ 개혁 운동
• 갑신정변 : 개화파들이 일본의 힘을 빌려 정변을 일으켰으나, 3일 만에 실패하였다.
• 동학 농민 운동 : 전봉준을 중심으로 한 동학 교도들과 농민들의 개혁 운동이다.
• 갑오개혁 : 정부에서 주도한 것으로, 정치 · 경제 · 사회 등 전반적인 개혁이 이루어졌다. 조선이 근대 국가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 독립 협회
• 서재필은 국민의 애국심과 자주 정신을 일깨우고자 독립 협회를 만들었다.
• 독립신문을 발간하고, 독립문을 세웠으며, 강연회와 만민 공동회를 열었다.

◎ 대한 제국
• 고종은 나라 이름을 대한 제국이라고 바꾸고, 황제 즉위식을 거행하였다.
• 고종 황제는 상공업 발전과 교육에 힘을 기울였다.

◎ 근대적인 문물과 제도의 수용
• 양복을 입는 사람이 늘고, 서양식 주택이 들어섰다.
• 빵, 커피, 어묵, 단무지, 자장면 등 외국 음식이 들어왔다.
• 신문을 만드는 박문국, 화폐를 발행하는 전환국, 근대적인 우편 사무를 보는 우정국을 만드는 등 근대적인 제도를 도입하였다.
• 전화, 전기, 전차, 철도 등 새로운 시설이 들어왔다.
• 근대식 학교가 설립되고, 서양식 병원이 세워졌다

 

 

 

 

 

◎ 을사조약
• 을사조약은 일본이 우리 나라의 외교권을 빼앗은 조약이다.
•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고종은 만국 평화 회의에 특사를 파견하고, 민영환은 스스로 목숨을 끊었으며, 전국 각지에서 의병이
  일어나는 등 반대 운동이 일어났다.

◎ 의병 운동
• 1895년, 을미사변과 단발령에 격분하여 의병이 일어났다.
•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의병이 거세게 일어났다.
• 1907년에 군대가 강제로 해산되자, 군인들이 의병이 되어 의병 운동이 더욱 활발해졌다.
• 의병들은 1910년 이후에 일본의 탄압이 심해져 국내에서의 활동이 힘들어지자, 국외로 망명하여 독립군이 되었다.

◎ 민족의 힘을 기르기 위한 노력
• 계몽 운동 : 학교를 세우고, 신문을 발행하고, 강연회를 열어 국민을 계몽하였다.
• 국채 보상 운동 : 나라의 빚을 국민이 대신 갚자는 운동이 일어났다.
• 국어 · 역사 연구 : 주시경은 국어를, 신채호와 박은식은 역사를 연구하여 우리의 얼과 혼을 지키고자 하였다.

◎ 일제의 탄압
• 일제는 조선 총독부를 세우고, 우리 나라를 무력으로 통치하였다.
• 토지 조사를 한다는 구실로, 우리 농민의 토지를 빼앗아 갔다.

◎ 3 · 1 운동
• 일본 유학생들의 2 · 8 독립 선언의 영향으로, 1919년 3월 1일에 3 · 1운동이 일어났다.
• 독립 선언서를 낭독하고, 태극기를 흔들며 만세 운동을 하였다.
• 우리 민족은 평화적인 만세 운동을 벌였으나, 일제는 무력으로 잔인하게 탄압하였다.
• 3 · 1 운동의 영향으로 대한 민국 임시 정부가 세워졌다.

◎ 대한 민국 임시 정부
• 독립 운동을 보다 조직적으로 하기 위해 상하이에 대한 민국 임시 정부가 세워졌다.
• 비밀 연락망(연통제)을 조직하였다.
• 독립신문을 발행하였다.
• 세계 각지에 외교관을 파견하였다.
• 무관 학교를 세웠다.
• 한국 광복군을 창설하였다.

◎ 3 • 1운동 이후의 독립 운동
• 독립군 : 만주와 연해주 등지에 수많은 독립군이 생겨났다. 독립군은 봉오동 전투, 청산리 대첩 등에서 일본군을 크게 무찔렀다.
• 한인 애국단 : 김구가 이끈 비밀 단체로, 일본의 주요 인물을 암살하는 활동을 하였다. 이봉창, 윤봉길 의사 등이 활동하였다.
• 민족 실력 양성 운동 : 국내에서는 문맹 퇴치 운동, 물산 장려 운동, 신간회의 활동, 조선어 학회의 한글 연구 등을 통하여 민족
  의 힘을 키우고자 하였다.
• 항일 운동 : 국내에서는 6 · 10 만세 운동, 광주 학생 항일 운동 등이 일어났다.

◎ 일제의 침략과 민족 말살 정책
• 우리 나라를 군수 물자를 생산하는 기지로 만들고, 지하 자원과
  식량을 약탈하였다.
• 남자들은 전쟁터나 광산 등으로, 여자들은 정신대로 끌고 갔다.
• 일제는 우리말의 사용을 금지하고,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게
  하고, 신사 참배를 강요하는 등 민족 말살 정책을 펼쳤다.

