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동물 조사하기

멸종동물 조사하기

작성일 2011.11.14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저 오늘 학교숙제인데 멸종동물조사하는거예요 앞에 나가서 발표하는거여서 쉽고 간단하고 그림과 함께좀 올려주세요 제발요~~~~~~~~~오을 밤 9시까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우파루파(=아홀로틀=엑솔로틀-모두다 같은 이름이예요^^)

우파루파는 멕시코 도롱뇽이라고도 불리며 양서류 속 도롱뇽과에 속한다.

멕시코 고산지대에 서식하는 멕시코산 토종 도롱뇽으로 18~23도의 온도가 낮은 수중에서 서식한다.

몸길이는 보통 18~20cm 내외며, 크게는 30cm까지 자라기도 한다.

알에서 부화한 후 아가미로 호흡하며, 유생시기를 물 속에서 보낸 후에 뭍으로 올라와 허파로 호흡하며 생활하는 일반 도롱뇽과는 달리 우파루파는 알에서 깨어나 유생으로 시작하여 유생시기의 아가미를 성체가 되어서도 그대로 유지하며 살아가는 특이점을 지니고 있다. 즉, 완전 수생종이라 뭍으로 올라오지 않는다.

인형처럼 생겨 귀여운 우파루파는 애완동물로도 인기가 높아 현재는 멸종위기에 처해있다. 그 이유는 약 10년간 남획되어왔고, 제대로 보호를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10년 전에 비해 개체수가 60 분의 1로 줄어듦.) 

멕시코에서 1200마리 정도 남았으며 그나마도 멕시코 중심 소치밀코 내 지역 6곳에 산발적으로 서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인 멸종위기 동물은 

호랑이, 반달가슴곰, 표범, 붉은 여우, 늑대, 스라소니, 바다사자, 붉은 박쥐, 사향노루, 대륙사슴, 산양, 수달 등이 있습니다.

 

1) 호랑이

 

호랑이

멸종위기등급

멸종위기등급: 위기(endangered)





아시아 특산인 맹수로 대형 고양이류이다. 크기는 아종에 따라 다른데, 발리호랑이는 대개 100 킬로그램 미만이며, 아무르호랑이는 수컷의 경우 360 킬로그램이 이르기도 한다. 대개 황갈색 몸에 검은색 줄무늬가 나 있으며, 배는 흰색이다.

뼈를 비롯한 신체의 거의 전 부위가 한의학의 약재로 쓰이고 있으며, 모피와 생식기를 얻으려는 인간에 의해 심각한 생존의 위협을 받고 있다.

현재 남한에서는 호랑이가 멸종되었다고 공식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현재 남한에서 16년째 호랑이를 찾고 있는 임순남 한국호랑이보호협회장의 주장에 의하면 현재 남한지역에서는 최소한 10마리 이상의 호랑이가 서식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의 말에 의하면 남한에 서식하던 호랑이의 대부분이 북한에서 내려온 것이라고 주장한다. 호랑이의 경우 10m가 넘는 나무를 올라갈 수 있어서 휴전선 철책을 넘을 수 있다고 한다.

 

2) 반달가슴곰

 


 

반달가슴곰은 동부 시베리아, 중국, 캄보디아, 태국과 히말라야, 대만, 일본과 우리나라의 백두산 부근, 설악산, 지리산 등지에 분포한다.
몸길이 1.92m, 꼬리길이 80㎝, 몸무게 107㎏정도이며, 몸 전체가 광택이 나는 검은색이다. 앞가슴에는 반달모양의 흰 무늬가 있는데, 이 무늬는 변화가 심하여 큰 것도 있고 작은 것도 있으며, 드물지만 전혀 없는 것도 있다. 코는 뾰족하고 짧으며, 이마는 넓고, 귀는 비교적 크다.

반달가슴곰은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가장 큰 동물로서 멸종위기에 처해있을 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보호가 되고 있는 진귀한 동물이므로 천연기념물 제329호로 지정하여보호하고 있다.

 

3) 표범

 


멸종위기등급

멸종위기등급: 취약근접





표범은 고양이과 동물이다.

