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케이트보드 질문 (타는법, 장비 등등)

스케이트보드 질문 (타는법, 장비 등등)

작성일 2012.01.27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저는 일산에 사는 고1되는 남학생입니다
제가 스케이트보드를 쫌 배워보고싶은데...
정말 하나도 스케이트보드에대해 아는게없어서이렇게올립니다...ㅜ
간략하게 스케이트보드에대해설명해주시고 스케이트보드를 어디서 배워야할지도알려주세요ㅜㅜ
그리구 스케이트보드는 어디서사야하며 이런것들도 알려주시면감사하겟습니다ㅜㅜ
성의있는답변부탁드리구요! 혹시 일산주변에사시면 보드에대해알려주세요ㅜㅜ 알려주실의향잇으시면 쪽지로 번호남겨주세요~!!


성의없으면짤


#스케이트보드 자주 묻는 질문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스케이트 보드를 타려고 하시는 군요 환영합니다.

 

스케이트 보드는 크게 데크,트럭,휠 이 3가지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종류는

 

스케이트보드<< 그냥 일반 보드

 

크루져 보드 << 고속 주행을 하기 위한 주행용 보드

 

핸드보드 << 손으로 가지고 노는 장난감 보드  

 

핑거보드 << 손가락으로 가지고 노는 장난감 보드

 

요정도로만 알고 계시면 되겠습니다.

 

보드 샵에서 구입하신다면 15~20 만원 사이로 구입하실수 있습니다.

 

사이즈는 데크 폭 사이즈 7.625 inch 나 7.75 inch 가 스탠다드 입니다.

 

입문용 보드 이런건 따로 없습니다. 다만 가격이 부담되신다면 중고로 알아 보실 수도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처음 스케이트 보드를 타시게 되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기술을 익히게 됩니다.

 

1. Push-off : 한쪽 발을 보드 위에 올리고 다른 한쪽 발로 보드를 밀며 전진 하는 기술

2. Tick-Tack : 보드의 앞부분을 들었다 놨다 하면서 지그재그로 전진 하는 기술

3. endover : 보드가 땅에서 떨어지지 않으면서 몸과 함께 180도 회전 하는 기술

4. Ollie(알리): 흔히 말하는 점프!! 모든 트릭의 기본이며 가장 중요한 기술

 

이상 4가지의 기본적인 기술 이었구요

  

이해를 돕기 위해 각 부위의 명칭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퍼왔습니다.

 

아래 자료를 보시면 어떤 사이즈를 선택해야하는 가를 정확하게 아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더욱 자세한 정보를 원하시만 답변 가장 아래쪽 출처에서 정보를 얻으시길 바랍니다.

 

일산에서는 주로 호수공원에서 많이들 보드를 탑니다.

 

 

 

스케이트보드 조합의 가장 기본적인 부분품으로 나무판을 말한다.

데크에 트럭과 휠을 조립하면 보드의 기본구조가 된다.보드의 기본인 데크는 수많은 보드회사들의 연구개발을 통해 발전해 가고 있다.대부분의 보드 브랜드들은 단풍나무 여러겹을 압축하여 만든다. 같은 단풍나무라 하더라도 나무의 등급에 따라 품질의 차이는 크다. 최고급브랜드는 1등급의 원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기본이다.

데크 브랜드들의 최고의 기술력을 평가하는 것은 데크의 제작공법이다. 나무를 얇은 Veneer(합판)로 절단하여 주로 7겹~9겹을 엇갈리게 포개어 특수접착제에 의해 압축공법과 몰드(Mold)공법을 통해 데크가 완성된다. 이때 특수접착제도 브랜드회사별로 품질에 차이가 있으며 압축공법과 특히 제품의 품질과 성능 그리고 스타일을 좌우하게 한다. 보드 선택시에는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좋다.

