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학년 2학기 과학 단원별 요점

5학년 2학기 과학 단원별 요점

작성일 2014.12.26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5학년 2학기 과학 1단원-우리 몸

 

몸속의 여러 가지 기관

1.소화기관

2.순환기관

3.호흡기관

4.배설기관

5.신경계

6.운동기관

7.운동이 우리 건강에 미치는 영향

 

 

 

1. 소화기관

 

음식을 먹는 이유-영양소를 섭취하기 위해

혈액-영양소+산소(세포로 에너지와 산소 전달

-소화: 음식물을 잘게 쪼개고 영양소가 우리 몸에 잘 흡수되도록 분해하는 과정

-소화기관: 6가지=입-식도-위-소장-대장-항문(소화에 관여하는 몸 속 기관)

입: 씹어서 잘게 부숨

식도: 음식물을 위로 보냄

위: 음식물이 위액과 섞여 죽처럼 됨

작은창자(소장): 영양소를 흡수-영양소는 혈액으로 이동

큰창자(대장): 수분 흡수, 찌꺼기를 항문으로 이동

항문: 찌꺼기 배출

-소화를 도와주는 기관

-간, 쓸개

간: 쓸개즙 분비

쓸개: 쓸개즙 저장(음식물이 위에서 작은창자로 갈 때 쓸개즙을 작은창자로 보낸다.

쓸개즙-1.지방을 분해, 위액을 중화

2.소화를 도와줌

 

 

 

 

 

 

 

 

 

 

2. 순환기관

심장-내 주먹만 한 크기이다.

가슴 중앙에서 약간 왼쪽으로 치우쳐 있다.

펌프 작용을 통하여 혈액을 온몸으로 순환시킨다.

혈액-몸에 필요한 산소와 영양소를 운반한다.

혈관-혈액이 흐르는 통로이다.

우리 몸 전체에 퍼져 있다. 가늘고 긴 관이 복자하게 얽힌 모양이다.

혈액 순환-심장에서 나온 혈액이 혈관을 따라 온 몸을 거친 다음 심장으로 되돌아가는 과 정을 반복하는 것

순환기관-혈액 순환에 관여하는 기관(심장, 혈관)

동맥-깨끗한 피

정맥-더러운 피(온몸을 거쳤기 때문에 노폐물이 쌓였다.)

 

 

3. 호흡기관

 

호흡-숨을 들이마시고 내쉬는 활동

호흡기관-호흡에 관여하는 코, 기관, 기관지, 폐 등

-숨을 들이마실 때-어깨가 올라가고 갈비뼈가 올라가고 배가 들어간다.(가슴둘레: 약 70cm)

-숨을 내쉴 때-어깨가 내려가고 갈비뼈가 내려가고 배가 나온다.(가슴둘레: 약 65cm)

-숨을 들이마실때와 내쉴 때 가슴둘레가 변하는 까닭: 몸속에 공기가 들어갔다 나갔다 하기 때문이다.

-들이마실 때: 코-기관-기관지-폐

-내쉴 때: 폐-기관지-기관-코

-가파른 산을 올라갈 때 호흡이 빨라지는 까닭: 운동량이 많아지면 평소보다 많은 양의 산소와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4.배설기관

 

배설-혈액 속 노폐물을 몸 밖으로 내보내는 것

배설기관-배설에 관여하는 콩팥, 오줌관, 방광, 요도

콩팥-등 쪽 허리 양쪽에 2개가 있다. 강낭콩 모양이다.

오줌관-콩팥과 방광 사이에 있다. 긴 간 모양이다.

방광-배꼽 10cm아래에 위치. 오줌관과 요도 사이. 공모양이다.

요도-방광의 끝. 짧은 관.

-혈액 속 노폐물이 나오는 과정

온몸-노폐물을 포함한 혈액-콩팥을 통해 혈액 속 노폐물을 걸러내고 오줌을 만듦-방광에 오줌을 모은 후 밖으로 보냄

-오줌을 참는다면 몸이 붓거나 병에 걸린다.

5. 신경계

귀-소리를 듣는다.

코-냄새를 맡는다.

