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파주에대해 조사를 하는데..[내공 100]

파주!! 파주에대해 조사를 하는데..[내공 100]

작성일 2012.08.01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제가 파주에 대해 조사를 하는데요..

파주에 대해 아는것 모두! 답변 바랄게요ㅠ

내공 100갑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파주시에 대하여 자세하게 올려드립니다.

 

1.위치


경기도 서북단의 동경 126°41'∼127°01', 북위 37°42'∼38°07'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은 양주시, 서쪽은 남부는 한강을 경계로 김포시와, 북부는 임진강을 경계로 개풍군과 접하고 있다. 그리고 남쪽은 고양시, 북쪽은 연천군에 접하고 있다.


2.면적 : 672.47㎢

 

3.인구 (2012년 6월 30일 현재)

 

 

  


4.지형 

 
마식령산맥의 말단부에 속하고 북서쪽에는 임진강이 서남류하고 있어 동고서저의 지형적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5.산

 

동쪽에는 감악산(紺嶽山, 675m)·노고산(401m)·금병산(293m)·팔일봉(464m)·앵무봉(622m)이 양주시와, 남쪽에는 황룡산(135m)·명봉산(248m) 등이 고양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중앙에는 파평산(496m)·봉서산(216m)·월롱산(229m)·박달산(368m) 등이 남쪽으로 가면서 낮게 펼쳐져 있다.

 

6.강·하천

 
주요 하천으로는 북서쪽과 서쪽 경계를 흐르는 임진강과 서남쪽을 흐르는 한강이 있다. 임진강 지류로 서남류하는 남월천과 북서류하는 문산천, 서류하는 곡릉천 등이 있는데, 이들 하천이 지나는 시의 서쪽에는 해안 평야가 넓게 전개되어 곡창지대를 이룬다.

 

임진강 하류지역은 만조 때 바닷물이 밀려들어와 탄현면과 장단면의 하안가에 넓은 간석지가 발달하고 있다. 해수의 피해가 자주 일어나고 홍수시에는 만조시기와 겹치면 문산읍까지 해일피해를 입히기도 하였으나 인공방조제의 건설로 피해가 많이 감소되었다.

 

7.지질


지질은 시생대에 속하는 운모편마암·편마암 그리고 석회암이 분포하고 있다.

 

8.기후


기후가 온화하고, 연평균기온 10.3℃, 1월 평균기온 -4.0℃, 7월 평균기온 24.7℃이며, 연평균강수량은 1,210mm이다.

 

(파주의 문화재)

 

1.용미리 석불입상

 

종 목  보물  제93호 
지 정 일 1963.01.21
소 재 지 경기 파주시  광탄면 용미리 산8 
시 대 고려시대


거대한 천연 암벽에 2구의 불상을 우람하게 새겼는데, 머리 위에는 돌갓을 얹어 토속적인 분위기를 느끼게 한다.

 

자연석을 그대로 이용한 까닭에 신체 비율이 맞지 않아 굉장히 거대한 느낌이 든다. 이런 점에서 불성보다는 세속적인 특징이 잘 나타나는 지방화된 불상이다. 왼쪽의 둥근 갓을 쓴 원립불은 목이 원통형이고 두손은 가슴앞에서 연꽃을 쥐고 있다. 오른쪽의 4각형 갓을 쓴 방립불은 합장한 손모양이 다를 뿐 신체조각은 왼쪽 불상과 같다.

 

지방민의 구전에 의하면, 둥근 갓의 불상은 남상, 모난 갓의 불상은 여상이라 한다.

 

고려 선종이 자식이 없어 원신궁주까지 맞이했지만, 여전히 왕자가 없었다. 이것을 못내 걱정하던 궁주가 어느날 꿈을 꾸었는데, 두 도승이 나타나 ‘우리는 장지산 남쪽 기슭에 있는 바위 틈에 사는 사람들이다. 매우 시장하니 먹을 것을 달라’고 하고는 사라져 버렸다. 꿈을 깬 궁주가 하도 이상하여 왕께 아뢰었더니 왕은 곧 사람을 장지산에 보내어 알아 오게 하였는데, 장지산 아래에 큰 바위 둘이 나란히 서 있다고 보고하였다. 왕은 즉시 이 바위에다 두 도승을 새기게 하여 절을 짓고 불공을 드렸는데, 그 해에 왕자인 한산후가 탄생했다는 것이다.