데크의 재료는 주로 단풍나무를 사용한다. 가끔 은행나무, 기타나무 또는 합성프라스틱류 등으로 만들어 지긴 하지만 1급 단풍나무가 현재까지 최고급 재료로 인정 받고 있다.
단풍나무(Maple)를 Laminating(얇은 판으로 만들기)하여 Veneer(합판)으로 만들어 7~9겹을 사용하여 제작하게 된다. 주로 7겹이 주종을 이루며 하드 테크니컬 보딩을 위한 튼튼한 9겹 모델도 생산된다.

 

 

 


노즈(NOSE) 와 테일(TAIL)
  데크의 앞부분을 노즈라고 부르며 뒷부분을 테일이라고 부른다.
육안으로 볼 때 비슷하여 구분이 힘들지만 데크의 그래픽 또는 제품명이 쓰여진 글씨를 보고 구분이 가능하고 노즈부분의 폭이 테일보다 조금 더 넓게 설계되어진 폭의 차이로 구분할 수도 있다. 하지만 데크 바닥면의 그래픽이 지워버릴 정도로 오래 보딩을 하게 되면 그래픽으로 구분하기 힘든 경우를 대비하여 그립 테이프부착시 한번에 부착하지 않고 어느 한쪽면을 기준으로 하여 그립테입을 잘라서 부착하여 구분하기 쉽게 하는 경우도 많다. 그 외에도 데크 바닥면 쪽에 표시용 스티커나 테이프를 붙이는 방법도 있지만 이것은 본인 스타일에 따라 결정하면 된다.
보딩 기술에서 스위치(Switch)기술처럼 자세를 바꾸어 가며 기술을 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보딩시 꼭 전진 방향이 노즈여야 하는 통념이 없어지고 있지만 기본은 보딩시 전진 방향이 노즈부분이 되는 것이 정수이다.
레일(RAIL)
  데크의 노즈와 테일부분을 제외한 중간부분을 일명 레일이라고 부른다.
컨케이브(Concave)
  노즈(Nose), 테일(Tail), 윙(Wing) 부분의 오목한 면을 칭한다.
압축몰드공법에 의해 만들어지는데 노즈와 테일의 컨케이브는 킥플립(Kickflip)등의 다양한 기술이 용이하도록 지렛대 역할을 하는데 스케이트보딩의 기술발전에 엄청난 영향을 주었다.
레일 가장자리의 윙(Wing) 일명 스케이트보드의 날개로 불리우는 컨케이브는 다른말로 웨이브Wave)라고 불리우는데 이 부분은 플립(Flip) 기술등을 더욱 용이하게 하고 그 구조는 데크의 강도에도 영향을 주는 부분이다.
이상과 같이 컨케이브는 데크의 성능과 매우 밀접하므로 좋은 기술력을 가진 브랜드를 구입해야 한다.
윙(WING)
  스케이트보드의 날개 - 레일의 가장자리에 오목한 부분의 Concave 일명 웨이브(Wave)를 말한다.
예전의 데크는 완전 평평하게 만들어졌었다. 윙은 스케이트보딩의 플립(Flip)기술등을 더욱 용이하게 하고 설계에 따라서는 데크의 강도를 더욱 강하게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마운팅볼트 홀(Mounting Bolts Hole)
 

데크와 트럭을 볼트와 너트로 조립할 수 있는 데크에 뚫어져 있는 구멍이다.
데크에는 이 구멍이 앞쪽과 뒤쪽 각각 4개씩 총 8개로 구성되어져 있다. 4개의 구멍에 트럭 한 개가 조립된다. 당연히 트럭의 베이스플레이트(트럭 받침)에도 4개의 구멍이 뚫어져있다. 홀의 구멍은 데크의 세로기준으로 중심에 있다.
간혹 중심에서 벗어나 구멍이 뚫어져 있기도 한데 구입시 꼭 확인해야 한다.

