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 관해..

일본에 관해..

작성일 2007.11.14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저는 초등학교 6학년인 학생입니다.

학교에서 자신이 여행하고싶은 나라에 관해 알아오더라고 하더군요. 전 일본으로 하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일본 문화재 같은걸 찾아도 다 사진이 나오더라구요.. 저희 집 프린터기는 검은색이 없어서 사진인쇄가 안되거든요..^^ 그래서 질문하게 되었습니다. 질문 정리 할게요..

 

질문내용.

1. 일본의 문화재 3가지(문화재 그림은 넣지 말아 주시고 그 그림을 말로 설명해 주세요.)

2. 일본의 음식.(이것 역시 그림은 넣지 말고 말로 설명해주세요.)

3. 기모노에 대하여.(이것도요.)

등 사회 수행평가라고.. ㅠㅠ 하루밖에 시간을 안주셔서.. 이걸 또 정리를 해서 인쇄를 해서 잘라서 8절지에 붙이고 또 그걸 잘라서 어딘가에 붙여야 합니다..ㅠㅠ 참 힘들죠..^^

 

아무튼 위 내용 부탁드립니다. 내공은 20으로 드릴게요. (부족하지만)

 

내일 아침까지 꼭 부탁드립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일본 음식은 중국과 우리 나라 음식의 영향을 받아 유사한 점이 많이 있으나, 그 속에서도 그들만의 독특한 음식 문화를 발전시켰다.



일본 사람들은 음식을 만들 때 조화를 중요시 하는데, 이것은 그들의 다양한 조리법에도 잘 나타나 있다. 음식과 그 음식을 담는 그릇과의 조화 또한 중요시 여겨 요리 자체를 하나의 예술품으로 만들기도 한다.
일본도 한국과 같이 쌀을 주식으로 하고, 야채와 해조를 많이 사용한다. 일본의 음식 문화가 우리 나라나 중국의 것과 뚜렷하게 다른 점은, 일본에서는 육식문화가 발달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일본에서 공개적으로 동물의 고기를 먹기 시작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100여 년 전인 메이지(明治) 연대에 이르러서 이다. 그러나 일본은 육식문화가 발달하지 못한 대신 콩 소비 중심의 독특한 식생활 문화가 정착되었다.


일본 된장(미소), 낫도, 왜간장(소유), 두부 등이 그것이다. 일본 식탁의 메뉴는 재료와 조리법이 서로다른 것들로 구성 되는데, 즉 맑은 국(스이모노), 날것(나마모노), 구이(야끼모노)에 이어 조림(니모노)이 덧붙여져 일즙삼채(一汁三菜)가 된다. 이는 메뉴를 짤 때 가장 중요시 되는 것이다.


식기는 기본적으로 1인분 씩 따로 쓰며, 도자기촵칠기촵죽제품촵유리 제품 등 변화가 많아, 요리의 내용이나 계절에 따라 조화시킴으로써 요리의 시각적 아름다움을 살리고 있다.


현대 일본 요리는 예로부터 전해져 오는 전통 요리의 조리법과 외국 문화와의 교류로 들여온 여러 외국 음식의 조리법을 병용하여 그들만의 독특한 조리법를 창조해 내고 있다.

---

◈◈ 일본의 식사예절 ◈◈

일본의 식사 예절은 어느 나라 보다도 엄격하고 복잡하다. 숟가락을 사용하지 않고, 젓가락만으로 식사를 하게 되며, 식사하기 전에 반드시 잘 먹겠다는 인사를 하고 젓가락을 들어야 한다. 또 식사 전반에 걸쳐 자세를 바르게 하고 음식 먹는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하며, 밥, 국, 차, 작은 접시에 담는 음식 등은 반드시 들어서 입 가까이에 대고 먹는다.

① 밥 그릇ㆍ국 그릇ㆍ조림 그릇의 순으로 뚜껑을 벗긴다. 상의 왼쪽에 있는 것은 왼쪽으로 뚜껑을 쥐고 오른손을 대어 물기가 떨어지지 않게 위로 향하게 하여 상 왼쪽 타타미 위에 놓는다. 같은 쪽에 뚜껑이 둘 있을 경우 큰 것을 밑에 놓고, 작은 것은 그 위에 겹쳐 놓는다.

② 양손으로 밥공기를 들어 왼손 위에 올려 놓고 그대로 오른손으로 젓가락을 위에서 집어 왼손 가운데 손가락 사이에 끼운다. 그런 다음 다시 오른손으로 쓰기 좋게 잡고 젓가락 끝을 국에 넣어 조금 축인 후 밥을 한 입 먹는다.

③ 젓가락을 처음과 같이 상의 제자리에 놓고 두 손으로 밥그릇을 놓는다. 국그릇을 두 손으로 들어 앞에서와 같이 젓가락을 들고 건더기를 먹고 국물을 한 모금 마신다. 이 때 젓가락으로 건더기를 누르고 마신 후에 놓는다.

④ 다음에 밥이나 조림을 먹으며, 조림은 그릇째로 들어서 먹어도 좋고, 국물이없는 것은 뚜껑에 덜어서 먹는다.

⑤ 회는 나눔 젓가락으로 접시의 가장자리에서부터 차례로 작은 접시에 덜어 와사비를 곁들인 간장에 찍어 먹는다.

⑥ 생선은 머리쪽의 등살에서부터 꼬리쪽으로 먹는다.

