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유아,아동 문화 주제

일본 유아,아동 문화 주제

작성일 2022.05.24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유아교육과로 진학하고 싶은 여학생입니다
이번 일본어 시간에 일본 문화를 발표해야되어서 진로와 연관되게 쓸려고 하는데 주제를 딱히 못찾겠습니다
이미 어린이날이나 유치원문화는 다른 친구들이 했고 진로와 연관 지어서 쓸려고 하는데 뭔가 좋은 주제 없을까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 주제 : 일본 돌잔치 문화

일본에서는 '돌잔치'를 '첫 생일(初誕生)'이라고 표현합니다. 일본도 옛날에는 지금의 한국처럼 나이를 설날기준으로 세는 습관이 있었는데요, 생일자체는 축하하는 습관이 없었지만 아이가 태어나서 1년째가 되는 첫 생일만은 특별하게 대대적으로 축하를 했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첫 생일"은 일본 독특한 축하 행사가 전통적으로 남아 있어서 그 대부분으로 사용하는 아이템이 바로 "떡"이었습니다.

일본의 돌잔치는 떡을 메인으로 한 행사나 돌잡이 등 지역이나 집마다 행사 내용이 다양합니다.

첫 생일에는 만 1살까지 성장한 것을 축하함과 동시에 떡을 사용한 다양한 행사가 일본 각지역에서 행해집니다. 수많은 방식이 지역별로 있습니다만, 기본적으로는 2가지가 있죠.

아이에게 떡을 매게 하는 식과 떡을 밟게 하는 식입니다.전국적으로는 매는 경우가 많아, 큐슈지방에는 밟은 경우가 많습니다.이러한 행사에 사용되는 떡은 지역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잇쇼우모치(一升餅)"라고 불립니다.이것은 인간의 일생(=잇쇼우)과 떡의 한 되(=잇쇼우)의 말장난으로 "일생을 원만하게(동굴게) 오래 살 수 있기를" 라던가 "평생 먹고 잘 살 수 있기를" 같은

기원이 담겨져 있습니다.

한 되의 떡이면 대략 2kg 정도의 떡이지만, 이 무게는 엄밀하게 지킬 필요는 없습니다. 화과자집이나 인터넷으로도 판매하고 있는 가게가 있습니다. 잇쇼우모치로 사용하는 떡은 고래부터 아마테라스오오미카미(일본신화에 나오는 신)이 머문다고 전해져왔습니다.

즐겁게 축하행사를 지른 듸에는 그 떡을 잘라서 먹는 것이 관습입니다.

< 떡을 등에 매는 경우 >

떡을 매게 하는 행사를 쇼이모치, 세오이모치 등 부르는 방식이 여러가지가 있습니다.보자기에 싼 (요즘은 배낭에다가 넣는 가정이 많음) 잇쇼우모치를 등에 매고 걷게 하는 것인데요,

떡을 등에 매고 "걸 수 있으면 경사로운 일"로 하는 경우와 "넘어지면 경사로운 일"로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걸 수 있으면 경사로운 일은 이해가 가지만 왜 넘어지면 경사로운 일 일까요?

이유는 넘어지고 걸어가면 "빨리 자립하고 집을 나가버린다" "아들이 양자로 다른 성씨를 가지게 된다" "부모부터 멀리 떨어진 땅으로 가버린다"라는 의미가 있기 때문에 그렇게 되지 않게 넘어지게 한다는 것이죠.(옛일본에는 양자문화가 많았습니다.)

지역에 따라서는 걸어가면 일부러 넘어지게 하거나 작게 만든 떡을 던져서 넘어지게 하는 전통도 있다고 합니다. 걷거나 넘어지거나에 상관없이 잇쇼우모치를 등에 맴으로써 사람의 일생의 무개를 느끼게 하기 위한 행사라고도 합니다.