손(피부)-물체를 만져 보고 구별한다.

입-맛을 본다.

눈-물체를 보고 구별한다.

 

-자극의 전달 과정-

자극-감각기관-말초신경-중추신경-말초신경-운동기관-반응

 

예) 전화벨이 울린다.

전화벨이 울린다(자극)-귀가 소리를 듣는다(감각기관)-말초신경을 통해 뇌까지 정보가 운반(말초신경)-뇌가 전화기를 들고 전화를 받으라는 명령을 내림(중추신경)-말초신경을 통해 손으로 정보를 운반(말초신경)-손으로 전화기를 들고 전화를 받는다.(운동기관)

 

 

6. 운동기관

-뼈의 생김새

머리뼈: 둥근 모양

갈비뼈: 여러 개의 뼈가 좌우로 둥글게 연결되어 큰 공간을 이룬 모양

등뼈: 26개의 마디가 길고 큰 기둥 모양을 이룸

팔뼈: 굵고 긴 뼈가 위아래로 연결된 모양

다리뼈: 팔뼈보다 조금 더 굵고 긴 뼈가 위아래로 연결된 모양

-팔을 굽혔을 때와 폈을 때의 차이

팔을 굽혔을 때-굵기: 23cm

움직임: 안쪽 근육이 오므라들고 바깥쪽 근육의 펴진다.

팔을 폈을 때-굵기: 20cm

움직임: 안쪽 근육이 펴지고 바깥쪽 근육의 오므라든다.

-뼈와 근육의 구조와 하는 일

머리뼈: 뇌를 보호함

갈비뼈: 심장과 폐 등 우리 몸속의 여러 기관을 보호함

등뼈: 몸을 지탱해주고 신경계를 보호함

팔뼈: 팔을 지탱해 줌

다리뼈: 다리를 지탱해 줌

근육: 뼈를 보호하고 몸을 움직일 수 있게 해줌

관절: 뼈와 뼈가 맞닿아 연결되는 부위(관절이 없으면 몸을 굽힐수 없다)

 

 

 

 

 

7.운동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

-심장 박동이 빨라진다- 에너지를 얻기 위해 혈액 공급을 빨리 해야 하기 때문이다.

-호흡이 빨라진다-에너지를 얻기 위해 몸이 산소를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질병-

뼈와 근육-골절, 타박상 등

소화 기관-복통, 설사, 장염 등

순환기관-심장병, 빈혈 등

호흡기관-감기, 천식, 폐렴 등

배설기관-신장염, 방광염 등

감각기관-중이염, 비염, 결막염 등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할 수 있는 것

1. 음식을 골고루 천천히 먹는다.

2. 환기를 자주 시킨다.

3. 몸과 주변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한다.

4. 규칙적으로 운동을 한다.

 

사라지는 물질

1. 물과 아세톤에 스티로폼 공을 넣었을 때 공의 변화

물에 넣은 스티로폼 공: 물 위에 그대로 떠 있다.

아세톤에 넣은 스티로폼 공: 빠르게 녹는다.

알 수 있는 점

- 고체 물질은 액체에 따라서 녹는 정도가 다르다.

2. 진하기가 다른 설탕물을 이용하여 탑을 쌓을 때 나타나는 현상

물감을 넣은 용액이 섞이지 않고 층을 이룬다.

액체탑을 쌓을 수 있는 이유

- 진하기가 다른 설탕물은 밀도가 달라서 쉽게 섞이지 않으므로 액체층을 쌓을 수 있다.

용해와 용액이란 무엇일까요?

1. 물과 아세톤에 따라 녹는 물질

액체

가루물질

아세톤

설탕

녹는다.

녹지 않는다.

시트르산

녹는다.

녹는다.

탄산칼슘

녹지 않는다.

녹지 않는다.

나프탈렌

녹지 않는다.

녹는다.



-> 알 수 있는 점: 각 액체마다 녹는 가루 물질이 다르다.