⑦ 달걀찜(자왕무시)은 젓가락으로 젓지 않고 앞에서부터 떼어 먹고 뜨거울 때에는 그릇 밑의 종지를 받쳐 들고 먹는다

⑧ 고노모노는 식사 후에 더운 물을 먹을 때 입속을 개운하게 하기 위해 먹는 것이므로 그 때까지 손을 대지 않는다. 밥이나 국은 세 번까지 받아도 되고, 다 먹었으면 물을 밥공기에 붓는다. 젓가락 끝은 물에 씻어 제자리에 놓는다.

⑨ 차를 마실 때에는 찻잔을 두 손으로 들어 왼손은 찻잔 밑에 받치고 오른손으로 찻잔을 쥐고 마신 다음 뚜껑을 도로 덮는다.

⑩ 상을 물린 뒤에는 과일이나 생과자를 먹고 차를 마신다.

그리고 국은 젓가락으로 내용물을 누르면서 그릇 을 입에 대고 마신다. 밥은 작은 공기에 두세번 정도 먹고 더 먹고싶다면 조금 남긴다. 젓가락에서 젓가락으로 음식을 옮기는 것은 금기이다.

 

 

 

 

일본인의 작은 체구를 가리기 위해 겹쳐 입기의 미학 기모노는 한 장으로 된 사각형의 천을 몸에 감고 오비로 멋을 낸 일본의 전통의상이다. 서구화와 함께 일본인들조차 입을 기회가 줄어들었지만 전통을 계승하려는 디자이너들에 의해 기모노 스타일을 만들어 내며 그 부활을 꿈꾸고 있다.

기모노의 역사

1. 원시시대(∼561년)
원시시대의 복장은 하니와(옛날 무덤의 주위에 묻어주고 찰흙으로 만든 인형이나 동물)로 추측할 수 있는데 여성의 의상은 키누모(衣裳), 남성은 키누바카마(衣袴)라는 옷을 입었다. 웃옷의 왼쪽 여밈과 허리에 두른 띠가 특징.

2. 아스카 · 나라시대(562년∼793년)
불교가 전해지면서 당나라 풍의 복식과 염직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여성은 양 소매가 긴 단기누(短衣)를 입고 모(裳 · 옛날에 귀족이 정장을 입을 때 하카마 위에 입던 옷)를 한 장 혹은 두 장을 입었다. 그 위에 세시(背子)라는 조끼와 같은 것을 입고 어깨에는 히레(比? · 귀부인이 정장을 입을 때 어깨에 드리운 길고 얇은 천)라는 스카프를 걸쳤다. 남성은 머리에 관을 쓰고 목닫이의 아게구비(盤領)의 긴 쪽을 입고 허리에는 허리띠를 매고 속바지를 입었다.

3. 헤이안 시대(794년∼1191년)
귀족사회는 명주, 서민사회는 마로 옷을 만들어 입었던 시대로 일본의 풍토에 맞는 기모노가 만들어졌다. 여성은 쥬니히토에(十二? · 옛날 여관들의 정장)나 코우치기(小うちぎ · 상류 계급 여성의 약식 예복), 남성은 소쿠다이(束? · 천황 및 문무 백관이 정무를 볼 때나 의식 때 입던 정장), 노우시(直衣 · 예 귀족의 평복), 카리기누(狩衣 · 귀족들의 평상복으로 에도 시대에는 무늬 있는 천으로 만들어 예복으로 입기도 함)라는 옷을 입었다. 서민들이 명주로 옷을 만들어 입는 것은 허가되지 않았다고 한다.

4. 가마쿠라 시대(1192년∼1333년)
검소한 생활, 활동적인 옷을 입었다. 여성은 키누바카마(衣袴 · 명주로 만든 하카마), 키누카즈키(衣被姿 · 명주로 만든 귀부인이 나들이할 때 머리로부터 덮어 쓰던 옷), 츠보쇼우조쿠(?裝束 · 옷의 자락을 항아리처럼 늘어뜨리고 한 가운데를 상투와 갗이 옻칠을 한 상류사회의 여자용 삿갓)를 쓴 모습이었다. 남성은 무사의 경우 히타타레(直垂 · 소매 끝을 묶는 끈이 달려 있고 紋章이 없으며 옷자락은 하카마 속에 넣어서 입음), 카리기누, 옷깃은 타리구비(垂領 · 좌우 옷깃이 젖히는 것을 막기 위해 가슴 부분에 단 끈이 달려 있음), 소매는 츠유(露)라 하고 소매 끝을 끈으로 장식했다.

5. 무로마치 시대(1334년∼1573년)
지금의 기모노의 기초가 된 무로마치 시대는 네덜란드나 포루투갈 사람의 일본 방문을 계기로 사라사(更紗 · 인물, 조수, 화목, 또는 기하학적 무늬를 날염한 베, 무명, 비단 또는 무늬), 벨벳, 공단 등을 사용하게 되었다.
여성은 고소데가 겉옷이 되고 고소데바카마(小袖ばかま · 하의)나 고소데유마키(小袖湯? · 속치마)를 허리에 둘렀다. 남성은 무사의 경우 히타타레가 무사의 예복이 되고 옷자락을 길게 한 나가바카마(長袴)에 집안의 문장을 넣기 시작했다.