 

 

스탠다드 우드 데크(Standard Wood Deck)
 



enjoi.darkstar,almost.chlicé,flip.girl.zero,blind,powell등등 전세계 프로선수들이 사용하고 있는 데크이다. 대부분이 미국브랜드이지만 최근에는 유럽 및 일본브랜드도 있으며 우리나라도 도메스틱(domestic) 브랜드 데크가 나오고 있다.
현재 보드 전문샵에서 구입할 수있으며 길이와 싸이즈별로 Street용과 Vert용으로 나뉜다.
성능과 테크닉은 브랜드의 기술력에 의해 좌우된다. 데크를 구입시 아래와 같은 데크 사이즈 스펙을 확실히 파악하여 구입을 하여야 한다. 자신의 나이와 사이즈에 맞지 않는 무리하게 큰거나 작은 사이즈를 사용하면 테크닉을 제대로 구현하기 힘들다. 

[데크 사이즈 SPEC]

 

 

Mini Size Deck

Deck Size: 가로 29인치 이하.
신장: 130cm 이하.
Shoe Size: 미국사이즈 5 또는 그 이하 남녀.

 

Mid Size Deck

Deck Size: 가로 29~31인치 이상.
신장: 130~160cm.
Shoe Size: 미국사이즈 5~7 남녀

 

Regular Size Deck (nomal)

Deck Size: 가로 31인치 이상.
신장: 160cm 이상.
Shoe Size: 미국사이즈 7 이상

남녀.

 

 

보급형 우드 데크 (Wood Deck)

 


스탠다드 우드 데크 보다 저렴하게 나온 데크이다. 사이즈는 다양하게 제공되지만 그래픽과 스펙이 단순하다. 그리고 데크의 원재료인 나무의 등급이 한두단계 낮은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성능과 품질은 스탠다드보다 떨어진다. 스케이트보드를 처음 배우는 경우나 가격을 고민하는 분들에게는 괜찮은 데크이다. 이후 중급이상의 고난위도 기술 및 반응에 예민한 보더에게는 스탠다드를 권장한다

 

롱보드 데크(Long Board)
 


스탠다드 데크보다 훨씬 길다. Street에서도 보딩을 즐기지만 Downhill(언덕 고속하강)에서 최고의 속도감을 느낄 수 있다. 스탠다드 데크보다는 Street 기술구현이 조금은 어렵지만 왠만한 기술구현이 가능하다. 미국 및 유럽등지에서는 롱보드 전문프로선수가 따로 있을 만큼 저변인구가 많다. 한국에서는 판매되고 있는 전문샵이 거의 없지만 3VIC에서 Dogtown 롱보드를 공급하고 있다

 

핸드보드(Handboard), ■ 핑거보드(Fingerboard)

 

핸드보드(Handboard)

손으로 보딩기술을 구현할 수 있게 작게 만들어진 보드이다. 데크만 별도로 나오지 않고 완제품으로 판매된다. 램프등 기물도 그 만큼 작게 만들어져 나온다. 스케이트보드의 데크,트럭,휠,마운팅볼트/너트, 공구 등이 따로 되어져 있다.

 

핑거보드(Fingerboard)

손가락으로 보딩기술을 구현하는 아주 작은 보드이다.
핸드보드보다 조금 더 작다는 것 외에는 동일하다.
핑거보드에 맞는 기물도 판매되고 있으며 외국에서는 핑거보드만의 대회도 열린다.

비전문 보드(일명 붕어보드/체육사 보드)

 


스케이트보드 전문샵이 아닌 대형할인점이나 인터넷 일반쇼핑몰 비전문샵에서 판매되고 있는 완성품 보드이다. 전문지식없이 국내 회사에서 외관만 따라만든 보드로 품질 및 성능은 비교가 안될 정도로 매우 낮다. 스케이트보드 입문자나 초등학생처럼 난위도 있는 기술을 구현하지 않고 단순주행을 주 목적으로 할 경우에는 관계가 없겠지만 보딩 입문시의 기초나 자세가 매우 중요하다는 점에서 계속적인 보딩을 즐기기에는 권장하지 않는다.