 

 

 

 

 

 

과학

 

 

 

 

 
◎ 공기가 무게를 가지는지 알아보기
• 긴 막대의 양쪽에 두 개의 공을 매달아 수평을 이루게 한 다음, 한쪽
  공의 공기를 빼면 공기를 빼지 않은 공이 매달린 쪽으로 막대가 기운다.
• 긴 막대의 양쪽에 두 개의 공을 매달아 수평을 이루게 한 다음, 한쪽
  공에 공기를 더 넣으면 공기를 더 넣은 쪽의 공이 매달린 쪽으로 막대가
  기운다.
• 공기는 무게를 가지고 있다.

◎ 기체에 힘을 가할 때의 부피 변화



• 기체에 힘을 가하면 부피가 줄어든다.
• 액체는 힘을 가해도 부피에 변화가 없다.

◎ 물에 대한 기체의 용해
• 사이다병의 마개를 천천히 따거나 투명한 컵에 사이다를 따라 놓으면 기체 방울이 생기면서 위로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다.
• 사이다 속에 기체가 녹아 있다.
• 기체는 물에 녹을 수 있다.
• 사이다에서 나온 기체를 석회수에 넣으면 점점 흐려진다.
• 사이다 속에 녹아 있는 기체는 숨을 내쉴 때 나오는 기체와 같다.
• 사이다 속에 녹아 있는 기체는 공기와는 다른 기체이다.

◎ 바람으로 움직이는 장난감 만들기
• 바람은 물체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 바람으로 움직이는 장난감은 돛이 크고. 몸체가 가벼울수록 잘 달린다

 

 

 

 

◎ 지진 조사
• 지진에 대하여 조사하기
▶ 조사 내용 정하기 → 조사 계획 세우기 → 조사하기(인터넷, 과학 잡지, 백과 사전, 신문, 전문가나 피해자와 면담 등) →
    조사 결과 발표하기
• 지진의 피해
▶ 건물 벽에 금이 가고 창문이 깨지며, 심하면 무너진다.
▶ 땅이나 도로가 흔들리거나 갈라지기도 한다.
▶ 제방이 무너지고, 물난리, 산사태가 나기도 한다.
▶ 전기, 수도가 고장나며, 화재가 난다.
▶ 사람이 다치거나 생명을 잃기도 한다.
• 지진에 의한 피해를 줄이는 방법
▶ 지진에 잘 견딜 수 있도록 내진 설계에 의해 건물을 짓는다.
▶ 지진이 일어나면 실내에 있는 무거운 물건은 떨어질 위험이 있으므로 아래쪽에 둔다.
• 지진이 발생했을 때 대피 방법
▶ 건물 안에 있을 때에는 출입문 쪽으로 무조건 달려 나가기보다는 머리를 보호하면서 벽면이 많은 쪽, 침대나 탁자 등 큰
    물건 밑으로 피한다.
▶ 무너질 위험이 있는 곳으로부터 멀리 떨어진다.
▶ 수도관과 가스관을 잠그고, 전원 차단기를 내린다.

◎ 지진이 발생하는 지역
• 세계의 지진 : 큰 지진은 주로 태평양 연안, 지중해, 히말라야 산맥에서 자주 발생한다.
• 우리 나라의 지진 : 연 평균 약 20회의 지진이 발생하며 여러 지역에서 고르게 발생한다.

◎ 지층의 휘어짐과 어긋남
• 지구 내부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지층이 오랫동안 힘을 받으면 휘어진다.
• 휘어진 지층이 계속해서 힘을 받으면 지층이 끊어지며, 이 때 지진이 발생한다.
• 지층이 휘어지는 경우를 ‘습곡’, 지층이 끊어져 어긋나는 경우를 ‘단층’이라고 한다.

◎ 간이 지진계 만들기
• 지진계 : 지진이 발생했을 때 땅의 흔들림을 기록하는 장치이다.
• 지진계의 원리 : 지진이 발생하여 땅 위의 모든 것이 흔들릴 때, 정지한 채 움직이지 않는 물체를 기준으로 진동을 기록한다.

 

 

 

 

 

◎ 운동을 할 때에 몸에 일어나는 변화
• 호흡, 맥박, 심장 박동이 빨라진다.
• 힘이 빠지고 지친다.
• 땀이 나고, 갈증이 난다.

◎ 뼈와 근육이 하는 일
• 뼈의 종류 : 머리뼈, 등뼈, 갈비뼈, 팔뼈, 다리뼈 등
• 뼈마디(관절)가 있어서 편리한 점 : 뼈와 뼈가 뼈마디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몸을 구부리거나 펼 수 있고 물체를 잡기에
  편리하다.
• 뼈 : 우리 몸의 형태를 유지하고, 몸을 지탱해 주는 역할을 한다.
• 근육 : 뼈에 붙어 있는 근육이 오므라들었다 퍼졌다 하면서 몸을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숨을 쉴 때 일어나는 일
• 호흡 : 우리 몸에 필요한 산소를 공기 중에서 받아들이고, 필요없는 이산화탄소를 공기중으로 내보내는 과정
• 호흡 기관 : 입, 코, 기관, 기관지, 폐(허파)
• 호흡할 때의 우리 몸의 변화
▶ 들이쉴 때 : 갈비뼈가 올라가고, 가로막이 내려와 폐(허파) 속으로 공기가 들어간다.
▶ 내쉴 때 : 갈비뼈가 내려가고, 가로막이 올라와 폐(허파) 속의 공기가 나온다.

