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 자전거 입문하려고 합니다. 답변 부탁드려요!! 내공 ㄱㄱㄱ

로드 자전거 입문하려고 합니다. 답변 부탁드려요!! 내공 ㄱㄱㄱ

작성일 2010.02.07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트렉 1.1C ,트렉 1.2C,  에포카 2200,  메리다 로드라이더 880, 폴리곤 헬리우스 1300

 

현재 구매하려고 고민중인 사이클입니다.

 

 

*용도는 주말 2~4시간 라이딩,      (  <-----------이게 익숙해지면 왕복 100km 통학  고민 중 )

 

*올 여름 자전거 여행 (3박4일 또는 일주일, 길면 2주~ 한달)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서로 비교 분석 부탁드려요~

 

*혹, 추천해주고 싶은 자전거 있으시면 해주세요

 

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로드 자전거 #로드 자전거 추천 #로드 자전거 브랜드 #로드 자전거 사이즈표 #로드 자전거 공기압 #로드 자전거 타이어 교체 비용 #로드 자전거 타이어 #로드 자전거 사이즈 보는법 #로드 자전거 가격 #로드 자전거 디시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음... 답변 내용이 좀 많네요? 간결하게 답변토록 하겠습니다.

 

저도 사이클 쓰는데 전 독일에서 사서 추천해드리고 싶은데 인터넷에 없네요.

저가 평소에 궁금했던거 모아둔 사이클에 대한 자료입니다.

답변확정해주세요^^

 

 

1. 로드바이크(Road bike: 일명 사이클)의 종류

사이클은 공식명칭이 아니고 로드바이크라고합니다. 로드바이크에는 6개 정도로 분류됩니다.

 

- 일반 로드바이크 ; 전형적인 도로경주용입니다. 100-200km 를 달리는거지요. 많게는 2,000 km 이상(뚜르드프랑스) 

 

- 타임트라이얼 (TT ) 및 트라이에슬런(철인경기용) ; 짧은거리에 빠르게 달리기 위해 에어로바 등을 장착하여 에어로자세를 편하게 취할 수 있도록 장치되어있습니다.  

 

- 투어링 ; 교외로 멀리 여행갈때 사용하는 바이크입니다. 보통 로드바이크는 체인링을 두개를 다는데 체인링을 3단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사이클로 크로스 ; 일반 로드바이크와 같지만 험악한 지형 및 진흙길에서 경주를 하기 때문에 일반 로드바이크의 것보다 타이어를 약간 넓은 것을 장착합니다. 

 

- 트렉 바이크 : 벨로드롬 등에서 트렉경기에 사용하는 것으로 체인링도 하나이고 기어도 하나로 허브에 고정되어 있어 주행중에 패달링을 멈출 수가 없습니다. 브레이크도 없지요. 일반 로드바이크에 비해 휠베이스도 좀 짧습니다.

 

- 픽시 ; 요즘 마니아층이 형성되고있는 자전거로 형태는 트렉 바이크와 비슷합니다. 다른점은 핸들을 로드바이크와 같이 드롭바로 하는 경우도 있고 mtb와 같은 프렛바를 채용하는경우도있어 핸들장착이 다양하다는것입니다. 또한 프레임은 일반 로드바이크를 채용하는경우가 많아 트렉바이크 보다 휠베이스가 좀 넓다는 점도 차이라고 할 수있겠습니다. 

 

2. 티아그라급, 소라급?

구동계의 시마노회사 제품의 등급입니다. 자전거의  변속기등 구동계의 부품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3대 메이커가 포션을 나누고 있습니다. 캄파뇰(이탈리아), 시마노(일본), 슬렘(미국) 이 3대 메이커입니다.

그중에서 캄파가 선두주자이긴 하지만 후발주자인 시마노가 듀얼시스템을 개발하면서 캄파로부터 로얄티를 받고 있고(로얄티 지불기간이 끝났는지는 모르겠음) 인덱스시스템의 적용으로 빠른 속도로 포션을 넓히고 있는중입니다. 가격에비해 성능이 좋다는 정평이나있습니다. 슬렘은 시마노와 호환되는 부품으로 성능도 좋지마는 시마노의 덕을 좀 보고 있다는 감이 듭니다.

시마노의 등급(shimano system index)은 다음과 같습니다.

등외(보급) < 소라(입문) < 티아그라(초급) <105(중급)  <  울테그라(고급) < 듀라에이스(선수용)

티아그라급 부터 듀얼레버를 채용하고있고, 105급 부터 10단입니다.

참고로 소라급(8단), 티아그라(9단)...입니다.

(참고: 로드바이크에서는 주로 뒷기어의 단수로 기어수를 말합니다. 앞에는 보통 2단입니다)

 

3. 50만원 정도의 로드바이크...

몇가지만 제시해 보겠습니다.

미라지를 말씀하셨는데... 미라지는 프레임이 하이텐 강이라서 많이 무겁습니다. 스펙에서는 제시하지 않았습니다만..사이클로는 기능에 부합되지 않는다고 생각되네요. 속도가 안나올거에요.