2. 용해, 용액, 용질, 용매의 뜻

• 용해: 어떤 두 물질이 골고루 섞이는 현상 (예: 설탕이 물과 골고루 섞여서 설탕물이 되는 것)

• 용액: 어떤 두 물질이 골고루 섞여 있는 것 (예: 설탕물)

• 용질: 녹는 물질 (예: 설탕물 속의 설탕)

• 용매: 어떤 물질을 녹이는 물질 (예: 물)

3. 일상 생활에서 용해 현상을 이용하는 예

• 코코아 가루를 물에 넣어 녹여 마신다.

• 주스가루를 물에 녹여 주스를 만들어 마신다.

• 커피 가루, 설탕 등을 물에 넣어 녹여 마신다.

• 소금을 넣어 음식의 간을 맞춘다.

• 물에 세제를 녹여 빨래한다. 등

4. 물에 설탕 주머니를 넣었을 때의 변화

• 아지랑이처럼 설탕이 녹아 흘러내린다.

• 아지랑이가 물에 퍼진다.

• 설탕 주머니 안에 설탕이 거의 녹아 남은 것이 없다.

• 알 수 있는 점: 설탕이 물에 녹아서 퍼져 있다.

어느 용액이 더 진할까요?

1. 진하기가 다른 설탕 용액의 색깔

설탕의 양

흑설탕

백설탕

5

숟가락

10

숟가락

5

숟가락

10

숟가락

용액의 색깔

연한 갈색

진한 갈색

무색

무색



-> 알 수 있는 점:

• 색이 있는 가루 물질을 녹인 용액의 진하기는 용액의 색이 진할수록 진하고 백설탕을 녹인 용액은 색깔로 진하기를 비교할 수 없다.

• 색이 있는 가루 물질은 색으로 진하기를 비교할 수 있다.

2. 진하기가 다른 설탕물에서 물체가 뜨는 정도

설탕의 양

흑설탕

백설탕

5

숟가락

10

숟가락

5

숟가락

10

숟가락

메추리알의 위치

설탕물 아래로

가라앉아 있다.

설탕물 위에

떠 있다.

설탕물 아래로

가라앉아 있다.

설탕물 위에

떠 있다.



-> 알 수 있는 점

• 진한 용액일수록 메추리알이 떠오른다.

• 물체의 뜨고 가라앉는 정도로 용액의 진하기를 비교할 수 있다.

3. 용액의 진하기를 비교할 수 있는 방법

용액의 색깔

• 색깔이 진할수록 진한 용액이다.

• 색이 있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용액의 맛

• 맛이 진할수록 진한 용액이다.

• 먹을 수 있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물체 이용

• 작은 물체가 위로 떠오를수록 진한 용액이다.

색깔이나 맛으로 용액의 진하기를 구분하기 어려울 때 사용한다.



물에 녹은 설탕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1. 설탕의 용해에 따른 무게 변화

설탕이 물에 용해되기 전의 무게와 조금 용해된 후, 모두 용해된 후의 무게는 같다.

2. 용액의 무게

용질의 무게 + 용매의 무게 = 용액의 무게

설탕(20g) + 물(100g) = 설탕물(120g)

3. 설탕이 용해되기 전과 용해된 후의 무게가 같은 까닭

• 설탕이 용해되면 없어지거나 양이 변하는 것이 아니라, 용액 전체에 골고루 섞여 있기 때문에 무게에는 변화가 없다.

• 용질이 용해되면 그 크기가 매우 작아져서 눈에 보이지 않게 된다.

어떻게 하면 용질을 빨리 녹일 수 있을까요?

1. 용질이 용매에 녹는 빠르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알갱이의 크기

• 저어 주는 빠르기

• 용매의 온도

• 용매의 양

2. 젓는 빠르기에 따른 백반이 녹는 빠르기

• 같게 해야 할 조건: 물의 양, 물의 온도, 백반 알갱이의 크기, 백반의 양 등

• 다르게 해야 할 조건: 물을 저어 주는 빠르기

• 실험 결과: 빠르게 저어 줄수록 백반이 빨리 녹는다.

