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안게임 상식

아시안게임 상식

작성일 2010.12.08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이번 시험문제로 아시아경기대회(아시안게임) 상식이 나온다고 하네요.

 

아시안게임의 상식에 대해서 올려주세요.

 

내공 있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대회규모?

제16회 2010년 중국 광저우 하계아시안게임(1위 - 중국)

일시 : 2010년 11월 12일 ~ 2010년 11월 27일

참가 : 45개국, 14,454명

한국 : 1,011(임원 219, 선수 792) - 금76 은65 동91 합232(2위)


대회 마스코트?

아샹, 아허, 아루, 아이, 러양양 <다섯 마리 염소>


총 참가국 수?

참가국(45개국)

아프가니스탄, 바레인, 방글라데시, 부탄, 브루나이, 캄보디아, 중국, 홍콩, 인도,

인도네시아, 이란, 이라크, 일본, 요르단, 카자흐스탄, 쿠웨이트, 키르키즈스탄, 라오스,

레바논, 마카오, 말레이시아, 몰디브, 몽골, 미얀마, 네팔, 북한, 오만, 파키스탄,

팔레스타인, 필리핀,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싱가포르, 대한민국, 스리랑카, 시리아, 대만,

타지키스탄, 태국, 동티모르, 투르크메니스탄, UAE, 우즈베키스탄, 베트남, 예멘




총 경기 종목 수?

종목(42종목) - 476금메달

수상경기(수영, 다이빙, 수구, 싱크로나이즈드스위밍), 양궁, 육상, 배드민턴, 야구, 농구,

볼링, 복싱, 카누/카약, 보드게임(장기, 바둑, 체스), 당구, 크리켓, 사이클, 댄스스포츠,

드래곤보트, 승마, 펜싱, 축구, 골프, 체조, 핸드볼, 하키, 유도, 카바디, 가라데, 근대5종,

롤러스포츠, 조정, 럭비, 요트, 세팍타크로, 사격, 소프트볼, 스쿼시, 탁구, 태권도,

테니스(테니스, 정구), 철인3종, 배구, 역도, 레슬링, 우슈




우리나라 선수들이 출전하지 않는 경기 종목 수는?

1종목 (크리켓)


우리나라 최종 성적?

금메달 76개, 은메달 65개, 동메달 91개, 총합계 232개 (종합 2위)




1. 

극동 선수권 대회 
극동 선수권 대회는 일본 제국과 필리핀, 중화민국(당시 중국) 간의 화합과 협력을 위해 창설된 대회였다. 첫 회는 1913년, 필리핀 마닐라에서 개최됐으며, 후에 다른 동아시아 국가들이 참여했다. 그러나 이 대회는 1938년, 일본 제국의 중국 침략과 필리핀 합병으로 인해 태평양에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함에 따라 막을 내렸다.

아시안 게임의 탄생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아시아 국가들이 독립하기 시작했다. 아시아의 신생 독립국들은 무력이 작용하지 않으면서 상호간의 이해로 발전할 새로운 종류의 경쟁을 원했다. 1948년 8월, 영국 런던에서 열린 제14회 하계 올림픽 경기 중에, 인도의 IOC 위원인 두트 손디는 아시아의 스포츠 선구자들에게 아시안 게임에 관한 논의를 하자고 제안했다. 이에 따라 참가국 중 대한민국·필리핀·미얀마(당시 버마)·인도·중국(당시 중화민국)·스리랑카(당시 실론 연맹)의 6개국이 대회를 개최할 것을 합의하였다. 1949년 몇몇 나라가 더 참가하여 아시아 선수권 연맹을 창시하여 아시아 경기 대회를 개최할 것을 합의하여, 1950년 인도 뉴델리에서 제1회 대회를 개최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복잡한 국내외 사정에 따라 제1회 대회는 1년 연기된 1951년 열렸다. 제1회 대회는 한국 전쟁으로 대한민국이 빠지고 일본 등 11개 국이 참여하였다.