 

- 메리다 880 : 576,000원(알미늄 소라+ 소라이하급)

- 엘파마 에포가 2200 16spd :552,000원(알미늄 소라+ 소라 이하급)

- 첼로 cr 3000 : 664,000원(알미늄, 소라+티아그라급)

- 블렉켓 골드윈 에이스 3.0 : 510,000원(알미늄 , 소라+ 소라이하급)

 

   등입니다.

 

4. 옥션? 자전거 가게의 가격?

로드바이크(사이클)는 사이클 전문샵에서 사시는 것이 좋습니다. 저가 사이클이면 몰라도 50만원 이상의 좋은 자전거인데...

피팅도 받고, 그에 따른 정확한 세팅을 필요로합니다. 전문샵에서는 그런 것들이 서비스가 됩니다.  

보통 자전거 구매없이 피팅시 피팅료만 10만원 정도합니다.

자전거 가격은 인터냇이나 전문샵이나 큰차이는 없습니다. 전문샵이 조금더 비싸긴 하지만, 서비스를 고려하면 그게 그것입니다. 가격차이가 많은 자전거는 연식이 좀 오래된 것이거나 과다 생산된 것들이 인터넷에서 낮은가격으로 팔리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한편, 메이커에서는 대리점들이 어느정도 이익이 남아야 하기 때문에 대리점 가격을 정가로 매겨 두고 있지만, 인터냇에서는 매장에 들어가는 여러가지 비용이 절감될 수있기 때문에 다소 적은 가격으로도 그만큼의 이익을 낼 수 있어 가격을 다운시키는 경우도 있다고 볼 수있죠.

분명한 것은 로드바이크의 경우 피팅과 세팅이 중요한것이기 때문에 로드바이크에 대해 잘 알고 있지 않으면 인터냇 구매는 신중해야합니다. 

구매 방법은 인터넷에서 가격조사를 하고 평균값 정도로 해서 샵에가서 흥정하는 방법입니다.    

 

5. 서울의 전문샵?

그것은 여기서 추천하고 제시하면 에서 제재를 당한답니다. 고발 들어가면 글 자체가 삭제당해요.

답글이 답변확정된다면 별도로 메모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저께 고발당해 질문자 글이 삭제되면서 제글도 함께 삭제되어 점수 200 이상 삭감되었습니다.)

 

6. 자전거 구매시 무엇을 보아야할것인가?

4가지를 봅니다. 첫째 중량, 둘째, 프레임, 셋째 휠셋, 네째, 구동계등 부속입니다. 

일단 로드바이크는 가벼워야합니다. 50만원정도 예산이면 초급입니다. 10kg이하는 잘 없을 것이지만 가벼운것을 택해야겠죠. 프레임은 가급적 알미늄으로 선택하세요.      

휠셋은 이중림인가를 확인하시고요.. 이것 역시 가벼워야하고 무게 배분에 있어서 가장자리가 가벼워야합니다.

구동계는 앞에서 시마노 등급을 설명드렸습니다. 참고하시고요.... 

 

어휴~~ 이제 지치네요......좀 쉬었다가 합시다........................

그냥 지나려다가 중학생이라 해서 답글 다는겁니다~~^^..... 

 

 

7. 비싼것들은 왜 비쌀까?

로드바이크의 가격은 10마원 대에서 2000만원대까지 다양합니다.

가격을 결정하는 요소들은 앞에서 설명드렸듯이 프레임, 휠셋, 구동계열의 부속등급에따라 가격차가 나고요, 그 이외에 중요한 것이지만, 메이커의 신뢰도입니다.

프레임에 있어서 같은 알미늄이라도 6000계열인가 7000계열인가? 트리플 버티드인가 드블버티드인가? 등에따라 가격차가 큽니다. 가볍고 튼튼하기가 다르거든요...

휠셋은 한작에 1000만원짜리도 있습니다. 가볍고 에어로틱한가? 그리고 튼튼한가? 그리고 구동계열은 기어변환이 용이한가? 라이딩시 필요로하는 기어비의 선택이 가능한가? 가볍고 튼튼한가? 등입니다.

마지막으로 메이커의 신뢰성입니다. 고가의 자전거를 생산하는 메이커들은 뚜르드 프랑스, 지로드 이탈리아 , 올림픽등에서 입상자를 배출한 메이커들입니다. 안전성과 성능을 대회를 통해 입증하는것이지요. 그리고 오랜 역사와 함께 피나는 연구개발이 뒷받침되어 있습니다. 왜 프레임 하나가 1000만원인가? 그것은 유명 자전거 메이커의 내면을 살펴보면 이해할 수있습니다. 그만한 가치가 있다고 보여집니다.   

 

8. 비싼자전거와 싼자전거의 성능차이는?

비싼자전거가 시속 몇키로 정도 빠르다라고 정량적으로 설명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물리적으로 생각해 봅시다.

250만원정도의 자전거는 7kg대의 무게로 감량이 가능합니다. 싼 자전거가 하이텐강으로 12kg이라고 가정합시다.