3. 물의 온도에 따른 백반이 녹는 빠르기

• 같게 해야 할 조건: 물의 양, 백반의 양, 물을 저어 주는 빠르기, 백반 알갱이의 크기 등

• 다르게 해야 할 조건: 물의 온도

• 실험 결과: 물의 온도가 높을수록 백반이 빨리 녹는다.

4. 알갱이의 크기에 따른 백반이 녹는 빠르기

• 같게 해야 할 조건: 물의 양, 물의 온도, 백반의 양, 물의 저어 주는 빠르기 등

• 다르게 해야 할 조건: 알갱이의 크기

• 실험 결과: 알갱이의 크기가 작을수록 빨리 녹는다.

5. 물의 양에 따른 백반이 녹는 빠르기

• 같게 해야 할 조건: 물의 온도, 백반의 양, 물을 저어 주는 빠르기, 백반 알갱이의 크기 등

• 다르게 해야 할 조건: 물의 양

• 실험 결과: 물의 양이 많을수록 백반이 더 빠르게 녹는다.

6. 용질을 용매에 빨리 녹이는 방법

• 물의 양을 많이 한다.

• 물의 온도를 높여 준다.

• 알갱이의 크기를 작게 한다.

• 유리 막대로 빨리 저어 준다.

물의 양에 따라 용질이 물에 녹는 양은 어떠할까요?

1. 물의 양에 따라 녹는 용질의 양

• 탄산수소나트륨(또는 백반)이 물에 다 녹지 못하였을 때, 물을 더 부어 주면 탄산수소나트륨(또는 백반)이 다 녹는다.

• 물의 양이 많을수록 가루 물질이 더 많이 녹는다.

2. 용액에서 물을 증발시켰을 때의 변화

실험 방법

탄산수소나트륨 용액과 백반 용액을 페트리 접시에 담고 햇빛이 잘 드는 창가에 둔다.

• 며칠 동안 나타나는 변화를 관찰한다.

실험 결과

물이 증발하고 하얀 알갱이가 생겼다.

변화가

나타난 이유

물이 증발하여 물의 양이 줄어들어서 녹아 있을 수 없게 된 탄산수소나트륨이나 백반이 다시 생긴 것이다.



물의 온도에 따라 용질이 물에 녹는 양은 어떻게 달라질까요?

1. 물의 온도에 따라 녹는 양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 계획

같게

해야 할

조건

용질 알갱이의 크기, 물의 양, 물을 젓는 빠르기 등

다르게

해야 할

조건

물의 온도

측정해야

하는 것

용질이 녹는 양



2. 물의 온도에 따라 녹는 용질의 양

• 용매의 온도가 높아지면 용질의 녹는 양이 많아진다.

• 같은 양의 물이라도 온도를 높이면 더 진한 용액을 만들 수 있다.

3. 붕산과 백반이 녹은 따뜻한 용액을 얼음물에 넣었을 때의 변화

• 시간이 지나면서 흰색 알갱이가 생긴다.

• 알갱이가 생기는 이유

- 용액의 온도가 낮아지면서 가루 물질이 많이 녹아 있을 수 없기 때문에 가루 물질이 다시 생긴 것이다.

결정을 만들어 볼까요?

1. 결정 만드는 방법

① 소금, 백반, 황산구리 등의 가루 물질을 뜨거운 물에 최대한 녹여 진한 용액을 만든다.

② 진한 용액을 페트리 접시에 조금 붓고 종이로 덮어 며칠 동안 놓아둔다.

③ 남은 용액이 담긴 비커에는 헝겊을 덮고 종이 상자 속에 며칠 동안 넣어 둔다.

2. 여러 가지 모양의 결정

• 백반 결정: 무색투명하며 정팔면체 모양

• 소금 결정: 무색투명하며 정육면체 모양

• 황산구리 결정: 푸른색을 띠며 납작한 직육각형 기둥 모양

3. 결정이 생기는 이유

용매의 온도가 낮아지면 녹을 수 있는 용질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녹아 있던 용질이 결정으로 만들어진다.

 

고무동력수레 경주하기

1. 고무동력수레 만드는 방법

플라스틱 음료수병 바닥에 구멍을 뚫는다.

② 플라스틱 음료수 병 두 개 중 한 개를 가위로 자른다.