6. 아즈치 무로야마 시대(1574년∼1602년)
지금의 기모노 형태를 성립시킨 시대. 짧은 소매 형식의 의복이 완성되었다. 히젠노쿠니(肥前の? · 옛 지방의 이름으로 사가현과 나가사키현의 일부 지방), 나고야에 조선에서 꼰 끈의 기술이 전해져 나고야오비(名古屋? · 양끝에 술을 붙인 둥근 실 띠로 무로마치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까지 유행했으며 남녀가 다같이 사용)가 탄생했다. 그것을 허리에 여러 겹으로 돌려 묶었는데 기생이나 온천, 여관의 하녀들이 주로 입었다. 여성은 고소데와 기모노와 오비, 남성은 무사의 경우 히타타레가 무사의 예복이 됐고 평복으로는 카미시모[동풀이 센 가타기누(어깨와 몸통만 있고 소매가 없는 옷으로 고소데 위에 받쳐 입었음)]와 하카마가 한 빛깔로 염색된 에도 시대에는 무사의 예복으로 사용됐다.

7. 에도시대(1603년∼1867년)
오비의 폭이 점점 넓어졌고 묶는 법도 다양해지게 됐다. 일반 서민 여성은 에리모토(襟元 · 옷깃 언저리)나 에몬(衣紋 · 깃섶)을 느슨하게 해서 요염하게 입었다고 전해진다. 남성은 무사의 예복으로는 카미시모를 입었고 하오리(羽織)를 예복으로 입게 됐다.

8. 메이지 · 다이쇼 · 쇼와시대(1868년∼1989년)
메이지 시대는 여성들은 기모노를 입고 있었다. 남성은 양복을 입기도 했지만 정장은 기모노였다. 여성의 정장은 쿠로치리멘(縮緬 · 오글쪼글한 비단), 쿠로하부타에(羽二重 · 견직물의 일종으로 얇고 부드러우며 윤이 나는 순백색 비단)의 쿠로토메소데(留袖 · 예복으로 소매 길이는 보통이며 무늬와 문장이 달려 있음)를 입었다. 남성의 정장으로는 검은 문양의 하오리와 하카마였다.
다이쇼 시대에는 양복이 유행하고 여성들도 양장을 입게 됐다. 기모노에 있어서는 화려한 하오리가 유행했다. 또, 남성은 오오시마츠무기(大島紬 · 오오시마에서 나는, 붓으로 살짝 스친 것 같은 무늬가 많이 있게 짠 명주), 메이센(銘仙 · 꼬지 않은 실로 거칠게 짠 비단) 명주 등이 유행했다.

기모노의 종류

후리소데(振袖)
후리소데는 미혼 여성의 제 1예복으로 정해져 있고 가장 화려한 기모노로 에도 시대까지는 남녀 모두 입었지만 지금은 미혼여성만 입는다. 에바하오리(?羽羽織 · 큼직한 그림 무늬가 들어있는 덧옷) 모양이며 무늬가 바느질 자리를 따라 연결되어 전체가 한 장의 그림처럼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토메소데(留袖)
기혼여성의 제 1예복으로 쿠로토메소데(?留袖)와 이로토메소데(色留袖)가 있다. 쿠로토메소데는 상반신에 무늬를 넣지 않은 옷단에서 옷깃까지 에바하오리 모양으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며, 상반신은 소메누키(染? · 무늬 부분만 바탕 색깔로 남기고 다른 부분은 염색하는 것) 다섯 문장을 넣는다. 이로토메소데는 바탕이 컬러로 되어 있다. 문양 수에 따라 착용 범위가 넓어지는 것이 특징으로 화려한 바탕색과 격조를 살려서 사교용으로도 입을 수 있다.

호우몬기(訪問着)
기혼, 미혼에 관계없이 입을 수 있는 기모노로 에바하오리 모양으로 되어 있어 사교용으로 애용되고 있다.

이로무지(色無地)
오글쪼글한 비단이나 무늬가 들어간 옷감에 색을 넣은 전체적으로 문양이 없는 기모노를 말한다.

츠케사게(付け下げ)
어깨나 팔 옷단 등에 물들인 무늬가 앞길, 뒷길에서 모두 같은 방향으로 된 것을 츠케사게라고 한다. 근대에 와서 만들어진 기모노로 호우몬기와 구별이 쉽지 않은데 가봉한 상태에서 문양을 넣은 것이 특징으로 만들 때 상하가 바뀌지 않도록 그림을 그려 넣는다.

코몬(小紋)
코몬이란 자잘한 무늬를 말하는데 염색한 기모노의 경우 카타조메(型染 · 型紙를 무늬를 박아 염색한 것)로 같은 문양이 전체에 연속해서 놓인다. 사교용 기모노이지만 여러 가지 변형이 있다.

유카타(浴衣)
목욕을 한 뒤 입거나 여름철에 입는다. 무명 홑옷으로 하나비가 많이 열리는 여름 유카타로 한껏 멋을 낸 젊은이들을 자주 볼 수 있다. 옛날에는 목욕을 할 때 입은 것으로 내의로도 사용했다.

관혼상제에 입는 기모노

요즘은 일본에서도 기모노를 평상복으로 입는 사람은 드물다. 일본인들이 기모노를 입을 수 있는 기회 또한 많지 않아 입학식, 졸업식, 성인식, 결혼식, 장례식 때 입게 된다.