몸길이 95~150cm, 꼬리길이 60~95cm, 몸무게 30~80kg 정도이다. 암컷은 수컷보다 훨씬 크다. 몸빛깔은 담황색에서 갈색이고 검은 반점이 있으며 등의 검은색 무늬는 매화 모양이다.

고양이과 동물 중에서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가장 뛰어나며 덩치도 사자와 호랑이 다음으로 크다.

아시아·아프리카의 거의 전역에 걸쳐 널리 분포하고, 한대에서 열대까지의 암석지·초원·관목림·삼림 등 어디서나 서식한다.

그러나 사람들이 털가죽을 얻기 위해서 수많은 표범을 죽였기 때문에 몇 아종은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한반도에서는 호랑이보다 많은 수가 서식한 것으로 보여진다.

1960년,대한민국의 창경궁(지금의서울대공원(창경원))에서 대한민국의 마지막 표범이죽었다. 그러다가 2000년대에 이르러 강원도에서 표범의 발자국 흔적이 발견되면서 한반도에서도 생존한다고 보고되었다. 그 뒤에도 목격담이나 구체적인 증거가 발견되면서 생존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현재 대한민국과 북조선을 합쳐서 30여마리 이상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것은 없다.

현재 한반도에서 호랑이 목격담이 이어지고 있는데 그 중 대부분은 표범일 가능성이 높다. 적응력과 번식력이 호랑이보다 높은 점으로 보면 아직도 개체군이 남아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4) 붉은 여우

 

붉은여우(Vulpes vulpes)는 여우속 중에서 가장 개체 수가 많은 종으로 일반적으로 여우라 하면 이 종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대체로 몸빛은 붉은 색이며 배는 하얗고 귓등과 다리는 검은색이다. 붉은 색 기운은 진홍색에서 노란색까지 개체에 따라 다르다. 색에 따라 두가지 변이종이 있는데, 25%의 십자여우는 검은색 줄무늬가 두드러지며, 10%의 은빛여우는 은색이나 검은색을 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붉은여우는 대한민국에 분포하는 유일한 여우속 동물이며, 가죽을 노린 남획과 쥐약살포의 결과로 1978년 3월 지리산에서 사체 발견 이후 야생에서 멸종된 것으로 생각되었을 만큼 수가 줄어들었으나, 2004년 강원도 양구군 동면에서 수컷 시체가 발견되어 일부 개체가 살아남은 것으로 여겨진다.

 

5) 늑대

 


멸종위기등급

멸종위기등급: 관심필요





 

늑대 또는 회색늑대는 식육목 개과의 동물로 이리, 말승냥이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늑대는 개의 조상으로 유전자가 서로 비슷하다. 개에 비해서 뇌가 크고, 귀가 항상 빳빳하게 서 있다. 큰 발과 노란 눈, 긴 다리, 큰 이빨은 늑대를 다른 개과 동물들과 구분짓는 특징이다. 이리는 서열이 있는 부계사회의 무리를 지어서 활동하며, 사슴 등의 초식동물 사냥도 무리를 지어서 한다.

어깨 높이 0.6 ~ 0.9 미터, 몸무게 25 ~ 65 킬로그램으로 갯과 야생동물 중에 가장 크며, 수컷이 암컷에 비해 큰 편이다. 한때는 북아메리카과 유라시아 지역에 넓게 분포하였지만, 지금은 서식지 파괴와 목축업자들과의 갈등으로 인한 과도한 사냥으로 인해 이전에 비해 매우 제한된 지역에서만 분포한다. 하지만 국제자연보호연맹은 비교적 낮은 위기단계인 "낮은위기/관심필요"(LC)로 분류하고 있다.

 

6) 스라소니

스라소니





 

스라소니는 고양이과의 야생 포유류이다. 몸길이 85~110cm, 꼬리길이 12~17cm, 몸높이 50~75cm이다. 눈 위 생활에 잘 적응하여 겨울에도 눈위를 빠르게 달릴 수 있다.