③ 고무줄 4개를 서로 연결하고 한 쪽은 클립을 다른 쪽은 철사를 연결한다.

④ 플라스틱 음료수병의 구멍에 철사를 통과시키고, 나무젓가락을 연결한다.

셀로판테이프로 클립을 몸통에 고정시킨다.

2. 고무동력수레 경주하기

① 고무동력수레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지 생각해 본다.

② 고무동력수레로 어떤 경기를 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본다.

예) 일정한 거리 빨리 달리기, 일정한 시간에 멀리 달리기, 목적지 근처에 가까이 가기 등

운동이란 무엇이며, 운동은 어떻게 나타낼까요?

1. 운동하는 것을 알 수 있는 방법

처음의 기준과 비교했을 때 시간이 지나면서 자동차의 위치가 바뀌면 운동한다고 할 수 있다.

• 처음의 기준과 비교했을 때 시간이 지나면서 자동차의 위치가 바뀌지 않으면 운동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2. 운동이란?

• 시간에 따라 물체의 위치가 변하는 것을 말한다.

• 물체가 운동하는데 걸린 시간과 위치 변화로 물체의 운동을 나타낸다.

일정한 거리를 이동한 물체들의 빠르기는 어떻게 비교할까요?

1. 50m 달리기에서 빠르기 비교하기

• 운동장에 50m 트랙을 그린다.

• 모둠에서 한 사람씩 50m를 달린다.

50m를 달리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한다.

2. 일정한 거리를 이동한 물체의 빠르기 비교

일정한 거리를 이동한 물체들의 빠르기는 이동하는 데 걸린 시간으로 비교할 수 있다.

• 일정한 거리를 이동하는 데 이동 시간이 적게 걸릴수록 더 빠르다고 할 수 있다.

• 일정한 거리를 이동하는 데 이동 시간이 오래 걸릴수록 더 느리다고 할 수 있다.

3. 일상생활에서 일정한 거리를 이동하는 데 걸린 시간으로 물체들의 빠르기를 비교하는 예

• 100m 달리기

• 마라톤

• 수영

• 경마

• 쇼트트랙

• 자동차 경주 등

일정한 시간에 이동한 물체들의 빠르기는 어떻게 비교할까요?

1. 고무동력수레의 빠르기를 비교하는 방법

① 색테이프를 이용하여 트랙을 그린다.

② 고무동력수레를 출발선에 놓고 동시에 출발 시킨다.

③ 일정한 시간 동안 고무동력수레가 이동한 거리를 가는 막대로 표시한다.

④ 줄자를 이용하여 고무동력수레의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2. 일정한 시간에 이동한 물체의 빠르기 비교

• 일정한 시간에 이동한 물체들의 빠르기는 이동 거리로 비교할 수 있다.

• 일정한 시간에 이동하는 데 이동 거리가 길수록 속력이 더 빠르다.

• 일정한 시간에 이동하는 데 이동 거리가 짧을수록 속력이 더 느리다.

물체들의 빠르기를 속력으로 나타내어 비교해 볼까요?

1. 이동 거리와 이동 시간이 모두 다른 물체들의 빠르기를 아는 방법

• 종목을 정하고 종목별로 거리를 다르게 하여 달리기를 한다.

종목별로 걸린 시간을 측정하여 기록한다.

2. 속력이란?

• 속력 : 물체의 빠르기, 즉 일정한 시간 동안 움직인 거리를 말한다.

• 속력을 구하는 방법

속력 =

속력의 단위 : m/초, km/

단위가 다른 물체들의 속력은 어떻게 비교할까요?

1. 단위가 다른 물체들의 속력을 비교하는 방법

속력의 단위를 같게 한 다음 빠르기를 비교한다.

2. 속력의 단위 바꾸는 방법

km/h ⇒ m/s 일 때



• km는 1,000m이므로 km에 1,000을 곱하면 m가 된다.

• 시간은 3,600초이므로 시간에 3,600을 곱하면 초가 된다.

m/s ⇒ km/h 일 때



초에 3,600을 곱하면 1시간이 된다.