일본은 시치고산(七五三)이라는 독특한 풍습이 있는데 이는 11월 15일에 5살의 남자 아이와 3살, 7살의 아이들의 성장을 축하하는 것으로 에도 시대 중기 이후에 시작되어 메이지 시대 시치고산이라는 이름을 붙이며 활성화되었다고 한다. 남자 아이는 가문을 상징하는 문양이 들어간 바지를 여자 아이는 홑옷과 큰 무늬로 짠 긴 옷에 여러 종류의 오비, 지갑, 부채 등을 갖춘다. 성인식은 매년 1월 둘째주 월요일에 행해지며 여자는 후리소데, 남자는 양복을 주로 입는다. 졸업식에서 하카마를 입는 것이 예의라고 하는데 다섯 개의 문양이 들어간 것이 정식이지만 세 개나 한 개의 문양도 괜찮다. 결혼식에는 여자의 경우 흰색 기모노를 입는데 흰색은 순결을 상징하며 그 집의 가풍을 잘 보고 익히겠다는 의미가 있다는 설도 있다. 남자의 경우에는 에도 시대까지 흰색의 기모노를 입었지만 메이지 시대 이후 직업의 정장을 하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지금은 검은 색을 입고 있다. 신랑 신부의 어머니는 등에 하나, 양 가슴과 양 소매에 각각 하나씩, 도합 다섯 군데에 가문(家紋)을 물들인 검은색 하오리를 입으며 자매의 경우 기혼자는 토메소데를 미혼자는 후리소데를 입는다. 친구들은 한 군데에 문양이 들어간 호우몬기, 세 군데에 문양이 들어간 무지(無地)를 입는다. 마지막으로 장례식의 기모노를 살펴보면 상주, 친족은 다섯 군데의 문양이 들어간 검은 상복을 입고 후쿠로 오비나 나고야 오비를 묶는 것이 정식이다. 방문객은 작은 문양이 들어간 것은 괜찮지만 여러 가지 보배를 늘어놓은 무늬인 다카라즈쿠시(??くし), 길조 무늬(吉兆柄), 소나무, 대나무, 매화 무늬(松竹梅)는 삼가해야 한다.

기모노의 가격

기모노는 손으로 천을 짠 뒤 정밀하고 화려한 수를 놓는 등 수공업만으로 만들어지는데 한 벌을 만드는 데 한 달이 걸린다고 할 만큼 많은 손이 가야 한다. 따라서 기모노의 가격이 비쌀 수밖에 없는데 가격도 천차만별로 수십만에서 수백만 엔을 호가하고 있다. 기모노의 아름다움은 원단, 색채, 문양에 의해 결정되고 좋은 원단에 국보급 장인이 그려넣은 작품일 경우 몇 억 원대를 호가하는 기모노가 있을 정도다. 일본의 무형문화재 보유자이며 2000년 6월 초전섬유박물관에서 염직전을 갖기도 한 시무라 후쿠미 씨가 만든 기모노는 한 벌에 3천만원에서 1억원을 호가한다.

2000년 영국의 파이낸셜 타임즈에서 재미있는 기사를 소개했는데 바로 '기모노 채권 열풍' 기사였다. 일본의 대형 사채업체인 쿼크사가 선보인 금융 상품이 큰 인기를 얻고 있으며 기모노를 구입하고 싶지만 고가의 기모노를 한 번에 구입할 능력이 없는 사람들에게 대출을 해 주고 쿼크사는 고객들에 대한 대출액을 담보로 6개월에서 5년의 채권을 발행해 파는 상품이다. 채권의 연 수익률은 1.5%로 은행권의 금리가 제로에 가깝다는 점을 감안하면 해 볼 만한 장사였던 셈이다. 고객 대부분이 40대 여성들로 개인 파산을 선고할 위험성이 적다는 것도 크게 작용했다. 1개월 동안 10만 여명이 기모노 대출을 받았고 2백 83만 달러의 채권을 시장에 팔았다고 한다. 일반 서민들은 입어 볼 기회가 적은 고가의 전통의상 기모노와 이를 입어 보려 하는 여성들의 심리를 이용한 기발한 채권. 일본의 독특한 문화를 엿볼 수 있는 사건이다. 고가인 기모노 때문에 중고 기모노 경매 사이트까지 생겼을 정도라고 한다. 교토에서 퍼스널 컴퓨터 강좌를 운영하는 일본 사스치나불커뮤니티센터(SCCJ)가 인터넷 상에 중고 기모노 경매 사이트를 열었다는 뉴스도 있었을 정도다.

기모노 스타일

기모노 스타일이란 대나무, 매화, 오비 장식과 여밈 등으로 표현되는 스타일을 말하는데 기모노가 '동양의 신비'로 받아들여지면서 새롭게 탄생하며 일본 문화를 전 세계로 전파하고 있다. 1970년대 야마모토 요지 등 일본 디자이너들이 기모노의 넓은 소매와 오비 등을 변형시킨 의상으로 파리에 진출한 이후 '기모노 스타일'이란 대로운 복식 형태로 자리잡고 있다.