귀 끝의 긴 털은 소리의 방향을 탐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리가 길고 발바닥이 크며 발 가장자리에 털이 빽빽이 나 있다. 머리는 둥글고 볼에는 긴 털이 나 있으며, 귓바퀴의 앞끝에는 길이 약 4cm의 검은 털다발이 있다. 꼬리는 짧고 끝은 검은색이다. 몸털은 부드럽고 회백색 또는 적갈색이며 다리와 허리에 어두운 색깔의 반점이 있다. 이 반점은 매우 뚜렷하며 온몸에 퍼져 있는 것도 있고 거의 없는 것도 있다.
스라소니의 천적은 이리와 표범이다. 모피가 아름다워 남획되어 수가 격감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멸종위기에 처해 있으며 북한에서는 백두산과 개마고원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태백산맥에 소수가 서식한다고 하나 알려진 것은 없다.

현재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동식물에 지정되어 있으며 설악산에서 스라소니 복원을 추진중에 있다.

 

7) 바다사자


생물 분류





바다사자는 바다사자아과에 속하는 동물의 총칭이다. 큰바다사자를 바다사자라고 하기도 한다.

바다사자는 귓바퀴가 있고, 앞발이 납작한 지느러미이며, 네 지느러미로 땅에서 걸을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은 북극해로부터 적도까지, 남·북반구의 해양에 분포한다. 

물갯과의 바다짐승. 물개과 가운데 가장 크며, 옅은 적갈색이고 털은 없다. 우는 소리가 사자와 비슷하다. 북태평양에서 번식하고 겨울철에는 한국 동해안 및 홋카이도에까지 분포한다.

이들은 대체로 먹을 것이 풍부한 해변의 얕은 물에서 볼 수 있다.

이전에는 기름과 내장을 얻기 위해 마구 사냥되었지만 지금은 멸종위기로 보호를

받고 있다.

 

8) 붉은 박쥐

 

붉은박쥐는 박쥐목 애기박쥐과에 속하는 포유동물이다. ‘황금박쥐’, ‘오렌지윗수염박쥐’, ‘조복성박쥐’로도 불린다.

한반도와 대마도, 타이완, 필리핀과 아프가니스탄 동부, 인도 북부 등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극소수가 서식하고 있고 전남 강진, 해남,함평 등이 주서식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거의 전국적으로 포획이나 목격이 보고 되었습니다.

 

9) 사향노루

사향노루






사향노루는 사향노루과의 동물이다. 몸길이 1m, 어깨높이 50cm 가량으로 암수 모두 뿔이 없으며 수컷은 어금니가 특히 길고 커서 상아처럼 입 밖으로 나와 있다. 등은 짙은 흑갈색이고 젖빛의 무늬가 섞여 있다. 뺨·눈·귀 사이에 무늬가 있고, 몸의 아랫부분은 갈색과 흰색이 섞여 있다. 꼬리는 흑갈색이고 배에는 달걀만한 향낭에 사향이 들어 있다.

산림에 단독 또는 한 쌍이 살면서 밤에 나뭇잎·풀·이끼 등을 먹는다.

 가파른 경사나 절벽 위를 쉽게 뛰어다니며 지의류·풀·키 작은 나무와 나무의 어린 싹과 잎을 먹는다. 대한민국에서는 천연기념물 제216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9) 대륙사슴


멸종위기등급

멸종위기등급: 관심필요






 

시카사슴(Cervus nippon hortulorum)이라고 한다. 한국에서는 사슴이나 꽃사슴이라고 부른다.

꽃사슴의 어깨높이는 약 92㎝이다. 일본사슴의 만주 아종으로, 우수리사슴보다 작으며, 키가 크고 흰색의 경반이 특히 작으므로 원래의 종과 서로 다르다. 여름털은 연분홍빛을 띤 밤색이고, 등면과 옆구리에는 노란색 반점이 있으며, 흰색의 경반은 비교적 작다. 겨울털은 몸통이 어두운 갈색이고, 머리·목·어깨는 여름털의 반점 흔적이 엿보인다.

평지부터 해발고도 2,500m까지의 산림에 살며, 먹이를 섭취할 때 외에는 산림을 떠나지 않는다. 수컷끼리 또는 암컷끼리 무리를 이루거나 혼합 무리를 이룬다.

먹이는 주로 나뭇잎과 풀의 잎·줄기, 이끼를 많이 먹는데, 먹이가 부족하게 되면 나무껍질도 먹으며, 메밀·조·밤·도토리 등도 먹는다.