분자, 분모에 같은 수를 곱해도 그 수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분자, 분모에 3,600을 곱한다.

물체들의 빠르기를 그래프로 나타내어 비교해 볼까요?

1. 그래프란?

• 측정한 값을 한눈에 알기 쉽게 나타낸 도표를 말한다.

• 그래프에서 선분이 기울어진 정도를 기울기라고 한다.

2. 거리-시간 그래프 해석하기

• 물체의 빠르기는 선분이 기울어진 정도로 비교할 수 있다.

• 선분이 기울어진 정도가 클수록 속력이 더 크다.

물체의 속력과 우리 생활과의 관계를 알아볼까요?

1. 교통안전을 위한 노력

• 과속 방지 턱을 설치한다.

• 신호등을 설치한다.

• 과속 단속 카메라를 설치한다.

• 교통 표지판을 설치한다.

• 안전띠 착용을 의무화한다.

• 교통안전 캠페인을 실시한다. 등

2. 교통 표지판의 종류와 의미

관찰자에 따라 물체의 속력은 어떻게 달라질까요?

1. 운동의 상대성(달리는 차 안에서 물체들을 볼 때)

• 물체의 속력은 관찰자에 따라 상대적이기 때문에 다르게 보이며 이를 운동의 상대성이라고 한다.

멈춰있는 물체: 뒤로 가는 것처럼 보인다.

• 같은 방향과 같은 속력으로 달리는 물체: 정지한 것처럼 보인다.

같은 방향으로 더 느린 속력으로 가는 물체: 뒤로 가는 것처럼 보인다.

• 반대 방향으로 가는 물체: 원래의 속력보다 더 빠른 속력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1. 재미있는 과학

행성과 별자리 찾기 놀이를 하여 볼까요?

1. 별과 행성

① 별: 스스로 빛을 내는 것

② 행성: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고 별 주위를 돌고 있는 것

2. 과학 실험방

태양계의 구성과 태양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볼까요?

1. 태양계의 구성 요소

① 태양: 스스로 빛을 내는 별

② 행성: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고 태양 주위를 돌고 있는 천체

③ 위성: 행성 주위를 돌고 있는 작은 천체

소행성: 행성 사이를 움직이는 작은 천체

⑤ 혜성: 태양 주위를 돌아서 멀리 태양계 밖까지 나갔다가 다시 돌아오는 천체

2. 태양계 행성의 종류와 특징

수성

①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행성

② 태양계 행성 중에서 가장 작음.

금성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진 두꺼운 대기를 가지고 있음.

지구

물이 있어 생명체가 있음.



화성

① 지구의 바로 바깥쪽을 돌며 붉은색임.

② 여러 개의 대형 화산과 협곡이 발견되었음.

목성

① 가장 큰 행성으로 동서 방향의 줄무늬가 있음.

② 많은 위성을 갖고 있음.

토성

두 번째로 큰 행성이며 여러 개의 고리가 있음.

천왕성

① 거의 누워서 자전함.

② 여러 개의 고리가 있음.

③ 많은 위성을 갖고 있음.

해왕성

① 태양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음.

② 푸른색으로 보이며 많은 위성을 가지고 있음.



3. 태양이 소중한 까닭

① 식물이 광합성을 하여 영양분을 만들게 해 준다.

② 생물이 자라는 데 알맞은 온도를 유지해 준다.

③ 생활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한다.

태양계 행성의 크기를 비교해 볼까요?

1. 태양계 행성의 크기를 비교하는 방법

지구의 반지름을 1로 보았을 때, 태양과 행성의 크기를 종이에 그려서 비교한다.

명칭

반지름

명칭

반지름

명칭

반지름

태양

109

지구

1

토성

9.4

수성

0.4

화성

0.5

천왕성

4.0

금성

0.9

목성

11.2

해왕성

3.9



2. 태양계 행성의 크기 비교

① 지구와 크기가 가장 비슷한 행성: 금성

② 지구보다 큰 행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③ 지구보다 작은 행성: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지구 금성 화성 수성

크다 작다

태양에서 행성까지의 거리를 비교하여 볼까요?

