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 시키는 방법과 시킬 만한 것

우리나라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 시키는 방법과 시킬 만한 것

작성일 2012.02.02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학교 숙제인데 내일 까지에요ㅠ

우리나라 전통문화를 계승발전 시키는 방법이랑 계승발전 시킬 만한 전통문화 하나만 골라주세요ㅠ

빨랑!

내공 100 걸어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전통문화보존방법

 

 

1) 문화재의 가치를 알고 아끼는 마음을 갖는다.

 

2) 문화재 관람 규칙을 반드시 지킨다. 문화재를 관람할 때는 손 을 대어 만져 보거나 허가없이 들어가 사진을 찍지 않는다.

 

3) 문화재 주변을 청결히 한다.

 

4) 우리의 것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가짐을 갖는다.

5) 전통문화 공연장이나 전시장을 관람하여 우리의 문화와 친숙 해지도록 노력한다. 
6) 우리의 전통 악기나 민요를 배우도록 한다

 

1 우선 자기 지역의 문화유산을 관심을 갖고 깨끗하게 청소도 하고 주위에게 알린다
2 우리나라의 문화를 세계에 알리기 위해 여러방면으로 광고를 만든다 예를 들어
영어로 된 표지판이나 싸이트에 들어가서 게시판에 알린다
3 친구들과 결합해서 문화박물관이나 그런 곳에 가서 견습하고 배워서 상식을 풍부히 쌓아둔다
4 외국인이 오면 친절하게 우리문화를 알리고 설명해준다
5 전통문화를 만히 배운다 예를 들어 차다려서 따르는 방법 한복 입는 방법
집애서 명절날 제사하는 방법을 동영상을 찍는 다던가 하는 식으로 우리 주위에서 할수 있는것을 많이 모아둔다

 

 

1 대구의 비산농악!

비산농악은 날뫼마을이라 불리는 현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 일대에서 자생한 농악놀이다.옛날부터 날뫼마을 주민들이 신앙해 오던 동제당에서 정월상원에 행하던 당산제에 그 모태를 두고 발젓해 온 것 같다. 비산 이라는 지명이는 다음과 같은 유래 전설이 있다. 아득한 옛날 달내(달천 달서천)의 냇가에서 빨래하던 여인이 서족 하늘의 요란한 풍악소리를 듣고 바라보니, 하늘에서 산이 날아오고 있어 여인이 이를보고 놀라 동산이 날아온다고 비명을 질렀더니 날아오던 산이 당에 떨여져 동산이 되었다는 것이다. 현재의 대구광역시 비산동의 지명은 여기에서 연유한 것이라 한다. 이 전설은 날뫼마을의 기원설화로 우리나라 상고의 신모신앙에 뿌리를 두는듯한 지명절설이다. 떠 현재의 비산동의 원고개는 달성과 금호강 사이의 넓은 들을 가로지르는 서울나들길이었고 기록에는 대구의 관도로 나타나 있다. 비산농악은 정월상원의 당산제의 지신풀이 뿐만 아니라, 이 원고개를 오고가던 원님의 행차 때에도 풍물을 울리며 놀았다고 고로들은 전한다.

우리나라 전통음악을 계승(발전)시킬 수...

... 우리나라전통음악을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과 근거... 이유:전통음악을 발전시키려면 대중화 시키는 편이 더욱... 드시는 쓰시면 될 같네요 :) 답변이 좋으셨다면...

국악을 계승,보전,발전 시키는방법

... 저희국악을 계승하고 보전하고 발전 시키는 방법을... 무형문화재 국악공연을 보러 가는 또한 마찬가지 입니다 이런식으로, 관심없고 지루해하던 우리 음악과 조금씩...

강원도의 전통문화

... 강릉단오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역사가 깊은 축제로... 11만 시민의 화합을 다지고 전통문화를 계승하는... 이속시키는 대신 경기도의 이천을 강원도로 이속하였으며...

명절을 계승 . 발전시키는 방법?

... 있는데 우리나라전통이고 하니 해라~ 라고 하는건 그냥.... 멍청한 소리 같습니다. 오히려 그런 문화를 기존의 사람들의 생활과 상황에 맞춰 다른걸로 발전하는게 낫다고...

우리나라문화조사

... 우리나라의 자랑거리는 아주 많습니다 먼저 세계에 자랑할 만한 우리 문화는 창덕궁,화성,석굴암,불국사,종묘... 면면이 전통계승되어 내려오고 있다 3. 해인사...

부산 전통문화축제들좀 갈켜주세요^^

... 구·군별로 전통적으로 계승되고 있는 각종 문화... 우리나라 미술발전은 물론 앞으로 부산미술발전의... 소통방법에서 탈피함으로써, 시민들이 작품과...

우리나라의 특산물과 전통산업

우리나라의 특산물과 전통산업에 대란 좀 담변해주게요... (기장문화원이사) 기장은 크지도 작지도 않은 어머니... 짜올리던 방법과는 달리 기둥에는 물론, 기둥과...

우리 나라전통 건축물,우리 조상들이...

... 우리나라 전통목조건축물(傳統木造建築物)에는 세가지... 문화권으로 진입하게 되었다. 그후 통일신라시대부터 만들기 시작한 청자는 12세기 고려시대로 접어들어 발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