동맹의 재편성
아시아 여러 나라의 참가가 이어지면서 회를 거듭하면서 참가국도 늘어나고 대회 규모도 확대되었다. 그러나 회원국들 사이의 정치적 대립으로 대회는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1962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제4회 대회에서는 아랍 국가들이 이스라엘의 출전을 반대하여 이스라엘은 참가하지 못했으며,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로 중화민국의 참가도 제한되었으나, 중화인민공화국도 참가하지 못했으며, 이후로도 이스라엘과 중화민국 참가 문제로 논란이 계속되었다. 1966년 타이 방콕에서 열린 제5회 대회에 이스라엘과 중화민국이 참가하자 아랍 국가들이 대회를 보이콧했다. 이스라엘은 1974년 대회를 끝으로 이 대회에 참가하지 못했으며, 아랍 국가들이 주도하여 아시아 경기 연맹에서 축출되어 유럽 올림픽 위원회로 옮겨 아시아 경기 대회 참가 자격을 완전히 상실했다. 중화인민공화국과 명칭 문제로 대립을 빚었던 중화민국은 후에 차이니스 타이베이라는 이름으로 가입하여 참가하였다.
개최지 문제로도 잡음이 계속되어, 1970년 제6회 대회는 대한민국 서울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위협이 있었으며, 1978년 파키스탄 이슬라마바드에서 열릴 예정이던 제8회 대회는 인도·방글라데시와의 대립이 개최지 변경의 중요한 이유가 되었다. 결국 이들 두 대회는 아랍 산유국을 중심으로 한 재정 지원으로 타이 방콕으로 개최지를 옮겨 열렸다.
이러한 혼란과 대립 속에서 1980년대 들어 아시아 경기 대회는 큰 성장을 이룩하게 되었다. 대회를 발전을 위한 상설 기구로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를 창설하기로 합의, 1982년 인도 뉴델리에서 열린 제9회 대회를 끝으로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가 대회를 주관하게 되었다. 1986년 대한민국 서울에서 열린 제10회 대회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등 여러 사회주의 국가들이 불참하여 또다시 정치적 논란의 대상이 되었으나, 중화인민공화국만은 참가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는 등 대회는 양적·질적으로 더욱 성장하였다.

참가국과 경기 종목의 확장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이 붕괴되면서, 지리적으로 아시아에 속하는 독립국이 된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이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에 가입했다. 이들 5개국은 1994년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린 제12회 대회에 처음 참여했으며, 문화적·민족적 문제 등으로 일부 국가들이 이들 국가 참여를 반대하기도 했으나, 결과적으로 구 소련의 스포츠 전통을 이어받은 이들 국가의 참여로 경기력 향상이라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2006년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제15회 대회에서는 45개국의 39개 종목 15,000여명의 선수가 참가하는 대규모 대회로 성장했다. 한편 이 대회에 오세아니아의 오스트레일리아가 참가 신청을 했으나,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의장 셰이크 아메드 알 파드는 거부하였다.



2.

하계아시안게임

제1회 1951년 인도 뉴델리 하계아시안게임(1위 - 일본)

일시 : 1951년 3월 4일 ~ 1951년 3월 11일

참가 : 11개국 500명

한국 : 불참

 

제2회 1954년 필리핀 마닐라 하계아시안게임(1위 - 일본)

일시 : 1954년 5월 1일 ~ 1954년 5월 9일

참가 : 18개국 1,241명

한국 : 81(임원 24, 선수 57) - 금8 은6 동5 합19 획득(3위)

 

제3회 1958년 일본 도쿄 하계아시안게임(1위 - 일본)

일시 : 1958년 5월 24일 ~ 1958년 6월 1일

참가 : 20개국 1,692명

한국 : 156(임원 37, 선수 119) - 금8 은7 동12 합27 획득(3위)