 

이 불상들은 고려시대의 조각으로 우수한 편은 아니지만, 탄생설화가 있는 점 등을 미루어 볼 때 고려시대 지방화된 불상양식을 연구하는 귀중한 예로 높이 평가된다. 


2.공효공 박중손 묘역 내 장명등

 

종 목  보물  제1323호 
지 정 일 2001.09.21
소 재 지 경기 파주시  탄현면 오금 2리 산19 
시 대 조선시대


공효공 박중손과 정경부인의 묘 앞에 있는 2기의 장명등이다. 박중손(1412∼1466)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여러 벼슬을 지냈으며 특히 천문을 관찰하는데 뛰어난 재능이 있었다. 그의 부인인 정경부인 남평 문씨는 공조정랑 문승조의 딸이다.

 

2기의 장명등은 각각 2개의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하나는 받침대인 대좌와 불을 밝히는 화사로 이루어져 있고, 다른 하나는 지붕돌인 옥개석과 그 위에 연꽃봉우리 모양의 보주로 구성되었다. 공효공 박중손 묘 앞 장명등의 앞면과 뒷면 화창 모양은 사각형이나 동쪽의 화창은 동그란 원형이며 서쪽의 화창은 반달모양으로 화창의 모양이 매우 특이하다. 화창의 사각형은 땅을, 원형은 해를, 반달모양의 화창은 달을 각각 상징한다. 정경부인 묘 앞의 장명등은 박중손 묘 앞 장명등보다 전체적으로 가늘고 긴 모양을 하고 있다. 화창은 4면 모두 사각형으로 만들어 서로 비교가 된다.

 

이 장명등은 화사석과 대좌가 하나의 돌로 만들어졌고, 특히 화창의 모양이 각각 땅과 해, 달을 상징하여 매우 독특하다. 이러한 특수한 수법과 형태의 장명등은 매우 희귀한 예로서 역사적, 학술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3.덕은리 주거지 및 지석묘군

 

종 목  사적  제148호 
지 정 일 1966.03.22
소 재 지 경기 파주시  월롱면 덕은리 산46 
시 대 청동시대


지석묘는 청동기시대 사람들이 만든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하는데, 지상에 책상처럼 세운 탁자식(북방식)과 큰 돌을 조그만 받침돌로 고이거나 판석만을 놓은 바둑판식(남방식)이 있다.

 

경기도 파주 덕은리에서는 20여 기의 탁자식 고인돌과 선사시대 사람들이 살았던 터가 함께 발견되었다. 가장 큰 고인돌의 덮개돌 길이는 3.3m, 너비 1.9m로 조개날돌도끼(양인석부)와 숫돌 등이 나왔다. 그 아래에서는 선사시대 긴 네모꼴의 움집터가 나왔는데 깊이 40∼90㎝, 길이 157㎝, 너비 370㎝에 이른다. 벽을 따라 작은 기둥 구멍이 있고, 화덕자리가 2개가 있다. 벽이 불에 탄 자국과 바닥의 재로 보아 집이 불에 타 무너진 것으로 보인다. 집안에서는 구멍무늬토기(공열토기), 간돌칼(마제석검), 돌도끼(석부), 가락바퀴를 비롯한 여러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긴 네모꼴 집터는 서울 역삼동, 파주 교하리 유적에서도 보이는 형태이다.

 

집터의 연대는 B·C 7세기경으로 보고 있는데, 이는 고인돌이 B·C 7세기 이후에 만들어 졌다는 것을 알려준다. 


4.장릉

 

종 목  사적  제203호 
지 정 일 1970.05.26
소 재 지 경기 파주시  탄현면 갈현리 산25-1 
시 대 조선시대


조선 16대 왕인 인조(재위 1623∼1649)와 부인 인열왕후(1594∼1635)의 무덤이다.

 

인조는 광해군 때 인조반정(1623)을 통해 왕위에 올랐으나 이괄의 난(1624), 정묘호란(1627)과 병자호란(1636) 등 시련이 있었고, 백성의 삶이 어려워지자 강원도에 대동법(1623)을 실시하였다.