소에 비해 거친 먹이에 잘 견디지만, 염소나 양보다는 못하다.

한반도와 일본열도, 만주등 동북아시아에서만 서식하나 최근에는 유럽, 북아메리카,

호주등지로 수렵동물로 들여왔다.

 

10) 산양


멸종위기등급

멸종위기등급: 취약근접






산양은 몸의 길이가 115~130cm, 꼬리길이 11~15cm, 어깨높이 65cm 정도이다. 겨울털은 회황갈색을 띠고 등면의 정중선은 어두운 색이다. 주둥이로부터 뒷머리에 이르는 부분은 검은색을 띠고 옆머리는 회황색에 검은색이 섞여 있으며, 입술 외의 다른 부분은 희고 뺨은 검은색이다. 목에는 흰색의 큰 반점이 있다. 몸 뒤에는 짧은 갈기가 있으며 검은색을 띤다. 절벽과  바위 위를 잘 걸어다니기 위하여 다리가 굵고 발끝이

뾰쪽하게 만들어졌다.

 

11) 수달


멸종위기등급

멸종위기등급: 취약근접






 

몸길이 63-75cm, 꼬리길이 41-55cm, 몸무게 5.8-10kg이다. 형태는 족제비와 비슷하지만 훨씬 크고 수중생활을 하기에 알맞다. 머리는 원형이고 코는 둥글며, 눈은 작고 귀가 짧아서 주름가죽에 덮여 털 속에 묻혀 있다.

특수한 근육으로 귀와 콧구멍을 닫아 물이 들어가지 않게 한다. 꼬리는 둥글고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네 다리는 짧고 발가락은 발톱까지 물갈퀴로 되어 있어 헤엄치기에 편리하며 걸어다닐 때에는 발가락 전부가 땅에 닿는다. 온 몸을 덮고 있는 짧은 털은 굵고 암갈색이며 광택 있는 가시털이다.

몸 아랫면은 옅은 갈색이고 다리·입술의 밑 중앙부에 흰색 반점이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와 남극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 서식한다. 한국에서도 예전에는 전국적으로 볼 수 있었는데 모피동물로서 남획되고 하천의 황폐로 그 수가 줄었다.

1982년 11월 4일 전국 일원에 천연기념물 제330호로 지정되었다. 최근에는 전국적으로 목격되면서 개체수가 늘어나고 있지만 여전히 남획과 수질오염의 위협에 노출되어 있다.



[사불상]
앗 친근한 이름!!만화의 사불상은 사슴이었으나..[하마같지만]
진짜 사불상은 말인지 사슴인지... 이미 자연에는 없고,
동물원에만 있다고 합니다.

 
[에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사는 대형조류. 사진귀엽죠?
현생종은 딱 한종류라고 합니다.

 
[알바트로스]
한자로는 신천옹이라고 하죠? 날개가 2미터정도 된다고 들었어요.
몸보다 큰 날개때문에 지상을 걸을때 뒤뚱뒤뚱하면서 걷는답니다.

 
[메가마우스]
큰쥐인줄 알았는데 큰 입이군요;;;[] 하여튼 입한번 되게 큽니다..


 


[바바리사자]
저 검은색으로 변해가는 위엄있는 갈기..
사자중에서는 제일 몸집이 큰 종류라고 합니다.
이미 멸종해버렸...어요.

 
[블랙스완]
이름뜻은 검은 백조. 실제로도 붉은부리를 가진 검은 백조입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담수호에서 많이 보인다고 하는군요.
희귀동물입니다!!

 
[라와디돌고래]
동글동글.. 백상어에게 당할뻔한 사람을 구해줬다고 합니다.
실제로 돌고래들이 그런 일을 많이 한다고 해요

 
[롤리키드]
장난감같아요! 앵무새같지만 앵무새는 아니구요,
호주의 희귀동물입니다.

 
[봉고]
에뮤랑 같이 한다속 1종이며 세계적으로 진귀한 동물로, 아프리카산림영양이라고도 한다..
라고 백과사전에 나와있군요;



[딩고]
오스트레일리아의 야생개.. 왠만한 진돗개크기정도 된다고 하네요.
그곳의 원주민들이 종종 기르지만 커서는 놔준다고 합니다.
간혹 국내나 다른 곳에서도 입양으로 키우는 곳이 있다고 합니다.