 

 

 

트럭(TRUCKS)은 데크와 휠을 연결해 주는 역할을 기본으로 보딩시 트릭과 테크니컬의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비이다. 자동차로 말하면 바퀴와 차체를 연결해 주는 현가장치 즉 서스펜스(Suspension)역할을 하는 중요한 장비이다. 완성된 보드에 필요한 트럭은 2개가 1세트이다. 트럭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마운팅볼트(Mounting Bolt) 다른 용어로 하드웨어(Hardware)로 불리는 보드용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 데크의 앞쪽과 뒤쪽에 각각 1개씩 조립한다.
트럭은 브랜드별로 구조와 성능이 큰 차이를 있으므로 구입시 꼭 확인이 필요하다.
 

특히 스케이트보드의 신 "로드니 뮬런"이 개발한 과학의 결정체 Tensor트럭과 최근들어 트럭의 무게를 최소화한 Grind King의 AXL씨리즈와 일반 브랜드별 트럭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국내 체육사 보드는 알리미늄만으로 트럭을 만들고 있지만 실질적 전문 스케이트보드 회사에서는 알류미늄 이외의 마그네슘과 극비성분을 혼합하여 트럭을 제작하며 휠과 맞닿아 있는 액슬부분은 강화스틸로 만들고 있다고 한다.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트럭은 크게 상단과 하부로 나뉘어 지는데 하부몸통부분을 칭한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트럭 중앙의 가장 큰 볼트(킹핀)로 연결되어있다. 베이스 플레이트 부분에
4개의 마운팅볼트 구멍이 뚫어져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의 구조에 따라서 트럭의 설계구조와
무게에 따라서 트럭의 성능이 크게 좌우된다.
행거(Hanger)
  트럭의 상단 몸체를 칭한다. 행거의 구조도 트럭의 성능에 큰 역할을 한다.
행거의 길이에 따라 트럭의 사이즈가 구분된다.
킹핀(Kingpin)
  베이스 플레이트와 트럭상부 본체와 연결하는 볼트이다.
트럭의 중심축으로 킹핀의 강도와 구조에 따라서 보딩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간혹 킹핀이 부서져 킹핀을 새로 구입하여 교체하는 경우도 있는데 3VIC의 TENSOR TRUCK은
킹핀이 부서지는 경우가 없다. 만약 부서진다면 베이스 플레이트 전체를 교체해 준다.
부슁(Bushing)
  킹핀과 베이스 플레이트를 연결할 때 행거부분의 부슁링 사이로 킹핀이 들어가고 그 상단과 하단에 부슁으로 조립되어진다. 이는 부슁은 트럭 전체의 충격완화뿐 아니라 보딩시 트럭이 완전한 수평이 아니라 어느 한쪽으로 힘이 쏠릴 때 부슁에 의해서 행거가 좌우로 움직여져 보딩기술을 구현가능 하다. 한마디로 자동차의 쿠션이라고 보면 된다. 상부부슁(Top Bushing)과 하부부슁(Bottom Bushing)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부슁은 영구적인 부품이 아니라 마모가 되므로 주기적으로 교체해 주어야 안정된 보딩을 즐길 수 있다.
부슁워셔(Bushing Washer)
 

부슁과 부슁사이에 들어가는 워셔는 lower, 바깥쪽에 감싸는 것을 upper라고 한다.

피봇(Pivot)
  트럭 행거부분이 베이스 플레이트와 접촉되어지는 곳이다.
행거는 킹핀으로 베이스플레이트와 구조적으로 연결되어져 있으면서 피봇과도 연결되어 2중으로 베이스 플레이트와 고정되어져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에 피봇이 들어갈 수 있도록 오목하게 파여져 있는데 이 부분에 플라스틱류 피봇컵을 넣어서 마찰에 따른 마모와 성능을 유지한다.
피봇컵(Pivot Cup)
  피봇에서 설명했듯이 피봇컵은 피봇과 베이스 플레이트가 만나는 지점을 보호해 주는 부품이다.
이것도 부슁과 마찬가지로 주기적으로 마모와 파손에 따른 교체가 필요하다.
피봇이 파손된 상태로 주행을 계속하면 안정된 보딩을 할 수 없다.
슬라이드(Slide)
  트럭의 킹핀이 보이는 반대편쪽으로 베이스 플레이트 부분에 장착된 부품으로 TENSOR TRUCK의 고유한 부품으로 보딩시 강력한 슬라이드 기술을 발휘할 수 있게 해주며 베이스 플레이트의 마모 방지 등으로 트럭전체의 수명을 연장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 부품은 텐서트럭만의 특허 기술이다.