 

장릉은 인조가 왕위에 있을 때 정한 파주 북운천리에 있었으나, 뱀과 전갈이 석물 틈에 집을 짓고 있어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왕과 왕비가 합장된 무덤 형태이다. 전통적인 십이지신상이나 구름무늬가 아닌 모란무늬와 연꽃무늬가 새겨진 병풍석이 무덤을 두르고 있다.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돌로 된 등인 장명등에도 모란무늬와 연꽃무늬가 새겨 있는데 이는 17세기 석물문양의 특징을 보여주는 예이다. 


5.파주삼릉 (공 · 순 · 영릉)

 

종 목  사적  제205호 
지 정 일 1970.05.26
소 재 지 경기 파주시  조리읍 봉일천리 산4-1 
시 대 조선시대


조선 8대 예종의 원비인 장순왕후(1445∼1461)의 무덤이다. 장순왕후는 한명회의 딸로 1460년에 세자빈에 책봉되었으나 이듬해 죽었다.

 

공릉은 처음에 왕후릉이 아닌 세자빈 무덤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병풍석, 난간석, 망주석은 없다. 다만 양석과 둘레돌을 둘러 무덤을 보호하게 하였다. 문인석의 옷주름 등이 조선초기의 양식을 따르고 있으나 서툴게 만들어졌다

 

순릉은 성종의 원비 공혜왕후(1456∼1474)의 무덤으로 공혜왕후는 왕비로 봉해진 후 5년 뒤에 세상을 떠났다. 무덤 밑둘레에는 12칸의 난간석이 둘러져 있고 양석, 호석, 망주석 등의 석물이 서 있다. 난간석에 표현된 작은 기둥은 건원릉과 태종의 헌릉을 본받은 것으로 조선 초기 무덤에 쓰인 석물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영릉은 죽은 후에 왕으로 봉해진 영조의 첫째 아들 효장세자와 부인인 효순왕후(1715∼1751)의 무덤이다. 왕릉과 비릉은 쌍릉으로 병풍석과 난간석은 세우지 않았으나, 석상을 앞에 두었다. 장명등은 중간에 배치하였으며 무덤 밑둘레에 양석과 호석을 둘러 무덤을 보호하게 하였다. 무덤 아래의 정자각은 영조의 명에 의해서 옛날 방식으로 세웠다.

 

공릉은 1층, 2층의 구분이 없으며, 무덤 아래에 있는 붉은 문에서 무덤에 이르는 길을 참도라 하는데 원래는 직선으로 만들어진 것이 일반적인 예이나 이 무덤은 지형조건에 의해서 중간지역에서 꺾였다. 중간지역이 꺾인 참도는 조선왕릉 중 공릉뿐이다.


 

6.윤관장군 묘

 

종 목  사적  제323호 

지 정 일 1988.02.27
소 재 지 경기 파주시  광탄면 분수리 산4-1 
시 대 고려시대


고려 중기의 문신인 윤관(?∼1111)의 무덤이다. 그는 고려 문종(재위 1046∼1083) 때 문과에 합격하였고, 숙종 9년(1104)에 ‘동북면행영병마도통’이 되어 국경을 침입한 여진과 싸웠으나 패하였다. 그 후 여진정벌을 위해 별무반을 편성해 예종 2년(1107)에 여진을 정벌한 후 9성을 쌓았다.

 

윤관의 무덤은 어디에 있는지 명확히 알 수 없었으나, 조선 영조 23년(1747) 후손들이 지금의 자리임을 주장하여 영조 40년(1764)에 공인되었다. 윤관 장군묘 주변에는 후대에 세워진 비석과 석등이 있다. 위패는 예종의 사당에 함께 모셔졌고, 고려 태조와 충의공신을 모신 숭의전에서 함께 배향되었다. 

 

7.오두산성

 

종 목  사적  제351호 
지 정 일 1991.08.24
소 재 지 경기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 산86외 
시 대 백제


오두산의 정상을 둘러싼 길이 620m의 백제 성이다.

 

경사가 가파르고 서쪽은 임진강, 남쪽은 한강·동쪽은 농경지·북쪽은 산으로 이어진다. 성벽은 서쪽 부근이 잘 남아있다.

 

성벽 쌓기 수법을 보면 밖으로는 위로 올라가면서 돌을 안으로 들여 쌓고, 성벽 내부는 돌로 채웠다. 이러한 성곽의 형태는 백제 성곽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된다.