또, 1971년 4월 파리컬렉션에서 "일본인이 파리를 수놓았다"는 극찬을 받은 다카다 겐조 역시 기모노를 세계로 알린 디자이너다. 기모노의 선을 변형시킨 의상을 꾸준히 발표해 '기모노슬리브' 라는 용어를 패션용어사전에 실리게 했고 1997년 발렌티노를 시작으로 현대 패션 스타일로 성장했으며 1999년 장 폴 골티에는 '저패니즘'을 테마로 기모노를 변형한 의상과 게다, 게이샤의 머리 스타일을 연상시키는 독특한 헤어스타일도 선보여 동양의 신비를 담아낸 의상으로 세계 패션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상 자료는
http://www.kanggo.net/%7Ejapan/nihon/tokusyu2.htm 에서.

일본의 기모노



■「기모노(きもの/着物)」는 본래 넓은 의미로 옷을 지칭하지만, 흔히 일본여성(日本女性)들이 입는 전통의상(傳統衣裳)을 가르킨다.

■ 일본의 기모노는 기본적으로 원피스이고, 그 위에 덧옷을 입는 구조이다. 또 고름이나 단추가 없어 옷을 입고서는 천으로 묶는다. 그리고 호주머니가 없다. 대신 소매 끝이 호주머니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기모노의 종류로는 기모노, 유카타(ゆかた:여름철이나 목욕한 뒤 입는 무명 홑옷), 하오리(はおり:일본 옷의 위에 입는 짧은 겉옷), 탄젠(たんぜん:솜을 두껍게 둔 소매 넓은 옷. 방한용의 실내복으로 잠옷으로도 쓰임), 우치카케(うちかけ:옷 위에 걸쳐 입는 긴 옷을 말하며, 주로 결혼식 등에서 입음),하카마(はかま:일본 옷의 겉에 입는 주름 잡힌 하의)가 있다.

■ 본래의 옷은 기모노와 유카타 두 가지가 있는데 기모노란 실크로 만든 것이며 유카타는 면으로 만든 것이다. 따라서 기모노는 의식용이며 유카타는 잠옷 축제용 등으로 사용된다고 할 수 있다.

■ 일본인들이 외국인에게 기모노를 설명할 때,「감춤의 미학(美學)」「걸어 다니는 미술관(美術館)」이라고 자화자찬한다. 맨 살을 들어내지 않는다는 점과 옷감의 다채로운 모양을 뽐내느라 그런 말을 하겠지만, 한국인의 시각으로 볼 때, 한국의 한복도 그런 면에서는 피차일반이라는 생각이 든다.

■ 기모노는 때와 장소, 목적에 따라 색깔, 무늬 등을 고려하여 입는다. 가장 화려한 기모노는 결혼할 때 신부가 입는「우치카케(うちかけ)」이다. 주로 빨간 실크(シルク) 천에 금실, 은실로 수를 놓아 만든 우치카케는 그 날의 주인공(主人公)이 누구임을 확연히 돋보이게 해준다. 또한 결혼식 때 많이 입는 기모노로 흰 색의「시로무쿠(しろむく)」가 있다. 머리에 쓰는「쓰노카쿠시(つのかくし)」라는 흰 모자(帽子)와 어우러져 신부스러움을 한층 돋보이게 한다. 결혼식에 참석하는 친지들은 주로 금색, 은색으로 수놓은 검정색 기모노에 화려한 오비(おび/띠)를 둘러 한층 멋을 낸다. 장례식(お葬式)때 입는 기모노도 역시 검은 색이지만 금색, 은색의 수가 없이 흰색으로 약간 장식한 옷이다.

■ 기모노는 앞으로 여며서 입는 옷이다. 지금의 나이터가운(ナイトガウン) 형식의 원피스로, 치마 폭이 아주 좁기 때문에 걸을 때도 보폭을 작게 잡아서 걸어야만 앞이 벌어지지 않으며, 따라서 행동하기도 매우 조심스럽고, 앉을 때는 자연히 정좌(正坐)할 수밖에 없는 옷이다. 이런 기모노를 입은 여성에게 섹시함을 느끼는 것은 살짝 드러나는 뒷 목덜미와 걸을 때 살짝살짝 보이는 발 때문이라고 한다.

■ 요즈음에는 설날이나 성인식, 대학 졸업파티, 결혼식, 장례식 등에서만 기모노를 입는다. 기모노의 가격도 비싸고 입는 절차도 복잡하기 때문에 감히 입을 엄두를 못내고 있다.

■ 주로 실크(シルク)천에 꽃이나 새를 수놓은 기모노는 화려하기도 하지만 비싸서 한 벌에 몇 십만円 짜리에서부터 몇 백만까지가 있다. 일 년에 몇 번 입지 않기 때문에 고이 간직했다가 딸이나 며느리에게 물려 주기도 한다.

■ 입는 사람의 몸에 맞게 만들어진 양복이나 한복과는 달리 기모노의 사이즈(サイズ)는 누구한테나 맞을 정도로 넉넉하기 때문에 입는 사람에 맞게 조정하려면 혼자서 입기가 힘들다. 전문적으로 기모노 입는 법을 배운 기술자의 손을 빌리더라도 입으려면 적어도 10분 이상 걸린다. 때문에 기모노는 주로 전문 미장원에 가서 돈을 지불하고 입는다. 물론 일본식 여관(旅館)이나 식당(食堂)/ 요정(料亭) 등에서 직업상 항상 기모노를 입어야 하는 사람들은 키쯔케(きつけ:きもの 입는 방법)를 익혀 혼자서도 잘 입는다.

■ 기모노를 입을 때는 반드시「타비(たび)」라고 하는 버선 같이 생긴 양말과「조오리(ぞうり)」라고 하는 신을 신는다. 타비는 흰색이며, 조오리는 기모노의 색깔에 따라 결정된다.