엑슬(Axles)
  트럭의 양쪽 끝 부분의 나사선 부분으로 휠(Wheels)을 끼우고 나서
엑슬너트로 휠이 밖으로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한다.
엑슬너트(Axles Nuts)
  엑슬에 끼우는 너트이다. 엑슬을 단단히 쪼여야지만 휠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스피드 워셔(Speed Washer)/(스피드 링)
  트럭을 구입하면 트럭 양쪽에 각각 2개씩 얇은 링이 들어있다. 이것을 스피드 워셔라고 부른다.
휠 한 개에 베어링이 두개가 들어가는데 베어링의 양 끝에 이 링이 들어간다.
스피드 워셔는 휠안에 베어링이 회전할 때 바깥면이 엑슬너트와 트럭의 몸체와 접촉으로 인한
마찰의 방지와 속도를 유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트럭은 기본적으로 행거의 길이로 나뉘어 진다. 트럭 브랜드 마다 조금씩 사이즈 기준이 다르다.
트럭 사이즈 (행거 길이 기준)
 

롱보드용 →

  5.25 인치 - 데크길이:31인치이상 데크폭:7.75인치이상

일반 스케이트보드용↓

 

 5.00 인치 - 대부분의 데크("길이:31인치이상 / "폭:7.25~8인치)에 사용.

 4.75 인치 - 미드사이즈("길이:29~31인치이하 / "폭:7.125~7.5인치)에 사용.

 4.25 인치 - 미니사이즈("길이:29인치이하 / "폭:6.5~7.125인치)에 사용.

일반적으로 트럭 행거 길이가 길다는 것은 트럭 길이가 길다는 것이다.
만약에 데크사이즈와 무관하게 트럭을 사용한다면 보딩시 상당한 장애가 생길 것이다.
트럭이 사이즈가 자신의 데크보다 길면 휠이 데크보다 튀어나와 각종 접촉이 휠에서 일어날
것이며 반대로 너무 짧으면 보딩시 안정감을 전혀 느낄 수 없을 것이다.

트럭 사이즈 (트럭 높이 기준) - TENSOR TRUCKS 기준
 

Lo - 휠(Wheels)사이즈 52mm 이하

Mid - 휠(Wheels)사이즈 54mm 이하(Lo 사이즈 포함)

Hi - 휠(Wheels)사이즈 58mm 이하(Lo,Mid사이즈 포함)