◎ 심장이 하는 일
• 심장은 왼쪽 가슴 아래에 있고, 자기 주먹만한 크기이다.
• 심장은 혈액 순환의 중심 기관으로,펌프작용을 통하여 온몸으로 혈액을 순환시킨다.
• 혈액의 순환 과정 : 심장 → 동맥 → 모세 혈관 → 정맥 → 심장

◎ 소화
• 소화 : 우리가 먹는 음식물을 잘게 부수어 음식물 속의 영양분이 몸 속으로 흡수될 수 있도록 분해하는 과정
• 소화기관 : 입, 식도, 위, 십이지장, 작은창자, 큰창자
• 소화를 도와 주는 기관 : 침샘, 간, 쓸개, 이자
• 음식물이 소화되어 배출되기까지의 과정 : 입 → 식도 → 위 → 십이지장 → 작은창자 → 큰창자 → 항문 → 몸 밖

◎ 배설
• 배설 : 우리 몸 속에서 생긴 노폐물을 몸 밖으로 내보내는 것
• 배설은 주로 땀과 오줌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 배설 기관 : 땀샘, 신장(콩팥)
• 신장은 혈액 속의 노폐물을 걸러 오줌으로 만들어 방광으로 보낸다.
• 땀샘에서는 땀을 통해 노폐물을 배설하고, 체온을 조절하기도 한다.
• 배설 과정 : 신장(콩팥) → 수뇨관 → 방광 → 요도 → 몸 밖

◎ 자극에 대하여 반응하는 과정
• 감각 기관이 하는 일
▶ 귀 : 소리를 듣는다. ▶ 코 : 냄새를 맡는다.
▶ 혀 : 맛을 본다. ▶ 눈 : 물체를 본다.
▶ 손(피부) : 물체를 느낀다.  
• 뇌와 척수가 하는 일
▶ 뇌 : 우리 몸에 전달된 자극을 느끼고 이에 알맞은 행동을 판단하여 결정한다.
▶ 척수 : 신경의 통로로서 자극을 전달하고, 급할 때에는 자극이 뇌까지 전달하기 전에 행동을 판단하기도 한다.
• 자극의 전달 과정 : 자극을 감각 기관에 의해 받아 들임. → 자극은 말초 신경을 지나 척수를 통해 뇌로 전달 되고 뇌에서
  행동을 판단함. → 뇌의 명령이 척수를 통해 말초 신경으로 다시 전달되어 운동 기관의 행동으로 나타남

 

 

 

 

◎ 암석의 변성
• 변성암 : 암석이 높은 열과 압력을 받아 그 모양이나 성질이 변하는 것
• 편마암
▶ 표면에는 검은색 줄무늬가 있다.
▶ 색깔은 어두운 색과 밝은 색이 번갈아 나타난다.
▶ 알갱이는 큰 것이 많이 보인다.
• 퇴적암, 화성암, 변성암
▶ 퇴적암 : 층이 보이는 경우가 많고, 단단하지 않다.
▶ 화성암 : 단단하고, 층무늬나 줄무늬가 없다.
▶ 변성암 : 압력을 받아 생긴 줄무늬가 보이는 경우가 많다.

◎ 변성암의 특징
• 규암 : 사암이 변성된 것으로, 못으로 긁어도 잘 긁혀지지 않고, 일갱이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다.
• 대리암 : 석회암이 변성된 것으로, 알갱이의 크기가 크다.
• 편마암 : 화강암이 변성된 것으로, 줄무늬가 있다.
• 편마암에 줄무늬가 생기는 까닭 : 열과 압력이 작용하여 암석을 이루는 알갱이를 위에서 눌렀기 때문이다.

◎ 여러 가지 암석의 이용
• 생활 용품 : 맷돌, 목욕용 돌, 벼루, 숫돌, 맥반석, 분필, 동치미 돌, 돌절구, 돌침대 등
• 건축재 : 도로 포장, 건물 바닥대, 시멘트의 원료, 방파제, 돌다리, 콘크리트 등
• 장식재 : 정원석, 조각 작품, 수석, 비석, 보석 등
• 이용되는 암석의 종류와 성질
▶ 화강암 : 열과 화학 변화에 강하게 단단하며, 갈면 윤이 나서 축대, 비석, 건축 자재용으로 쓰인다.
▶ 대리암 : 색깔이 곱고 무른 성질을 이용하여 고급 장식용 건축재나 조각용으로 쓰인다.
▶ 현무암 : 단단하고 열에 강하여 맷돌, 축대 등으로 쓰인다.
▶ 편마암 : 검고 흰 줄무늬가 아름다워 정원석으로 많이 사용된다

 

 

 

◎ 우리 주변의 생물
• 장미, 플라타너스, 소나무, 감나무, 벼, 보리, 봉숭아, 강아지풀, 명아주, 포도, 단풍나무, 향나무, 느티나무, 이끼, 버섯,
  고사리, 민들레, 목련, 벚나무, 진달래, 개, 고양이, 붕어, 개구리, 소, 닭, 돼지, 참새, 까치, 꿩, 노루, 비둘기, 오리, 뱀,
  미꾸라지 등

◎ 여러 가지 생물의 분류
• 식물을 분류하는 기준
▶ 꽃이 피는 식물과 피지 않는 식물, 떡잎의 수에 따라, 잎 · 줄기 · 뿌리의 모양에 따라, 열매의 모양에 따라, 사람이 이용하는
    목적에 따라, 살고 있는 장소에 따라, 번식 방법에 따라 등
• 동물을 분류하는 기준
▶ 등뼈가 있고 없음에 따라, 몸의 생김새에 따라, 생활 방식에 따라, 번식 방법에 따라 등
• 생물을 식물과 동물로 분류하는 기준
▶ 움직일 수 있는지의 여부, 영양분 습득 방법,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의 시간.