■ 원래 일본 남성들이 일본 전통의상인 기모노를 입을 때,「훈도시(ふんどし:남성들의 음부를 가리기 위한 폭이 좁고 긴 천)」라 하여 팬티(パンツ)를 입지 않고 긴 옷감으로 앞뒤를 가리기만 했다.「사루마타(さるまた:일본식 팬티)」를 입게 된 것은 개화 후 양복을 입게 되면서 부터이다.

■ 여성들의 기모노도 몸에 꼭 맛게 입는 것이기 때문에 팬티를 입으면 그 선이 들어나 흉하게 보인다고 해서 팬티 대신 속치마인「코시마키(こしまき:일본식 속치마)」를 입는다. 그리고 그 위에 몸매(からだつき)가 가장 잘 드러나도록 몸에 꼭 맞추어 기모노를 입는다.

■ 일본의 호텔이나 여관에 가면 유카타가 깨끗이 세탁되어 놓여져 있다. 투숙객들은 이 유카타로 갈아입게 되는데, 여관이나 온천지 등의 호텔에서는 이걸 입고 호텔 내를 돌아 다니거나 뜰을 거닐어도 무방하다. 심지어 온천지역에서는 유카타만 입고 인근 카라오케(カラオケ)나 바 정도는 오갈 수 있다. 원래 유카타는 맨몸에 팬티(パンツ)만 걸치고 입는 옷이다. 100% 면으로 만들어져서 촉감이 좋고 땀을 잘 흡수한다.

■ 일본은 10월 1일 코로모가에(ころもがえ/衣替え)라고 하여 회사나 학교 등에서는 유니폼을 겨울 옷으로 갈아 입는다. 상반기 코로모가에는 6월 1일로, 이 날 모든 유니폼을 하복으로 갈아 입는다.

오비(おび)」에 대한 이해

■ 기모노에 있어서「오비(띠)」는 아무리 보아도 무용지물처럼 보이고, 이러한 것을 메달고 다니는 것이 우습기 조차하다. 그러나 일본 학자들은 오비야말로 세계 복식사에 유래가 없는 독특한 것이라고 자랑한다.

■ 허리띠를 몇 겹씩 감아 뒤쪽으로 매듭을 지은 복식은 일본이 유일하다.

■ 오비를 뒤쪽으로 감아 배면미를 연출한 것은 인간이 인간을 감상할 때, 앞 쪽보다는 옆이나 뒤를 바라보는 경향이 강하다는 계산에서 나온 일종의 아이디어이다.

■ 오비의 위치를 허리 위로 올림으로써 상반신에 비해 하반신이 길게 보여 더욱 멋있다.

■ 오비의 넓은 띠로 몸을 감싸니까 위하수가 줄고 혈압상승을 막아 안산장명(安産長命)의 효과를 안겨준다.

■ 오비는 동장단각(胴長短脚)으로 작달막한 일본인의 체구를 둘로 나누어 조금이라도 예쁘게 보이기 위한 눈가림의 미학이다.

오비의 종류

■ 후꾸로오비(ふくろおび/袋帶): 전대 모양으로 속이 비게 짠 오비로 폭은 31cm, 길이는 약 417cm이상, 예복 등에 쓰여짐.

■ 나고야오비(なごやおび/名古屋帶): 양끝에 술을 붙힌 둥근 실 오비로, 폭이 34cm, 길이가 356cm이상, 평상시할 수 있는 간편한 오비.

■ 한하바오비(はんはばおび/半幅帶): 폭이 절반이라는 의미의 오비로, 폭 15cm, 길이 350cm와 450cm이다.

■ 쯔꾸리오비(つくりおび/作り帶): 간단히 묶을 수 있어 여기저기 다닐 때하는 오비.

오비의 3대 색상기법

■ 시슈우(ししゅう) : 자수(刺繡)의 일본어 발음으로 손으로 직접 수를 놓는 기법. 입체감과 따스함을 준다.

■ 소매(そめ) : 소메루(そめる:물들이다)에서 온 말로 한국어로 염색이란 뜻이다.옷감에 염색하는 기법을 말하며, 다양한 무늬와 색상을 낼 수 있는 것이 특징이 다.

■ 오리(おり) : 오루(おる/織る:짜다)에서 온 용어로 수공이나 기계로 짜는 것을 말하며, 중후함과 격조가 있어 최고의 예복이다.

기모노 입는 법

기모노는 크게 속옷에 속하는 "나가지반(ながじぱん/ながじゅばん:긴 속옷)"이라는 것을 먼저 입고 그 위에 기모노를 입는다.

1. 먼저 나가지반을 입고 옷깃 끝을 양손으로 잡고 몸의 한가운데에 오도록 중심을 잡는다.

2. 왼손으로 옷깃을 잡고, 오른 손은 등위 허리부분을 펴서 왼쪽 소매보다 오른쪽 옷깃이 주먹 하나가 들어갈 정도로 낮게 잡는다.

3. 오른쪽 옷깃을 밑으로 가지 않도록 수평으로 해서 가슴부분을 감싸듯 한다.

4. 옷깃과 옷깃의 겹친 부분이 신체의 중심 부분에 오도록 주의한다.

5. 다테지메 (속옷을 감는 끈) 의 중심을 오른손으로 잡고 왼손으로는 겨드랑이 밑 부분에 오는 다테지메를 잡는다.