트럭 구입시 또는 휠 구입시 자신의 트럭과 휠의 사이즈의 관계를 미리 생각하고 구입하여야 한다.
사이즈가 큰 휠을 사용하면서 매우 낮은 트럭을 사용한다면 휠과 데크의 밑바닥면의 마찰이
심화되어 보딩을 하지 못할 것이다. 반대로 사이즈가 작은 휠을 사용하면서 높은 트럭을
사용한다면 안정감이 매우 떨어질 것이다.
하지만 높이를 기준해서 Hi 트럭도 Lo트럭 사이즈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그 만큼 큰 차이는
없지만 초보자나 중급자는 스펙상 가장 적당한 휠과 트럭을 구입하여야 한다.
휠과 트럭의 사이즈의 발란스상에 보딩의 큰 기술의 차이가 있다.
이 발란스를 느낀다면 자신의 보딩실력이 상당하게 올라섰다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트럭은 보드를 구입할 때 데크 다음으로 중요한 부속품이다.
트럭은 자신의 보딩 스타일에도 대단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트럭이 무거우면 튼튼하고 가벼우면 테크닉은 좋지만 내구성이 조금
떨어진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최근의 기술의 발달은 단순히 내구성만으로 트럭을 판단하지 않는다.
사용하기 편리함과 보딩의 주목적인 테크닉의 활용이 얼마만큼 뛰어 나는가가 우선이다.
내구성 즉 트럭은 그라인드라는 기술시 트럭 본체가 갈린다. 너무 많이 갈리면 이제는 교체해야한다.
트럭이 기물이나 콘트리트 모서리에 갈리지만 않는다면 대부분의 트럭은 수명이 매우 길 것이다.
하지만 스케이트보딩은 수많은 트릭을 구사하면서 데크와 트럭, 휠에 상처를 입힌다.
트럭의 마모는 영광의 상처이다. 자신의 스타일과 올바른 트럭을 선택하여 자신만의 스타일을
찾아가야 할 것이다.
트럭 브랜드가 많지만 분명 스타일과 기능과 품질이 다르다. 트럭의 테크닉과 무게, 내구성 및
특징을 파악하고 구입하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만약 자동차의 서스펜스가 차체와 맞지 않다면
운전시 마음대로 방향조절을 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스케이트보드의 휠은 자동차의 바퀴와 같은 개념이다.
휠은 대부분 우레탄 재질로 만들어져 있다. 우레탄은 재료 자체가 고가의 재료이다.
하지만 같은 우레탄재질로 만든 휠이라도 브랜드와 우레탄 이외의 특수 첨가되는 재료등 제작하는 공법에 따라 품질이 매우 틀려진다.
우레탄의 성질은 먼저 가볍고 탄성이 강한 게 특징이지만 인성과 강도가 약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우레탄의 탄성강도를 나타내는 단위인 DUROMETER은 HAD (type A durometer hardness) 와 HDD (type D durometer hardness)로 강도단위는 A 또는 D로 표현된다. DURO는 ‘durability’를 의미하며 내구성,견고성을 의미한다. 숫자가 높으면 강도가 높고 낮으면 강도가 낮다.휠은 겉 모습만으로는 큰 차이가 없지만 브랜드와 재질, 공법에 따라 성능에 차이가 있다.성능의 차이는 안정감과 기술구현, 마모, 속도감 등 지면에 닿은 부분이므로 자신에 맞는 휠을 골라야 한다

 

하드 휠 (HARD WHEELS)

 강도 54D ~ 56D 또는 기본적으로 90A 이상이면 휠이 딱딱하다고 말한다.
대부분의 하드 휠로 통용되는 강도는 54D~56D 또는 98A~101A 정도이다.
하드 휠은 딱딱하고 주행시 떨림이 많으면서 소음이 꽤 생기며 착지시 안정감이 소프트 휠에 비해 떨어지지만 슬라이드 또는 그라인드 기술등의 휠 마찰을 통한 기술을 할 시에는 성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최근에 많은 보더들이 조금은 하드한 휠을 선호하고 있다. 하지만 거친 노면이나 매우 미끄러운 노면에서 강도가 너무 큰 하드 휠을 사용하면 보드의 통제가 힘들어 지므로 거친 노면 또는 미끄러운 노면에서 보딩하는 횟수가 조금 많다면 하드 휠을 선택할 때 조금 낮은 강도의 하드 휠을 사용하여야 한다.
강도가 강하기 때문에 표면 마찰저항이 크므로 소프트 휠 보다는 마모율이 낮다. 휠이 매우 딱딱하므로 착지할 때 강한 충격이 전달되기도 한다. 좀더 많은 POP을 얻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하드 휠을 구매할 때에는 특별한 용도가 아닌 경우에는 보통 54D~56D 또는 98A~100A 사이에서 구매하면 적당하다

소프트 휠 (SOFT WHEELS)