 

광개토대왕릉비와 『삼국사기』백제본기에 나오는 관미성이 이 바로 오두산성이라는 주장이 있으며,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는 이곳을 관미성이라 기록해 더욱 주목 받고 있다.


 

8.소령원

 

종 목  사적  제358호 
지 정 일 1991.10.25
소 재 지 경기 파주시  광탄면 영장리 267외 
시 대 조선시대


조선 19대 숙종(재위 1674∼1720)의 후궁이며 21대 영조(재위 1724∼1776)의 어머니인 숙빈최씨의 무덤이다.

 

숙빈최씨는 최효원의 딸이며 숙종 44년(1718)에 49세로 죽었다. 효심이 지극했던 영조는 최씨의 무덤 근처에다 막을 짓고 무덤를 받들었으며, 친필 비와 비각을 4곳에 세웠다. 위패는 조선시대 역대왕이나 추존된 왕의 생모인 7명의 후궁을 모신 칠궁 중 육상궁에 모셨다.

 

무덤 주변에는 여러 석물들이 있으며 정자각이 있다.


 

9.수길원

 

종 목  사적  제359호 
지 정 일 1991.10.25
소 재 지 경기 파주시  광탄면 영장리 266외 
시 대 조선시대


조선 21대 영조(재위 1724∼1776)의 후궁인 정빈이씨(1693∼1720)의 무덤이다. 정빈이씨는 영조의 맏아들인 효장세자(진종:정조의 양아버지)를 낳았다.

 

무덤 주변를 둘러싸는 담장(곡장)이 있으며, 비석과 문인석을 비롯하여 여러 석물들이 있다. 위패는 조선시대 역대 왕이나 추존된 이의 생모인 후궁들의 위패를 모신 칠궁의 하나인 연호궁에 안치되어 있다. 


10.가월리 및 주월리 구석기유적

 

종 목  사적  제389호 
지 정 일 1994.12.21
소 재 지 경기 파주시  적성면 가월리 산95-6외, 주월리 309외 
시 대 석기시대


파주 가월리와 주월리에 있는 구석기시대 유적이다. 이 유적은 연천 전곡리 유적과 이어지는 한탄강-임진강 유역의 구석기 유적 가운데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구석기시대란 처음 인류가 등장한 때부터 약 1만년 전까지의 시기를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구석기시대 유적이 발견되기 시작한 것은 1963년 이후의 일이다.

 

발굴조사 결과 4∼5만년 전에 사람들이 살았던 곳으로 생각되며, 출토 유물에는 양면 가공석기(주먹도끼), 찍개, 긁개, 몸돌 따위와 크고 작은 석기재료들이 있다. 이 유물들은 무엇보다 당시 도구 제작과정을 알 수 있게 하는 자료들이다.

 

이곳은 석기가 집중해서 발견되는 문화층이 있어 매우 중요하다. 전곡리 유적과 함께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 구석기시대 연구에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는 곳이다. 


11.칠중성

 

종 목  사적  제437호 
지 정 일 2002.01.29
소 재 지 경기 파주시  적성면 구읍리 산148외 
시 대 삼국시대


칠중성은 해발 147m의 중성산 정상부와 그 남서쪽에 위치한 해발 142m의 봉우리를 연결하여 축조한 테뫼식산성으로 전체 둘레는 603m이고 남북 폭은 198m, 동서 폭은 168m이다. 전체 높이는 북동쪽이 가장 높고 서벽에 비해 동벽 부분이 현저히 낮은 형태를 보이고 있다.

 

임진강 중류의 남쪽 연안에 위치하고 있어 관서지방과 한강유역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로 삼국시대에 많은 전투가 있었다. 신라와 고구려의 전쟁이 이 성을 중심으로 시작되었고, 신라의 삼국 통일 전쟁시 나당연합군에 의한 고구려 침공 때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을 뿐만 아니라 통일 이후에는 신라와 당나라와의 전투에서 그 역할이 매우 컸던 산성이다.

 

지표조사(2000.10.27∼2001.1.15) 결과 문지 3개소, 건물지 5개소, 우물지 2개소 등이 남아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칠(七)자명의 평기와와 고구려, 백제, 신라시대의 유물이 다량으로 출토되는 등 우리나라 고대사의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사적·학술적으로 중요한 유적이다. 