 

제4회 1962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하계아시안게임(1위 - 일본)

일시 : 1962년 8월 24일 ~ 1962년 9월 4일

참가 : 18개국 1,527명

한국 : 173(임원 36, 선수 137) - 금4 은4 동7 합15 획득(5위)

 

제5회 1966년 태국 방콕 하계아시안게임(1위 - 일본)

일시 : 1966년 12월 9일 ~ 1966년 12월 20일

참가 : 18개국 2,500명

한국 : 233(임원 52, 선수 181) - 금12 은18 동21 합51 획득(2위)

 

제6회 1970년 태국 방콕 하계아시안게임(1위 - 일본)

일시 : 1970년 8월 24일 ~ 1970년 9월 4일

참가 : 18개국 2,500명

한국 : 172(임원 41, 선수 131) - 금18 은13 동23 합54 획득(2위)

 

제7회 1974년 이란 테헤란 하계아시안게임(1위 - 일본)

일시 : 1974년 9월 1일 ~ 1974년 9월 16일

참가 : 25개국, 3,000명

한국 : 231(임원 54, 선수 177) - 금16 은26 동15 합57 획득(4위)

 

제8회 1978년 태국 방콕 하계아시안게임(1위 - 일본)

일시 : 1978년 12월 9일 ~ 1978년 12월 20일

참가 : 27개국 4,000명

한국 : 267(임원 64, 선수 203) - 금18 은20 동31 합69 획득(3위)

 

제9회 1982년 인도 뉴델리 하계아시안게임(1위 - 중국)

일시 : 1982년 11월 19일 ~ 1982년 12월 4일

참가 : 33개국 4,500명

한국 : 406(임원 126, 선수 280) - 금28 은28 동37 합93 획득(3위)

 

제10회 1986년 대한민국 서울 하계아시안게임(1위 - 중국)

일시 : 1986년 9월 20일 ~ 1980년 10월 5일

참가 : 27개국 4,839명

한국 : 638(임원 144, 선수 494) - 금93 은55 동76 합224 획득(2위)

 

제11회 1990년 중국 베이징 하계아시안게임(1위 - 중국)

일시 : 1990년 9월 22일 ~ 1990년 10월 7일

참가 : 37개국 6,122명

한국 : 694(임원 142, 선수 552) - 금54 은54 동73 합181 획득(2위)

 

제12회 1994년 일본 히로시마 하계아시안게임(1위 - 중국)

일시 : 1994년 10월 2일 ~ 1994년 10월 17일

참가 : 42개국 6,824명

한국 : 725(임원 167, 선수 558) - 금63 은56 동64 합183 획득(3위)

 

제13회 1998년 태국 방콕 하계아시안게임(1위 - 중국)

일시 : 1998년 12월 6일 ~ 1998년 12월 20일

참가 : 41개국 9,545명

한국 : 700(임원 163, 선수 537) - 금65 은46 동53 합164 획득(2위)

 

제14회 2002년 대한민국 부산 하계아시안게임(1위 - 중국)

일시 : 2002년 9월 29일 ~ 2002년 10월 14일

참가 : 43개국 11,000명

한국 : 1,007(임원 238, 선수 769) - 금96 은80 동84 합260 획득(2위)

 

제15회 2006년 카타르 도하 하계아시안게임(1위 - 중국)

일시 : 2006년 12월 1일 ~ 2006년 12월 15일

참가 : 45개국 12,000명

한국 : 832(임원 187, 선수 645) - 금58 은53 동82 합193(2위)

 

제16회 2010년 중국 광저우 하계아시안게임(1위 - 중국)

일시 : 2010년 11월 12일 ~ 2010년 11월 27일

참가 : 45개국 11,554명

한국 : 1,011(임원 206 , 선수 795) - 금76 은65 동91 합232(2위)

 

 