◎ 동물의 특징에 따른 분류
• 등뼈가 있는 동물(척추동물) : 사람, 개, 토끼, 고양이, 붕어, 개구리, 도롱뇽, 뱀, 거북, 닭, 참새 등
• 등뼈가 없는 동물(무척추동물) : 메뚜기, 모기, 거미, 지렁이, 가재, 오징어, 조개, 달팽이 등.

◎ 등뼈가 있는 동물의 분류
• 어류 : 붕어, 뱀장어, 잉어, 상어 등
• 양서류 : 개구리, 도롱뇽, 맹꽁이, 두꺼비 등
• 파충류 : 뱀, 거북, 악어, 도마뱀 등
• 조류 : 참새, 닭, 비둘기, 꿩, 십자매 등
• 포유류 : 사람, 토끼, 돼지, 소, 말, 개 등

◎ 등뼈가 없는 동물의 분류
• 환형동물 : 지렁이, 거머리, 갯지렁이 등
• 연체동물 : 조개, 소라, 문어, 오징어 등
• 절지동물 : 메뚜기, 거미, 가재, 게, 지네 등
• 편형동물 : 플라나리아, 촌충 등
• 극피동물 : 불가사리, 성게 등
• 강장동물 : 해파리, 말미잘 등

◎ 식물의 특징에 따른 분류
• 꽃이 피는 식물(꽃식물)
▶ 꽃이 피고, 열매를 맺어 씨로 번식한다.(종자식물)
▶ 봉숭아, 개나리, 진달래, 벚나무, 목련, 냉이, 나팔꽃, 장미,
    강낭콩, 오이, 수박, 참외, 배, 사과, 벼, 보리, 옥수수 등이
    있다.
• 꽃이 피지 않는 식물(민꽃식물)
▶ 꽃이 피지 않고, 포자를 만들어 번식한다(포자식물).
▶ 고사리, 우산이끼, 솔이끼, 해캄, 파래, 우뭇가사리, 김,
    미역, 버섯, 곰팡이 등이 있다.

◎ 꽃이 피는 식물의 분류
• 속씨식물
▶ 밑씨가 씨방 속에 들어 있는 식물로, 암술은 암술머리와 씨방으로 되어 있고, 씨방 속에는 밑씨가 들어 있으며, 대부분
    암술과 수술이 한 꽃 속에 있는 경우가 많다.
▶ 복숭아나무, 자미, 감나무, 등나무, 목련, 벚나무, 진달래, 나팔꽃 등이 있다.
• 겉씨 식물
▶ 밑씨가 씨방에 싸여 있지 않고 겉으로 드러나 있는 식물로, 꽃잎과 꽃받침이 없으며. 암꽃과 수꽃이 따로 핀다.
▶ 소나무, 잣나무, 전나무, 측백나무, 주목, 향나무, 은행나무, 소철 등이 있다.

◎ 생물의 다양성
• 다양한 생물의 중요성
▶ 우리는 생물을 먹고 살며, 약이나 기호품으로도 이용한다.
▶ 우리의 삶에 기쁨을 주며, 자연 생태계(환경)를 안정되게 한다.

 

 

 

 

 

◎ 우리 생활에서 산소가 이용되는 경우
• 생물이 숨쉬는 데 필요하다.
• 잠수부, 우주인, 등산가, 광부, 중병을 앓는 환자 등에게 산소 공급 장치가 필요하다.
• 물고기는 물 속에 녹아 있는 산소를 이용해 숨을 쉰다.
• 공장에서 높은 온도를 얻는 데 이용한다.
• 로켓을 발사할 때 연료를 연소시켜 추진력을 얻는 데 이용한다.

◎ 산소의 발생과 산소의 성질
• 이산화망간에 묽은 과산화수소수를 떨어뜨리면 거품이 일어나면서 산소가 발생한다.
• 산소의 성질
▶ 색깔과 냄새가 없다.
▶ 다른 물질이 잘 타게 도와 준다.
▶ 물에 잘 녹지 않는다.

◎ 이산화탄소를 발생시켜 성질 알아보기
• 이산화탄소 발생시키는 방법
▶ 대리석과 묽은 염산으로 발생시키기 ▶ 달걀 껍데기와 식초로 발생시키기
▶ 드라이 아이스로 발생시키기 ▶ 식초와 탄산수소나트륨으로 발생시키기
▶ 조개 껍데기와 묽은 염산으로 발생시키기
• 이산화탄소의 성질
▶ 색깔과 냄새가 없다, 공기보다 무겁다, 스스로 타지 않고, 불을 꺼지게 한다, 석회수를 뿌옇게 흐리게 한다.
• 이산화탄소와 우리 생활과의 관계
▶ 탄산 음료의 제조, 소화기, 탄산나트륨의 원료, 녹색 식물의 광합성, 냉각제(드라이 아이스) 등에 사용한다.