6. 다테지메를 뒤에서 겹치도록 교차시켜 앞으로 가지고 온다.

7. 다테지메를 앞에서 한번 묶은 다음 살짝 잡아당긴다.

8. 묶은 끝을 두른 다테지메 속에 집어 넣고 마지막으로 전체에 주름이 잡혀있으면 주름을 펴도록 한다.

9. 기모노를 겹쳐 입으면, 옷깃 끝에서 1/3정도오는 부분을 양손으로 잡는다.

10. 손으로 잡은 부분을 들어올려 기모노가 바닥에 닿을까 말까 할 정도로 해서 전체의 길이를 정한다.

11. 왼손을 돌려 감싼다. 감쌀 때 왼쪽의 기모노를 꾀맨 실 부분이 완전히 옆으로 오게 해서 폭을 잡는다. 그리고 오른쪽을 잡아당겨 편다.

12. 왼손으로 감싼 부분을 다시 펴고 오른쪽 부분을 먼저 감싼다. 감쌀 때 왼쪽엄지 발가락이 보이도록 주의해서 감싼다.

13. 왼쪽 옷깃도 감싼다. 감쌀 때 역시 주의할 점은 앞에 오는 끝 부분이 다비 에 살짝 걸쳐질 정도로 조절한다.

14. 오른 손으로 코시히모 (こしひも/腰紐: 일본 옷의 허리 띠로 폭 3cm정도의 끈)를 잡고, 허리 약간 윗 부분에서 돌려 감는다.

15. 코시히모를 풀기 쉽게 묶어 동그랗게 만들고, 다른 한쪽은 그냥 길게 묶고 나온 끈은 코시히모에 맨다.

16. 코시히모의 묶은 윗 부분에 흘러 내려온 부분을 손을 넣어 앞뒤 전체가 펴지도록 정리한다.

17. 옷깃 부분의 중심을 잡기 위해 옷깃의 길이를 정한다.

18. 속 옷인 나가지반의 소매에 맞추어 기모노의 소매도 맞춘다.

19. 나가지반의 허리끈을 묶은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오른 손으로 길이의 중앙을 잡고 왼손으로는 왼쪽 겨드랑이 밑에 해당하는 부분을 잡는다.

20. 다테지메를 1회 감는다.

21. 다테지메를 한번 묶고 가볍게 당긴다.

22. 다테지메 끝을 다테지메 속에 넣는다.

23. 등뒤의 주름을 없앤다.

24. 겨드랑이 부분의 선을 똑바로 펴서 깨끗하게 정리한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일본의문화재

1. 히메지죠 

- 현존하는 16세기 일본성곽 건축의 가장 뛰어난 모범
- 고도로 발달된 방어시스템과 교묘한 보호장치를 갖춘 83개의 전각이 있음
- 일본 쇼군시대 초기의 봉건문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됨

2. 호류사의 불교기념물군

- 일본 나라현 호류사에 있는 48개의 불교기념물은 목조건축물의 대표작임
- 이 목조기념물은 동일 양식으로는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것들이며 그중 11개는 8세기
또는 그 이전에 건립된 것으로 일본 불교문화의 윤곽과 중국 불교건축의 답변확정을 알려
주는 예술사적 중요연대를 나타내줌

3. 시라카미 산치

- 일본 혼슈북단 산맥에 위치해 있는 냉대삼림 지대로 인간의 발길이 닿지 않는 마지막
처녀지
- 가파른 산과 언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너도밤나무, 흑곰 등과 88종의 조류가 서식하
고 있음

 

일본의음식

일본 음식은 중국과 우리 나라 음식의 영향을 받아 유사한 점이 많이 있으나, 그 속에서도 그들만의 독특한 음식 문화를 발전시켰다.
일본 사람들은 음식을 만들 때 조화를 중요시 하는데, 이것은 그들의 다양한 조리법에도 잘 나타나 있다. 음식과 그 음식을 담는 그릇과의 조화 또한 중요시 여겨 요리 자체를 하나의 예술품으로 만들기도 한다.
 

기모노

대표적으로 여자들의 기모노는 프리소대라고 하여 소매가 엄청 깊고 길게 늘어져 있는게 있고 짧은게 있습니다

소매가 깊고 긴 프리소대는 시집을 안간 처녀들이 입는것이고

결혼한 여자는 짧은 소매를 입습니다.

참고로 여름에는 유카타라는 걸 입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일본의 문화.....뭐 축제만 넣으면 될꺼예요.

 

   저희 초교에선 안그랬는데...그런거.....구려서그런가...?

 

  일단 3가지라고했죠? 에 치시면되는데 뭐하려고 여기서 점수아깝게....

 

  일단 첫번째       ,しちごさん [시치고산],   인데요.

 

      이건 그냥 시치고산 치시면 일본 시치고산에대한 정보가 쫙- 뜰꺼예요....

 

          두번째       ,ひなまつり [히나마쓰리],  입니다.

 

      이하 위 내용과 같음.

 

          세번째       ,ごいのぼり [고이노보리], 입니다..

 

       귀찮어...

 

 

 

   일단 위에 세가지는 에서 치시면 다 뜨구요...

 

 

기모노........이것도 치시면 나오는데...

 

 

     음식....우리나라와 별반 차이가없습니다....

 

   오호 그래 초밥이있네요.