 보통 95A~97A 강도를 지닌 휠을 소프트 휠로 인정하고 있다.
보통 97A 강도를 지닌 소프트 휠은 대부분의 스트리트에서 보딩을 즐길 수 있으며 스케이트보드 파크, 램프 및 콘크리트 풀 등지와 같은 부드러운 노면에서 그 성능을 발휘한다.
95A 정도의 강도를 지닌 소프트 휠은 부드러우면서도 빠르게 어느 정도 거친 노면을 보딩을 즐길 수 있다..
90A 보다 낮은 강도의 휠은 주로 롱보드에 이용되며 미국과 유럽에서 많이 즐기고 있는 크루저 라이딩, 힐 라이딩을 즐길 수 있다. 매우 거친 노면을 질주하는 큰 매력을 느낄 수 있다.
전체적인 소프트 휠의 특징은 탄성력이 매우 좋고 착지시 부드럽게 착지가 가능하며 주행시에도 부드러운 주행이 가능하다. 접지력이 높기 때문에 안정된 보딩을 구사하기에 매우 좋다. 보통의 큰 사이즈 휠이 소프트 휠로 만들어진다.
강도가 하드 휠에 비해 약하기 때문에 마모율이 하드휠 보다 크다.

 

듀얼듀로메터 휠 (DUAL DUROMETER WHEELS)


 Dual = 이중의, 두 부분. Durometer = 내구성, 견고성. 즉, 서로 다른 이중의 재질로 만든 휠이다.
휠의 베어링이 들어가는 안쪽면과 노면과 접촉하는 바깥면의 강도와 재질이 다르게 만들어져 있다.
휠의 안쪽면은 베어링이 들어가는데 이 부분은 주행시 베어링이 고속으로 회전을 할 때 생기는 열 발생과 마찰이 가장 많이 일어나므로 열 발생과 마찰에 의한 휠의 변형과 성능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베어링이 들어가는 안쪽부분을 더욱 더 강도가 강한 재질로 만들고 바깥면을 하드 휠 또는 소프트 휠 재질로 개발된 휠 이다.
약어로 듀얼듀로 휠이라고 불리 우는데 브랜드의 노하우에 따라 같은 듀얼듀로 휠 이라도 그 성능과 특징이 많이 차이가 나므로 구입시 잘 선택해야 한다.
세계적인 명품 휠을 생산하는 DARKSTAR - DUAL DUROMETER 휠은 전통과 기술력을 자랑하는 대표적인 듀얼듀로 휠 이다.
듀얼듀로 휠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두 재료로 만들었기 때문에 보딩할 때 느낌이 사뭇 다르다. 대부분의 듀얼듀로 휠은 가격이 일반 휠 보다 비싼 편이다.
 

스케이트보드 휠 사이즈는 보통 49mm ~ 60mm 사이에서 사용된다.
최근 들어서는 휠 사이즈가 조금 작은 사이즈를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나지만 일반적으로 50~55mm 사이즈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50~55mm 사이즈는 일반 스트리트와 파크 등 대중적으로 사용된다.
56mm~60mm 사이즈도 일반 스트리트와 파크 등 사용되고는 있지만 특히 버트램프(Vert Ramp)에서 큰 기능을 발휘한다. 60mm 이상은 롱보드에 사용되는 사이즈로 힐 라이딩, 크루저 라이딩 등 거친 노면에서 속도를 즐기는데 사용된다.
휠 사이즈에 따라 보드 스타일이 많이 바뀐다.

일반적인 사이즈에 따른 특징은 사이즈가 크면 상대적으로 회전반경이 크므로 속도가 빠르고 지면에서의 떨림이 조금 덜하고 작은 휠보다 조금 무겁기 때문에 안정감을 주지만 주행 회전시 데크와의 마찰의 위험이 크다.
만약 자신의 휠이 주행시 데크와 마찰이 심하다면 작은 휠로 바꾸는 방법과 라이저패드(Riser Pad)를 사용하여 높이를 올려주는 방법이 있지만 이럴 경우 스케이트보드의 스타일이 바뀌게 되는 것이므로 처음 구입시 자신에 맞게 구입하는 것이 좋다.
사이즈가 작은 경우에는 속도는 상대적으로 느리고 떨림이 조금 심하지만 가볍고 작기 때문에 트릭기술을 구현하기가 보다 쉽다.