제17회 2014년 대한민국 인천 하계아시안게임

일시 : 2014년 9월 19일 ~ 2014년 10월 4일

참가 :

한국 :



동계아시안게임

제1회 1986년 일본 삿포로 동계아시안게임(1위 - 일본)

일시 : 1986년 3월 1일 ~ 1986년 3월 8일

참가 : 7개국 425명

한국 : 91(임원 28, 선수 63) - 금1 은5 동13 합19 획득(3위)

 

제2회 1990년 일본 삿포로 동계아시안게임(1위 - 일본)

일시 : 1990년 3월 9일 ~ 1990년 3월 14일

참가 : 10개국 441명

한국 : 92(임원 29, 선수 63) - 금6 은7 동7 합20 획득(3위)

 

제3회 1996년 중국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1위 - 중국)

일시 : 1996년 2월 4일 ~ 1996년 2월 11일

참가 : 16개국 660명

한국 : 90(임원 27, 선수 63) - 금8 은10 동8 합26 획득(4위)

 

제4회 1999년 대한민국 강원(용평, 강릉, 춘천) 동계아시안게임(1위 - 중국)

일시 : 1999년 1월 30일 ~ 1999년 2월 6일

참가 : 21개국 799명

한국 : 130(임원 29, 선수 101) - 금11 은10 동14 합35 획득(2위)

 

제5회 2003년 일본 아오모리 동계아시안게임(1위 - 일본)

일시 : 2003년 2월 1일 ~ 2003년 2월 8일

참가 : 29개국 1,016명

한국 : 172(임원 44, 선수 128) - 금10 은8 동10 합28 획득(2위)

 

제6회 2007년 중국 장춘 동계아시안게임(1위 - 중국)

일시 : 2007년 1월 28일 ~ 2007년 2월 4일

참가 : 26개국 1,100명

한국 : 163(임원 41, 선수 122) - 금9 은13 동11 합33 획득(3위)

 

제7회 2011년 카자흐스탄 아스타나 동계아시안게임

일시 : 2011년 1월 30일 ~ 2011년 2월 6일

참가 :

한국 :


3.

하계종목(42종목) - 476금메달

수상경기(수영, 다이빙, 수구, 싱크로나이즈드스위밍), 양궁, 육상, 배드민턴, 야구, 농구,

볼링, 복싱, 카누/카약, 보드게임(장기, 바둑, 체스), 당구, 크리켓, 사이클, 댄스스포츠,

드래곤보트, 승마, 펜싱, 축구, 골프, 체조, 핸드볼, 하키, 유도, 카바디, 가라데, 근대5종,

롤러스포츠, 조정, 럭비, 요트, 세팍타크로, 사격, 소프트볼, 스쿼시, 탁구, 태권도,

테니스(테니스, 정구), 철인3종, 배구, 역도, 레슬링, 우슈 (2010 광저우)


동계종목(10종목) 

알파인스키, 프리스타일스키, 바이애슬론, 아이스하키, 크로스컨트리, 쇼트트랙, 컬링, 스노우보드, 피겨스케이팅, 스피드스케이팅 (2007 장춘)



4.


2번 답변 참고


5.


2014년 대한민국 인천, 2011년 카자흐스탄 알마티(동계대회)


6.

광저우 아시안게임 개요
이번 광저우 아시안게임은 중국에서 열리며, 여름 스포츠 경기를 하는 하계 대회이다.
제16회 대회로서, 2010년 11월 12일 ~ 11월 27일까지 열린다.
42종목에 476개의 금메달을 놓고 15일 간 아시아의 50여 개국이 참가하여 여러 경기들을 펼친다.
대한민국은 이번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 70개 이상의 중국에 이은 메달 순위 2위를 목표로 삼았다.