      

        すし,   [초밥]      "스시"라고 읽습니다....

 

      제가 제일좋아하는거죠,......ㅎㅎ

 

   뭐 별상관없겠고.

       초밥은 제가 설명해드리죠...

 

 

 

한국말로 초밥이다. 원래의 스시는 한국의 식해()와 같은 것이다. 즉, 물고기를 소금간을 하여 조밥이나 메밥에 버무려 놓았다가 삭은 후에 먹는 생선식해와 똑같은 조리법이다. 이 방법은 지금까지 한국에도 일본에도 전수되고 있으나, 일본에서는 그후 '하야즈시'라 하여 하야[:빠르다는 뜻의 일본말] 자를 붙여 즉석음식으로서 간소화시켜 다음의 세 가지 요리법으로 분화되었다.

 

쌀밥에 식초를 뿌려서 새콤하게 조미한 다음 김으로 싼 것이 '노리마키[のりまき]'이고, 생선조각, 기타 해물을 꼭꼭 뭉친 밥에 얹은 것이 '니기리즈시[にぎりづし]', 두부조각을 기름에 튀겨서 만든 유부를 조미하여 주머니처럼 벌리고 그 속에 맛이 나게 조미한 밥을 뭉쳐 넣은 것이 '이나리즈시'[생략]이다.

 

이상은 근세에 만들어낸 스시[すし]로, 일반화되고 있는데, 이 요리법을 일본인에게 배워서 한국에서 만들고 있는 것이 초밥이고, 그 이름도 한국사람이 붙인 것임. 초밥은 김초밥·생선초밥·유부초밥 등의 기본이 되는 밥으로, 식초·설탕·소금을 섞어 만드는데, 밥은 되직하게 잘 지어야 한다. 쌀을 밥 짓기 2∼3시간 전에 씻어 두어 물기를 뺀 후 보통밥보다 물을 10% 정도 적게 붓고 청주 1큰술을 넣어 끓을 때 씻어 놓은 쌀을 넣고 소금을 약간 넣어 1번 휘저은 다음 뚜껑을 덮고 끓인다. 뜸이 들 동안에 식초에 설탕을 넣어 잘 섞어 놓는다. 뜸이 들면 널찍한 그릇에 밥을 쏟고 설탕식초를 뿌려 나무주걱으로 빨리 저어 식힌다. 이것을 각각 김·생선·유부 등에 싸서 초밥요리를 만들어낸다.

 

 

 

 

아....죽을뻔했네....  ㅋㅋ 만드는방법은 퍼왔어용 ㅋㅋ

 

 

  이정도는 됬죠?

 

  음식은 끝났으니깐 두가지는 알아서해요~    숙제는 알아서!

 

 

     하지만 제가 한개는 도왔자나요?

   그리구 욕하고싶으면해요.

       아 그리구 나이가 많다고 자랑하는건아닌데.

     걍 숙제 혼자서해요.  이만큼알려줬으면 됬지  뭐,

일본에 관해

일본에 관해 궁금 해요 ^ ^ 짧게 해주세요 . 2줄 정도씩 쭐여서 ^^ 일본에 관해서 ...... 문화 - <짧게 2둘> 지형 - 산업 - 인구 - 언어 - 특징 - <지진 등 > (아는게 많으면 좀...

일본 애니 문화에 관해

... 분량은 A4용지 한장정도 면 충분하고요 ....이것보다 많거나 적으면 감점입니다 ㅠㅠ 좀 도와주세요 ㅠㅠ 제가 일본에 관해 잘 몰라요 ㅠㅠ 애니를 조금 보고 관심을...

일본에 관해..

... 학교에서 자신이 여행하고싶은 나라에 관해 알아오더라고 하더군요. 전 일본으로 하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일본 문화재 같은걸 찾아도 다 사진이 나오더라구요.. 저희 집...

일본에 관해..

안녕하세요.초5학년인 여학생입니다.학교에서 일본의 정치,경제,사회,문화에 관해 알아오라는 숙제를 내주셨는데 모르겠어서요..간단하게 좀 부탁드립니다. 음...그런건 잘...

일본 유학에 관해 질문...

일본 유학을 생각하게 된 한 학생입니다 그런데 유학이나 일본에 관해 아는게 전혀 없어서; 제가 방송학과 쪽으로 생각하고있거든요; 다들 학교 홈페이지 들어가서...

일본에 관해 여러가지 궁금한 점.

... 일본사람들은 한국사람들 보다, 대게 정이 없는 타입인가요? 예전부터, 들어온 말인데.. 일본사람들이 그런다고... 한마디로 문화가 그런것 같았는데, 정리하자면 일본인은...

일본에 관해//

1.일본의 자연환경 - 자연재해, 국토 2.일본의 기후 3.주요도시,수도 자세하게 써주시면 감사하겠구 빨리 올려주시길// 국토- 일본은 총...

일본에 관해 질문합니다

일본이 독도를 자기네 땅이라고 주장하자나요 그걸 뒤받침하는 근거가 있나요? 있으면 자세히 알려주세요 광복 후에 일본이 미국, 영국, 중국이랑 조약을 맺었는데, 이...

일본 공항버스에 관해

... 다녀온 사람에 의하면 일본에있는 공항버스도 한국과... 경험하신분들 중 꼭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일본의... 일본 공항버스 예매를 원하시면 공항 이름과 호텔 목적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