◎ 수소를 발생시켜 성질 알아보기
• 마그네슘 조각에 묽은 염산을 떨어뜨리면 수소가 발생한다.
• 수소의 성질
▶ 색깔과 냄새가 없다, 공기보다 가볍다, 스스로 타는 성질이 있다.

◎ 여러 가지 기체와 우리 생활
• 질소는 식품 포장시에 넣어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고, 질산 비료를 제조하거나 기름 탱크 또는 가스관의 청소에 사용된다.
• 헬륨은 산소와 혼합하여 심해 잠수 작업용 호흡 가스와 기구 · 비행선, 단층 촬영 장치, 초전도 자기 부상 열차 등에 사용된다.
• 액화 석유 가스(LPG), 액화 천연 가스(LNG) 등은 연료로 사용된다.
• 자동차에서 나오는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이산화황, 탄화수소, 프레온 가스 등은 공기를 오염시킨다.

 

 

 

 

◎ 전류가 흐르는 에나멜선 주위에서 나침반 바늘의 방향
• 막대 자석 주위에 생기는 자기장
▶ 나침반 바늘의 N극은 막대 자석의 S극을, 나침반 바늘의 S극은 막대 자석의 N극을향한다.
▶ 나침반 바늘의 방향은 자석에 의해 만들어지는 자기장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전류가 흐르는 에나멜선 주위에 생기는 자기장
▶ 전류가 흐르는 에나멜선 주위에 나침반을 가져가면 나침반 바늘이 움직인다.
▶ 전류가 흐르는 에나멜선 주위에는 자기장이 생긴다.
▶ 나침반 바늘이 움직이는 방향은 전류의 방향과 에나멜선이 놓인 위치에 따라 다르다.


◎ 고리 모양으로 감은 에나멜선 주위에서 나침반 바늘의 방향
• 고리 모양으로 감은 에나멜선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생기므로 나침반 바늘이 움직인 다.
• 전류의 방향이 바뀌면 나침반 바늘이 가리키는 방향도 바뀐다.

◎ 여러 종류의 막대에 에나멜선을 감고 전지 연결하기
• 전자석만들기
▶ 쇠못을 가열하고 천천히 식힌 다음, 종이를 감는다. → 에나멜선을 촘촘히 감는다. → 에나멜선 양 끝의 에나멜을 벗겨 낸다.
    → 에나멜선의 양 끝을 각각 전지에 연결한다.
• 에나멜선을 감은 쇠못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생긴다.
• 전자석 : 전류가 흐를 때에만 자석의 성질을 띤다.

◎ 전자석의 특징
막대 자석과 같은 점
막대 자석과 다른점
• 철로 된 물체만 붙는다.
• 주변에 자기장이 생긴다.
• N극과 S극이 있다.
• 전자석은 전류가 흐를 때에만 자석의 성질
  을 갖는다.
• 전자석은 극을 바꿀 수 있다.
• 전자석은 자석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 전자석의 세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전지의 수(전류의 세기)에 따른 전자석의 세기
▶ 직렬로 연결한 전지의 수가 많을수록 센 전자석이 된다.
• 에나멜선의 감은 수에 따른 전자석의 세기
▶ 에나멜선의 감은 수가 많을수록 센 전자석이 된다.

◎ 센 전자석 만들기
• 크고 긴 쇠못을 사용한다.
• 굵은 에나멜선을 촘촘히 많이 감는다.
• 전지를 직렬로 많이 연결한다.

◎ 전자석의 성질을 이용한 장난감 만들기
• 간이 전동기
▶ 에나멜선에 전류가 흐를 때에만 자석이 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회전할 수 있게 만든 장치이다.
▶ 에나멜선의 N극와 S극이 동전 자석의 N극과 밀고 당기는 힘에 의해 에나멜선이 회전한다.
• 우리 생활에 전동기를 이용하는 예 : 세탁기, 선풍기, 헤어 드라이어, 믹서, 진공 청소기 등

 

 

 

보너스 영어입니당~~!@!^^

 

 

 

 

 
1. : 출신지와 위치를 묻고 대답하기
Jinho : I'm from Korea. (난 한국에서 왔어.)
  Where are you from, Chris? (넌 어디에서 왔니, 크리스?)
  Chris: I'm from Canada. (난 캐나다에서 왔어.)
Jinho : Where are you from, Cindy? (신디, 너는 어디서 왔어?)
  Cindy: I'm from Australia. (나는 호주에서 왔어.)
  Where's your room? (네 방은 어디에 있니?)
  Jinho: It's on the first floor. (1층에 있어.)
 
2. : 출신지와 위치에 관한 쉽고 간단한 문장 읽기
  A: Where are you from? (너는 어디에서 왔니?)
  B: I'm from Canada. (캐나다에서 왔어.)

  A: Where's your classroom? (너의 교실은 어디야?)
  B: It's on the third floor. (3층에 있어.)
 