광저우 아시안게임이 개최되기 까지
2004년 3월 초 요르단의 암만, 중국의 광저우, 말레이시아의 쿠알라룸푸르, 대한민국의 서울 등 4개 도시가 2010년 아시안 게임 유치 신청을 했다. 그러나 2002년에 부산에서 이미 아시안 게임을 개최하였으므로 같은 한국의 도시인 서울은 배제되었고, 이어 암만이 탈락한 이후 말레이시아의 체육부 장관이 대회를 주최하는 데 드는 비용 문제로 유치 신청을 철회함으로써 개최 후보 도시로는 광저우만 남게 되었다. 결국 2004년 7월 1일, 아시아올림픽평의회는 광저우가 2010년 아시안 게임을 개최하게 되었음을 선포했다.

광저우 아시안게임 엠블럼
대회의 엠블럼은 중국 전승에서 사람들에게 행운을 가져다 준다는 동물인 양/염소의 형상으로부터 만들어졌다. 이는 광저우를 대표하는 것이기도 한데, 광저우는 "다섯 마리의 양의 도시"로 불리기 때문이다.

광저우 아시안게임 마스코트
"러양양"이라고 이름붙여진, 운동복 차림의 다섯 마리의 염소가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의 마스코트로 선정되었다. 그 다섯 마리 염소의 이름은 각기 "아시앙", "아허", "아루", "아이", "러양양"이다.
]





대한민국 메달리스트
http://ko.wikipedia.org/wiki/2010%EB%85%84_%EC%95%84%EC%8B%9C%EC%95%88_%EA%B2%8C%EC%9E%84_%EB%8C%80%ED%95%9C%EB%AF%BC%EA%B5%AD_%EC%84%A0%EC%88%98%EB%8B%A8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나 는 자 랑 스 러 운 강 서 인 이 다 !

강 서 인 은 결 코 죽 지 않 는 다!

화 이 팅 ! 화 이 팅 ! 화 이 팅!

 

강서인이면 추천 ㅋㅋㅋㅋㅋㅋㅋㅋㅋ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혹시 단대부중 아닌지..

아시안게임 상식

이번 시험문제로 아시아경기대회(아시안게임) 상식이 나온다고 하네요. 아시안게임의 상식에 대해서 올려주세요. 내공 있습니다. 대회규모? 제16회 2010년 중국...

광저우아시안게임...

저 요번 체육시험에서 상식문제로 광저우 아시안게임에대해 나온다는데.... 저바빠서 한번도 본적없거든요ㅠㅠㅠ 시험에 나올법한거 어떤거 있은까요?ㅜ...

2002년 아시안 게임 기준으로 최다...

안녕하세요~ 학교 체육 시험중에 아시안게임에 대한 일반상식을 물어본다고 해서 별 걱정 없이 봤는데. 문제가 <2002년 아시안 게임 기준으로 최다 우승국은?> 이었습니다....

도하아시안게임 핸드볼

... 특히 이번 도하아시안게임의 편파판정은 어느 때 보다도 심했습니다 정말 보면서... 정말 어이 없어서 욕도 안나오네요,, 심판은 공정해야 하는게 기본 상식 아닌가요??...

우리나라 아시안게임 8강전 누구랑...

제가 축구를 조하하는데 상식이 없거든요, 우리나라 아시안게임 8강전 누구랑 어디서 언제 몇번에서 하나요? 축구 전문가 입니다. 카타르가 태국에 4 대 0 으로 이기고......

상식 및 시사상식

상식이나 시사상식을 알려면요.. 시사상식은 뉴스, 신문을 많이 보라는데... 아시안 게임 폐막 - 안전한 대회, 남북화해 발판, 친환경 대회 구현, 경기장 건설 등 대회 관련...

시사상식 질문입니다.

요즘 사회에 대두되는 시사상식좀 알려주세요 ㅠㅠㅠㅠ helicomoon님!! :) 내공 100입니다... 및 아시안 게임 등 입니다. 2015학년도 수시 신입생 모집 시사 및 사회 이슈 관련 소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