다음은 스케이트 보드를 구입할 수 있는 국내 샵들입니다.



 

=========스케이트보드+의류==========

 

소울에스비(서울)

http://www.soulsb.com/

 

파도파크(대전)

http://www.padopark.co.kr/  

 

라이더즈샵(마산)

http://www.riderzshop.com/ 

 

NVADE12(부산)

http://nvade12.cafe24.com/ 

 

다이아몬드샵(광주)

http://www.diamondstreet.co.kr/ 

 

투사몰(서울)

http://www.tussamall.com/ 

 

32Shop(서울)

http://www.32shop.net/ 

 

3VIC(서울)

http://www.3vicmall.com/ 

 

RONIN(서울)

http://www.ronin.co.kr/skate/ 

 

무라사키스포츠(평택)

http://murasakisports.co.kr/

 

스케잇메뉴(서울)

http://www.skatemenu.com/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스케이트보드 정보 받아가실곳 추천해드릴께요^^

 

스케이트보드 관련 정보 찾고계시죠~?!

 

마땅한 정보 사이트를 못찾으셨을꺼예요!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정확한 정보들

 

이곳에 들어가 보시면 모든 정보가 다 있답니다

 

그 어떤 곳에서 보지 못한 그런 정보들이 한가득

 

당신이 찾던 정보를 찾으실수 있으십니다!

 

스케이트보드 질문 (타는법, 장비 등등)

... 성의없으면짤 스케이트 보드를 타려고 하시는 군요... zero,blind,powell등등 전세계 프로선수들이 사용하고 있는... 하는 장비이다. 자동차로 말하면 바퀴와 차체를...

스케이트보드타는법~!

제가 스케이트보드 초보라서요;; 1.처음에는 뭘 먼저 하고... 알리다음 부터 (킥 플립, 널리, 그라인딩 등등)는 설명... 2.번 질문 글쎄요.... 제 생각이지만 전문으로 타는 것이...

롱보드,스케이트 보드 등등 질문 드려요

... 많기에 장비 추천은 어렵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스케이트보드타는것을 추천드립니다 더욱 궁금하신 점은 추가질문이나 댓글로 알려주시면 상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스케이트보드 타는법

제가 어렸을때 스케이트보드 가있었어요 근데... 거기서타는데 발로한번차면 얼마가지못해서 멈춤니다... 등등 자세한 동영상 자료 있는 곳 알려 드릴게요. http://www....

[초보] 스케이트 보드 관련질문입니다

... 보관하지는등등,, 보드에 관해서좀 알려주세요 4.혹시... 아니면 스케이트 보드 타는게 낳나요? 장단점 좀... 스켑에 도전하시다니~ 멋쮜쉽니닷~ ^ ^ 4가지 질문을 해주셨는데요...

스케이트보드 질문좀 받아주세요

... 키153정도에 몸무계46 이고 발사이즈는 240~245 되는데 스케이트 보드 탈만한가요?중1... 6. 강습받고 타는게 좋구요, 보호장비를 착용하고 타는게 좋습니다.

스케이트보드에대해서질문있어요~^^

... 죄송합니다ㅠㅠㅠㅠ 질문올리겠습니다,, 1.스케이트보드,,,,많이위험한가요?? 저는 위에서처럼 걷기귀찮아서타는... 3.스케이트보드탈때 필요한장비들추천해주세요...

스케이트보드 입문

... 왜냐하면 처음 보드를 배우는 분들에게 고가의 장비의... 스케이트보드는 3~4세가 처음 시작하는 7인치 사이즈부터 발사이즈 300인분들이 타는 9인치보드까지 사이즈가...

스케이트보드 질문입니다

... 샵꺼 살때 데크 트럭 등등 뭘사야하는지 가르쳐주세요... 첫 장비 이니 ^^) 트럭은 5.25 인치 트럭이 맞습니다.... 휠 4만 트럭 5만 16만원정도면 아주 쓸만한 첫 스케이트 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