3. : 위치에 관한 쉽고 간단한 문장 쓰기
I'm Jinho.
I'm from Korea.
 
4.
 
Where are you [is (s)he] from?
I'm [(s)he is] from __________.
* 나라나 지역명을 넣어 출신지를 말할 수 있다.
Where's __________?
It's on the __________ floor.
* 서수를 넣어 위치한 층수를 표현해 볼 수 있다.
 
5. : elementary, floor, Korea, Canada, Singapore, Australia
   
☞ 처음 만나는 사람에게 자신을 소개하며 상대방의 출신지와 위치를 묻고 대답하는
    표현을 익혀 실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1. : 길을 묻고 안내하는 표현 알기
Dad : Excuse me, sir. (실례합니다, 선생님.)
  Is this York Street? (여기가 York가 인가요?)
  Man : Sorry, I don't know. (미안하지만, 잘 모르겠네요.)
Dad : Where is York Street? (York가는 어디에 있어요?)
  Woman : Go straight and turn left at the corner.
  (곧장 가셔서 모퉁이에서 왼쪽으로 돌아가세요.)
 
 
2. : 길 안내에 관한 쉽고 간단한 문장 읽기
A: Where is the post office? (우체국이 어디 있어요?)
B: Turn left at the corner. (모퉁이에서 왼쪽으로 돌아가세요.)
It's behind the hospital. (병원 뒤에 있어요.)
 
3. : 위치에 관한 쉽고 간단한 문장 쓰기
My school is behind the bank. (나의 학교는 은행 뒤에 있어.)
The post office is near the bus stop. (우체국은 버스 정류장 근처에 있어.)
 
4.
 
Is this __________?
It's __________.
 
5. : ask, behind, between, bookstore, building, corner, ma'am, near, office,
  post, restaurant, sir, street, toy
 
☞ 낯선 곳에서 목적지를 찾기 위해 예의를 갖추어 길 안내를 청하거나, 길 안내를 할 때
    쓰는 표현을 익혀, 실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1. : 안부를 묻고 대답하는 것과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 표현하기
Kevin : Hi, Ann. (안녕, 앤.)
  How's it going? (어떻게 지내니?)
  Ann : Not bad. (괜찮아.) How about you? (너는 어때?)
Nami : I like summer. (나는 여름이 좋아.)
  Peter : Summer? (여름이라고?)
  It's too hot. (너무 덥잖아.)
  Nami : Right. (맞아.)
  But we have a long vacation. (하지만 긴 휴가가 있잖아.)
 
 
2. : 구두로 익힌 어구나 문장 읽기
It's warm in spring.
It's hot in summer.
It's cool in fall.
It's cold in winter.
 
3. : 구두로 익힌 어구나 문장 쓰기
I like summer.
I don't like winter.
 
4.
 
Do you like __________?    How's it going?    Not bad.
* 상대의 안부를 묻거나 자신의 느낌, 생각을 표현하고 이해할 수 있다.
 
5. : cool, fall, feel, leaf, letter, season, spring, summer, warm, winter
   
☞ 좋아하고 싫어하는 계절을 표현하고 그 계절의 특징을 묘사하는 학습을 하도록 한다.

 

 

 

 

 

 
1. : 생일을 묻고 대답하는 표현과 의견에 반대하는 말
Mrs. Smith : When is your birthday, Jinho? (네 생일은 언제니, 진호야?)
  Jinho : It's June 1st. (6월 1일이에요.)
  Mrs. Smith : When is yours, Joon? (준은 생일이 언제니?)
  Joon : July 14th. (7월 14일이에요.)
Jinho : My birthday is on Children's Day. (내 생일은 어린이날이야.)
  Ann : Oh, you're lucky. (와, 너는 운이 좋구나.)
  Jinho : No, I don't think so. (아니, 난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
 
2. : 구두로 익힌 어구나 문장 읽기
When is your birthday?
My birthday is May 10th.
When is yours?
It's June 5th.
 
3. : 구두로 익힌 어구나 문장 쓰기
My birthday is April 7th.
Children's day is May 5th.
 
4.
 
When is your birthday?    It's __________ __________.
I don't think so.
* 생일을 묻고 대답하는 표현과 의견에 반대하는 말을 익혀 실생활에서 말해 볼 수 있다.
 
5. : concert, date, last, lucky, when, why
   
☞ 생일이 언제인지 묻고 대답하며 축하해 주거나, 어떤 사실을 되묻고 어떤 의견에
    반대하는 태도를 나타내는 표현을 배우도록 한다.

 

 

 

 
1. : 물건사기에 관한 표현
Clerk : May I help you? (도와 드릴까요?)
  Nami : Yes. please. (네.)
  How much is this pencil case? (이 필통 얼마예요?)
  Clerk : It's $6. (6달러예요.)
Clerk : Can I help you? (도와 드릴까요?)
  Kevin : Yes, please. (네.)
  How much is it? (그거 얼마예요?)
  Clerk : It's $14. (14달러예요.)
  Kevin : OK. I'll take it. (좋아요. 그걸로 할게요.)
  Here you are. (여기 있어요.)
 
 
2. : 물건사기에 관한 쉽고 간단한 문장의 의미 이해하기
A: May I help you?
B: Yes. How much is this toy car?
A: It's $20.
B: OK. I'll take it.
 