12.혜음원지

 

종 목  사적  제464호 
지 정 일 2005.06.13
소 재 지 경기 파주시  광탄면 용미4리 234-1 일원 
시 대 고려시대


『동문선』 권 64 기 「혜음사신창기」는 혜음원의 창건배경과 그 과정, 창건과 운영의 주체, 왕실과의 관계 등을 기록하고 있는 문헌이다. 이에 의하면 혜음원은 남경과 개성간을 통행하는 관료 및 백성의 안전과 편의를 위하여 고려 예종 17년(1122)에 건립된 국립숙박시설이며 국왕의 행차에 대비하여 별원(別院)도 축조되었다고 전한다.

 

고려 및 조선시대에 중요한 교통로로 이용되었던 혜음령이라는 명칭의 유래에서 그 위치가 추정되어 오다가 1999년 주민의 제보에 의해 행해진 조사에서 「혜음원」이라고 새겨진 암막새가 수습됨에 따라 현재의 위치를 확인하게 되었으며 이로부터 2004년까지 지속적으로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전체 경역은 원지, 행궁지, 사지로 구성되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현재까지의 발굴조사 결과, 동서 약 104m, 남북 약 106m에 걸쳐 9개의 단(段)으로 이루어진 경사지에 27개의 건물지를 비롯하여 연못지, 배수로 등의 유구와 금동여래상, 기와류, 자기류, 토기류 등의 많은 유물이 확인되었다.

 

혜음원지는 문헌과 유구, 유물을 통해 원의 구조와 형태, 운영실태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왕실, 귀족, 평민 등 각 계층의 생활양식을 전해주는 유적으로서 고려 전기 건축 및 역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파주에대해 조사를 하는데..[내공 100]

제가 파주에 대해 조사를 하는데요.. 파주에 대해 아는것 모두! 답변 바랄게요ㅠ 내공 100갑니다! 파주시에 대하여 자세하게 올려드립니다. 1.위치 경기도 서북단의 동경 126...

하프물범에대해 조사할려고 하는데...

제가 교내 관찰탐구대회때 하프물범에대해 조사할려고 하는데 하프물범이 흔하지가 않아서요ㅠㅠ 그래서 내공100걸고 자세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당^^~~ 털색은 은색...

우리 고장 파주 문화재 조사하기

... 고장 파주 문화재 조사하기만 하기로 하면 되는데 프린트로 할라고 하는데 프린터기는 있어요. 그런데 프린트... 오늘 안에 빨리 답변해 주시길 바랍니다^^ 내공100드...

파주3현 조사

... 그러시면 내공 100%!!!!!!!!!! 파주3현 조사 부탁드립니다!!!!!!!!!!!!11 안녕하세요. 질문... (理氣四端七情人心道心說)'에 대해 논쟁하기도 하였다. 1576년(선조 9) 무렵 동인과...

크로마토 그래피에 대해 조사하는데요..

얇은막 크로마토 그래피(TCL)에대해 조사하는데요 목적. 이론. 실험 과정등을... 알려주세여ㅜㅜ 내공100!! 크로마토그래피에는 종이크로마토그래피,얇은막크로마토그래피...

지진에 대해 조사.. 내공 100겁니다.....

... 것을 조사해오라고 하시는데여.. 이왕이면 바로 옮길 수... 분한테 내공 100드립니다.. 월요일에 학교가야 되니까... 그러나 중기·단기예지를 하는 데는 지진에 따라...

겨울방학직업에대해조사 내공100

... 좀자세한 내용이 있으면 합니다 내공100 안녕하세요.... 18세기는 ‘의사의 사회적 지위의 황금시대’라 하는데... 의료법상의 의료인은 의사·치과의사·한의사·조산사...

[내공 100 ][경복궁 영제교의 서수]에...

... ☆☆☆ ☆☆☆[경복궁 영제교의 서수]에 대해 조사해 주세요!!!!!!!!!☆☆☆ 내공 100입... 이것을 서수라고 하는데 서수란 벽사와 길상을 상징하는 동물이다. 영제교의 서수는...

(경기도 파주)의 뜻이 뭐죠?'(내공 100겁...

... 들어 파주지역은 경기(京畿)에 속하는데 본래 경(京)은... 백연리·정자리·조산리·읍내리·송산리·공덕리... 고려에 대한 원의 압력이 증대해 감에 따라 원의 세력을 등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