1. 태양에서 행성까지의 거리 비교하기

태양에서 가까운 행성 순서: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②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행성: 금성

③ 태양에서 멀어질수록 행성들 사이의 거리는 멀어진다.

2. 태양계 행성의 움직임

태양계의 모든 행성은 자전과 공전을 한다.

② 태양계 행성의 공전 방향: 북반구를 기준으로 공전 방향은 모두 시계 반대 방향이다.

③ 태양에서 멀어질수록 공전하는 시간이 길어진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과학 교과서 단원이 끝날 때마다 요점 정리하는 부분이 있어요.

중욯나 것만 나오기도 하고 선생님도 그부분을 중요하게 생각하실 것 같아요.

답이 안 나오는 부분이 있으니 교과서에서 찾다 보면 공부도 되고 좋을 거에요.

잘 모르겠으면 문제집 찾아보면 다 나오죠.

 

우공비 자습서 완전 추천합니다.~.

 

내용 정리 정말 잘 되어 있어요.^^

5학년 2학기 과학 단원별 요점

5학년 2학기 과학 단원별 요점 정리좀 해주세요요!! 내공 80겁니다 5학년 2학기 과학 1단원-우리 몸 몸속의 여러 가지 기관 1.소화기관 2.순환기관 3.호흡기관 4.배설기관 5.신경계...

5학년 2학기 수학 단원별 요점과...

... 『5학년 2학기 사회 요점정리』No.1 5학년 사회 요점정리 『5학년 2학기 사회... 이걸로 외우세요^^ 과학 3단원 요점정리 물체의 운동 나타내기 물체의 운동을 나타낼 때에는...

5학년 2학기 과학 요점정리.....

... 많은도움 되시길~~^^ (부족하시다면 EBS에 자세히나와있으니깐 참고하셔두 좋구요 네이버검색창에다가 5학년2학기과학요점정리라구치시면 어느정도 나올거에요..)

5학년 2학기 과학 2.생물과 환경 요점 정리

5학년 2학기 과학 2단원 요점 정리해주세요 생태계의 구성요소,생물요소의 분류,생물(생태계)와 관련된 단어와 단어의 뜻이요 부탁드려요 ㅠ̑̈ㅠ̑̈ 내일 시험이어서 오늘...

5학년 2학기 과학 요점 정리좀,,

저기 죄송하지만 과학 5학년 2학기 과학요점 정리좀 주세요ㅣ, 제발,,, 내공 50ㅇㅣ예 요 과학 용액의 성질 -산성용액: 식초 ,사과, 레몬, 위액, 염산, 탄산음료 2-염기성용액...

5학년2학기 과학요점

... 과학만 남았는데요..'''' 도대체 이건 요점정리하기가 왤케 어렵는지........ 그래서... 제발 제발~~~ 5학년 2학기 과확 5단원끝까지나 4단원끝까지의 요점정리를 부탁드립니다....

5학년 2학기 과학 1~6단원 요점정리...

... 많은도움 되시길~~^^ (부족하시다면 EBS에 자세히나와있으니깐 참고하셔두 좋구요 네이버검색창에다가 5학년2학기과학요점정리라구치시면 어느정도 나올거에요..)

5학년2학기 과학 요점정리좀........

5학년2학기 과학 요점정리좀 부탁드려요!!!! 이제 시험이5일 밖에 안되서 과학좀부탁드려욧!!! 과학에 좀 약해서;;;;; 과학 3단원 요점정리 물체의 운동 나타내기 물체의 운동을...

5학년2학기과학 1단원~5단원까지...

5학년2학기 과학 1단원~5단원까지 총정리 / 요점정리. 오늘 9시안까지 올려주세요. 1.환경과 생물 2.용액의 성질 3.열매 4.화산과 암석 5.용액의반응 외우기 쉽고 간단하고...

초등학교 5학년 2학기 과학 요점정리

5학년 2학기 과학 2단원 용액의 성질 요점정리 좀 자세히 해주세여>< http://member.wisecamp.com/joinWise/join_member_free.asp?coupon_no=2006-teac-637 ● 물과 아세톤에 가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