3. : 물건사기에 관한 쉽고 간단한 문장 쓰기
The toy car is ten dollars.
The soccer ball is twenty dollars.
It's too expensive.
 
4.
 
May I __________?    It's __________.
* 물건사기에 관한 표현을 익혀 일상 생활에서 물건을 살 때 직접 활용해 볼 수 있다.
 
5. : car, change, expensive, helicopter, may, melon, watermelon
   
☞ 물건사기에 관한 표현을 익혀 실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1. : 허락 요청하기에 관한 말
Nami : Can I have some sandwiches? (샌드위치 좀 먹을 수 있어요?)
  Mom : Sure, here you are. (물론이지, 여기 있다.)
Nami : Can I have some water? (물 좀 마실 수 있을까?)
  Jinho : Here you are. (여기 있어.)
  Nami : Thank you. (고마워.)
  Jinho : You're welcome. (천만에.)
 
 
2. : 허락 요청하기에 관한 간단한 문장의 의미를 이해하고 읽기
I'm thirsty. (나는 목이 말라.)
Can I have some water, please? (물 좀 마실 수 있을까요?)
Sure. Here you are. (물론이죠. 여기 있어요.)
Thank you. (고마워요.)
 
3. : 허락 요청하기에 관한 쉽고 간단한 문장 쓰기
I'm hungry. I want some chicken.
I'm thirsty. I want some milk.
 
4.
 
Can I __________?
I'm __________.
*허락을 요청하는 표현을 익혀 허락을 구할 때 말해 볼 수 있다.
 
5. : cola, delicious, drink, food, sandwich, thirsty, water
   
☞ 일상 생활에서 다른 사람에게 허락을 요청할 때, 허락 요청하는 표현을 익혀
    실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1. : 직업에 관하여 묻고 대답하는 말
Ann : Does your mother work? (너의 어머니께서는 일을 하시니?)
  Joon : Yes, she does. She is a cook. (응, 일을 하셔. 엄마는 요리사이셔.)
Kevin : What does your father do? (너의 아버지께서는 무슨 일을 하시니? )
  Ann : He's a pilot. (그분은 비행기 조종사이셔.)
 
2. : 직업에 관한 간단한 문장 읽기
This is my father. (이분이 나의 아버지셔.)
He's a pilot. (그는 비행기 조종사이셔.)
This is my mother. (이분이 나의 어머니셔.)
She is a teacher. (그녀는 선생님이셔.)
I want to be a police officer. (나는 경찰관이 되고 싶다.)
 
3. : 직업에 관한 쉽고 간단한 문장 쓰기
My father is a cook.
My mother is a teacher.
I want to be a pilot.
 
4.
 
Does your mother__________?
She's a __________.
*직업에 대하여 묻고 대답하는 표현을 익혀 다른 사람의 직업을 묻고, 답할 수 있다.
 
5. : doctor, driver, nurse, officer, pilot, police, singer, work
   
☞ 직업에 대하여 묻고 대답하는 표현을 배워 가족이나 다른 사람의 직업에 대해 묻고
    대답할 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1. : 미래에 하고 싶은 일에 대하여 묻고 대답하는 말
Peter : What will you do? (너 뭐 할 거니?)
  Jinho : I will go hiking. (나는 하이킹하러 갈 거야.)
Kevin : What will you do? (너 뭐 할 거니?)
  Ann : I will just play badminton. (난 배드민턴을 칠 거야.)
 
 
2. : 미래에 대한 문장 읽기
What will you do this summer? (너는 올 여름에 무엇을 할 거니?)
I will visit my uncle in London. (나는 런던 삼촌댁을 방문할 거야.)
I will go camping. (나는 캠핑을 갈 거야.)
I will study English. (나는 영어 공부를 할 거야.)
 
3. : 미래에 대한 문장 쓰기
I will visit my uncle in London.
I will play soccer this afternoon.
I will ride my bike this Sunday.
 
4.
 
What will __________?
I will __________.
*미래에 하고 싶은 일에 대하여 묻고 대답하는 표현을 익혀 친구들과 함께 방학
계획에 대해 말해 볼 수 있다.
 
5. : grandmother, Mt., read, ride, trip, will
   
☞ 미래에 하고 싶은 일에 대해 묻고 답하는 표현을 배워 방학 중에 하고 싶었던 일들에
    대해 묻고 대답할 수 있게 한다.

 

 

 

 

 
1. : 과거의 일을 확인하여 묻고 대답하는 말
Joon : How was your trip, Ann? (여행이 어땠니, 앤?)
  Ann : Umm. It was not fun. (음. 별로 재미있지 않았어.)
  Joon : Why? (왜?)
  Ann : I was sick. (내가 아팠거든.)
Nami : How was your vacation? (방학은 어땠니?)
  Kevin : It was fun. (재미있었어.)
  Nami : I visited my cousin in L.A. (L.A.에 있는 사촌 집에 갔었어.)
  Kevin : I went to Disneyland. (나는 디즈니랜드에 갔었어.)
 
 
2. : 구두로 익힌 어구나 문장 읽기
How was your holiday? (휴일 어땠니?)
It was great. (정말 좋았어.)
I went to the museum. (나는 박물관에 갔어.)
It was fun. (재미있었어.)
I played baseball with my friends. (나는 친구들과 야구를 했어.)
 