[듀공]
초식성. 인도양이나 태평양의 열대해안에서 서식한다고 합니다.
고대 사람들이 목격하고는 인어라고 오해하기도 많이 했었죠.
 


챠핀스 박쥐


 

하이랜드 소


 

알미키(이미 멸종됐다고 하다가 발견된 동물)

눔 바트


 

세노펠티스


 

 

 


 


 

몬스트로서스 박쥐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이름: 도도새 (Dodo Bird)

도도새는 인도양의 모리셔스(Mauritius)섬에 서식했던 새이다.
도도새라는 이름은 포르투갈어로 '어리석다' 라는 의미에서 왔다. 도도새가 사람을 두려워하지도 않고, 날지도 못해서 포식자들에게 쉬운 먹이 감이었기 때문이다. 네덜란드인은 새를 Walgvogel 또는 난폭한(nasty)새라도 불렀다. 새고기의 맛이 매우 나빴기 때문이다.

 

이름:콰가

분류:말목 말과

크기:1.4미터

색:노란빛을 띤 갈색

생활방식:몇 마리가 무리를 지어 산다.

분포지역:아프리카 남부

 

 

이름: 여행 비둘기

분류: 비둘기과

크기:몸길이 약  43cm

서식장소 :삼림지대

생활:무리 생활

멸종년도: 1914년

 

이름: 바바리 사자

분류: 고양이과

크기 :몸길이 270m~330m, 몸무게 220kg ~270kg

서식장소 :삼림지대

분포지역 : 아프리카

생활방식:  단독 생화  ( 생식기 에는 암수 하고 함계 행동)

멸종년도 : 1922.

 

이름: 분홍머리 오리

학명 : Mettd  cdryopgylldced

멸종년도 : 1924년

이름 :캐롤라이나 잉꼬

크기 : 몸길이 약 30cm

서식장소: 숲

분포지역: 미국 동부

멸종년도 :1918년


이름 : 황금 두꺼비

분류 : 두꺼비과

크기 : 약 5cm

서식장소 : 밀림지대

분포지역 : 코스타리카 북서부

멸종년도 : 1989년

카스피호랑이 또는 페르시아호랑이카스피 해 남안에서 중국 서부에 분포한다. 전체길이 2.7m 정도이고, 몸은 주황색을 띠어 아름답다. 배에는 갈기가 나 있고, 무늬는 암갈색으로 가늘며 수가 많다. 고대 로마시대 검투장에서 사육되기도 했다. 현재 멸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멸종동물 조사하기

저 오늘 학교숙제인데 멸종동물조사하는거예요 앞에 나가서 발표하는거여서 쉽고 간단하고 그림과 함께좀 올려주세요 제발요~~~~~~~~~오을 밤 9시까지요 1. 우파루파(=아홀로틀...

과학 멸종위기동물 조사

과학 멸종위기동물 조사 하프물범 하고 싶은데요 히프물범의 멸종위기 등급, 생태적 특징 등등 1. 멸종위기등급 2. 생태적 특징 3. 서식지 및 멸종 위기에 처한 원인 4. 형태적...

멸종위기 동물 조사

제가 멸종위기 동물에 대해 조사를 해야 하는데 어떻게 할 지 모르겠어요 일단 이름, 서식지(어디에 살고 있는지 단순하게.예 미국 이런식으로), 특징(길이, 무늬, 그...

멸종위기 동물 조사

... 그리고 우리나라 멸종위기 동물도 알려주세요 https://mischievousroy.tistory.com/155 국내의 멸종위기 동물은 환경부에서 지정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우리나라에서는...

멸종위기동물 조사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의 이름, 서식지, 멸종된 이유, 멸종을 막는 방법을 조사해야 하는데 검색해도 안나오네요.. 멸종된거 말고 멸종 위기에 처한거여야 하는데 설명은 4...

멸종동물조사하기!!!!!

... 멸종동물조사해오는 숙제가 있어서요. 도와주세요ㅠㅠㅠㅠ 내공 많이 드릴께염 한 여섯 일곱마리만 사진 첨부해서 상세히 올려주세요.. 부탁드림!!! 이름: 도도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