보자기로 매게 하는 경우는 아이가 다치지 않도록 주의를 해야 합니다.만 1세이기 때문에 아직 못 걸을 아이도 있을 것이고, 무거운 떡을 등에 매고 걷는 아이는 많지 않아 대부분은 무거워서 움직일 수 없거나 기어다니거나 울음을 터뜨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축하하는 행사이기 때문에 억지로 서게 하거나 하지 않고 가족끼리 밝은 분위기로 즐깁니다.

< 떡을 밟을 경우 >

떡을 밝게 하는 행사도 모치후미, 후미모치 등 표현하는 방법이 많습니다. 기본적으로는 잇쇼우모치 위에 서다(밟다)라는 것입니다.

잇쇼우모치를 대지로 비유해서 짚신을 신게 한 발로 떡 위에 서게 하며, "똑바로 땅에 서서 걸어갈 수 있기를" 라던가 "삶을 강하게 끝까지 걸어가는 다리와 허리가 강한 사람이 되기를" 같은 기원을 합니다.짚신을 안 신고 맨발로 진행하는 지역도 있습니다.

일본식 돌잔치 "첫 생일"에도 한국과 같은 돌잡이 행사가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골라쥐기(選び取り)라고 표현하는데요, 한국과 마찬가지로 아이의 장래 직업이나 재능을 점치는 행사로

아이 앞에 여러 가지 아이템을 놓고, 아이가 관심을 가지고 손에 쥔 것으로 판정하는 행사입니다.

< 돌잡이는 한국과 마찬가지 >

일반적인 아이템이랑 그 아이템을 선택했을 때의 뜻은 아래와 같습니다.

●주판, 계산기 = 장사 재능

●붓, 연필, 문방구 = 예술, 글짓기의 재능

●줄자 = 기술자의 재능

●돈, 지갑 = 부자의 재능

< 1살 기념으로 손이나 발자국을 남기고 가족사진 찍기 >

1살 때의 작고 귀여운 손이나 발은 그때밖에 남길 수 없는 귀한 추억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첫 생일의 추억으로 아이의 손이나 발자국을 남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본 유아,아동 문화 주제

유아교육과로 진학하고 싶은 여학생입니다 이번 일본어 시간에 일본 문화를... ■ 주제 : 일본 돌잔치 문화 일본에서는 '돌잔치'를 '첫 생일(初誕生)'이라고 표현합니다. 일본도...

유아교육 영어 세특

... 다문화 유아교육: 다문화 가정 출신 유아들의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과 전략에 대해... 이런 주제들은 유아교육과 아동복지 분야에서의 세특에 대해 깊이 있는 연구와 논문...

유아교육과 기사 주제 추천

... 뭘 주제로 하는게 좋을까요? 달마다 발전하는 내용으로... 방법 유아교육에서의 STEM 교육의 중요성과 방법 문화... 장애아동과의 소통과 유아교육에서의 특수교육 방법...

일본과 한국의 문화비교

... 수행평가 주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1. "한국과 일본의 초등교육 문화 비교" : 일본어를... "일본유아교육에 대한 이해와 그 적용" : 일본어를 사용하여...

유아교육과

유아교육과 문화예술교육에 대해서누 어떤걸 배우나요?...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동 발달 이론: 유아의... 교과 및 활동 계획: 다양한 주제와 활동을 통해 유아의...

유아교육 일본 유학

저는 일본으로 유아교육을 공부하러 가기위해 준비하고... 슈꾸도꾸 문화 전문학교 - 유아 교육학과 세이도꾸 대학... 전문학교 - 아동 복지과 이 정도로 나눌수가 있으며...

백석문화대학교 유아교육과 면접

... ㅜㅠㅜㅠㅜㅠㅠ 내공♥ 최근 매스컴에서 유아교육기관에서 일어나고 있는 아동 학대... 일본 역사교과서 및 우경화 문제(독도,동해표기,위안부,집단자위권 등), 한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