3. : 구두로 익힌 어구나 문장 쓰기
Monday, July 7th
It was a holiday today.
I visited my grandparents.
I played basketball with my cousins.
It was fun.
 
4.
 
How was __________?
It was __________.
I visited __________.
*과거의 일을 확인하여 묻고 답하는 표현을 익혀 주말이나 휴일을 보내고 난 후
친구들과 지난 일에 대해 묻고 답할 수 있다.
 
5. : little
   
☞ 방학이 끝난 후 서로의 방학 생활이 어땠는지 과거의 경험을 묻고 답하는 표현을
    익혀 사용해 보도록 한다.

 

 

 

 
1. : 두 가지 대상을 비교하는 표현
Ann : Is this your pencil? (이거 네 연필이니?)
  Joon : No, my pencil is longer than that. (아니, 내 연필은 그것보다 길어.)
  Ann : That's your pencil. (저게 네 연필이구나.)
Nami : When is your birthday? (네 생일은 언제니?)
  Bill : December 25th. (12월 25일.)
  Nami : I am older than you. (내가 너보다 나이가 많구나.)
 
2. : 구두로 익힌 어구나 문장 읽기
My brother is very tall. (내 남동생은 키가 매우 크다.)
He is taller than my father. (그는 우리 아버지보다도 키가 크다.)
He is stronger than my father, too. (그는 우리 아버지보다 힘도 세다.)
 
3. : 구두로 익힌 어구나 문장 쓰기
Tom is my friend.
He is very kind.
He is taller than me.
He is faster than me, too.
 
4.
 
I'm __________ than __________.
*두 가지 대상을 비교하는 표현을 익혀 일상 생활에서 비교나 대조를 할 때 사용할 수 있다.
 
5. : course, fast, grandfather, mouse, of, rabbit, surprise, tiger, than
   
☞ 학생들에게 친숙한 상황에서 두 대상을 비교하는 표현을 익힘으로써 실제 생활에서
    사용하게 하고자 한다.

 

 

 

 

영어는 여기까지 할게요..

도움이 되셨기를...

 

 

 

 

 

http://www.jei-edu.com/eleBook/05/view.asp?Grade=5&Subj=E

 

여기로 들어가면 더 자세한 요점정리를 알수 있습니다...

 

 

답변확정부탁드립니다....

 

 

 

 

 

 

 

 

 

 

 

 

 

 

 

 

 

 

 

 

 

 

 

 

중3역사 기말 요점정리

좀 있으면 기말인데 중3역사 요점정리좀 간략하게 부탁드립니다 중학교 역사2 천재교과서 출판사입니다 귀하가 언급한 역사 요약 일부입니다 3. 독립 전쟁의 전개 (1)...

중1미술기말요점정리부탁;

저는 중학생 1학년이에여 중1 미술 기말고사 요점정리좀 부탁드려염 출판사는 (아마도;)교학사이구요. 시험범위는 16쪽~29쪽 이에요 '미술 요점 정리' 01 사람에 의해 만들어진...

중학교 1학년 1학기 기말 요점정리 내공

중학교 1학년 1학기 기말 요점정리 내공 음 중학교 1학년 1학기 기말고사 대비 교과서 등 등 정리좀 해주세요 국어,수학,사회,영어,도덕,기술가정,과학,한문 이렇게...

중1 1학기 기말 요점정리!!(내공有)

... 공부열심히할테니까 좋은 요점정리부탁드려여;ㅅ; 혹시 중1기말 시험지있으시면 보내주시면감사하겠,,,,,,<<<<<< 잘부탁드려요!!! 공부 무료싸이트 입니다...

5학년 기말 요점정리

... 다음주 목요일 6월 28일에 기말고사를 봅니다. 그런데 제가 외국에 다녀와 공부를 못 했어요... 죄송하지만 국수사과 전부 요점 정리 부탁 드릴께요. {범위} 국어...

기말 요점정리

6학년 1학기 기말 요점정리요!! 급해요 국어 사회 과학이요 국어는 4단원까지 사회는 3-(1)까지 과학은 7단원 까지요 이상한 글 신고합니다!! 내공 90걸어요 채택 부탁드려욤.......

6학년1학기 사회 기말 요점정리

... 낼모래가 기말고사라서요... ㅋㅋ 사회가 어려워서..ㅠㅠ 요점정리좀 부탁... 사회2.근대사회로 가는길부터 3(1)나라를 되찾기위한 노력까지 답변해주시면 정말정말...

중1 1학기 기말 요점 정리

... 도덕 1학년 1학기 기말 요점정리좀 부탁 드림니다,;;=ㅁ= 도덕(중요한부분은 형광팬으로 쫙~) 1.이황(1501~1570) -조선시대의 유학자, 호는 퇴계 -인격형성에 감화를 줄 수있는...

5학년2학기 기말 요점정리(내공드림)

5학년 2학기 기말고사 요점정리좀 총과목 다 해주세 요. 영어 빼고요~ 국어 : 2학기 1단원~161쪽까지 말듣 * 쓰 : 2학기 1단원 부터 ~ 117쪽까지 수학 : 2학기 1단원 부터 ~ 120쪽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