그 차이는 5kg입니다. 그렇다면 언덕을 올라갈때 5kg의 쌀가마니를 지고 올라가는것이 빠릅니까? 그냥 올라가는것이 빠릅니까? 그리고 우물에서 물 5 kg의 두레박을 올린다고 생각해 보세요............그만큼 에느지가 더 소모되겠지요.

그리고 구동계입니다. 평지에서 힘이들거나  언덕을 올라갈때, 기어변경을 해야겠죠. 쉽게 힘에 맞는 기어 변경을 할수있는것과 뜸을 들이다가 기어변경이 되는것과 어떤차이가 있겠습니까?

아주 미세한 차이에서 순위가 바뀌게됩니다. 특히 언덕을 올라 갈때 기어변경의 타임을 놓지면 자전거는 탄력을 잃어 축 뒤로 쳐져버립니다.  

 

9. 무게가 얼마나 중요한가?   

앞의  8 답변에서 개요를 설명드렸는데, 여기서는 좀더 깊이 설명드리지요.

뉴톤의 운동법칙 에서  관성의 법칙.. 제 1법칙이죠.

무게가 가벼워야 관성저항을 줄입니다. 가속을 할때나 오르막을 오를때나 관성저항이 적어야 힘이 덜 들겠지요. 

특히 오르막에서는 

위치에너지 = mgh ,... 중학교에서 배우겠지요?  같은 높이를 오를때 필요한 에너지는 질량에 비례합니다.

즉 에너지는 힘과 거리의 곱의 함수관계에 있기 때문에 오르막에서 무게비율은 힘의 비율과 같습니다. 그렇기때문에 가벼운 자전거는 가벼운 만큼 오르막에서 유리하지요.

자전거는 사람의 에느지에 의해 달리는겁니다. 에느지를 많이 소모하는 자전거보다 적게 소모하는 자전거가 당연히 좋겠지요? 더멀리 더빠르게 갈수 있으니까요. 그런 차이입니다. 

 

10. 사이클은 기어가 중요하지 않은건지?

사이클에서 트렉용이 아니면 모두 기어가 중요합니다. 그런데, 사이클에서 기어는 보통 앞에는 2단, 뒤에는 8, 9, 10단입니다. 그러면 16단, 18단, 20단 인가요? 그것은 자전거 가게에서나 하는 말입니다. 앞이 2단이고 뒷기어는 8단이라고 해야지요. 고급 mtb에서 기어는 27단이라고 통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앞기어 3단 뒷기어 9단 이라합니다. 실제 27단이라고하지만 대각선으로 체인을 둘 수없기 때문에 사용할 수있는 기어는 반밖에 안됩니다, 12단정도 활용할거예요. 그리고 도로에서는 앞기어(체인링)이 3개까지 필요가 없답니다. 산악처럼 급격한 경사지는 없다고 보는거죠. 그리고  무게만 차지하기 때문에 떼어버리지요. 어떤분은 하나의 체인링만 달고 다니는 분도 있죠. 그사람이 사용한는 기어비의 대역에만 있으면 되는것이지요.     

mtb와 비교하면 뒷 스프라켓(톱니바퀴)의 이빨수의 차이가 아주 조밀하게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mtb는 9단이고 로드바이크는 10단입니다. (지금 11단도 개발되어 시판예정이라하는군요)

따라서 필요한 대역에서 더 미세한 기어변속을 할 수있도록 기어비를 장착한것이지요.

 

11.기아단수가 많아도 최대치하고 최소치는 같나요?

아닙니다. 선수나 라이더 마다 기어의 이빨 수를 달리합니다. 자기 힘의 대역에 맞게 장착하는것이지요.

스프라켓 이빨수의 배열 예를들면,

11,12,13,14,15,16,18,20,22,24 로 배열하는경우가 있는가 하면,

12,13,14,15,16,17,18,20,22,24 로 배열하는수도 있습니다. 스프라켓의 조합별로 판매되고 있죠.

그런가 하면 앞기어에서도 콤팩트형 체인링은 이빨 수를 작게하여 함을 더 낼 수있도록 하는 경우도 있고요....

자기힘에 맞추어 기어를 배열한답니다.

참고로 로드바이크는 평지이거나 언덕이거나 분당 패달회전수를 80-90회전으로 맞추어 라이딩합니다.

(다른 자전거도 패달링은 회전수 위주로하는것이 좋습니다)

힘이 든다고 천천히 돌리는것이 아니거든요. 항상 같은 힘으로 같은 회전수로 돌립니다. 그렇다면 무엇으로 조절하겠습니까?  바로 기어 변속을 통해 고정된 회전수로 라이딩하는거죠. 그렇게 해야 먼거리를 경주해도 지치지를 않고 빨리 갈 수가 있지요. 

(아직까지 이해가 어려울지 모르겠습니다만, 앞으로 사이클을 탄다면 타면서 이해가 될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래서 로드바이크는 뒷기어의 치차가 조밀하게 구성되었고 스프라켓수가 mtb 보다 더 많은겁니다.

(참고: 앞기어 3단 뒷기어 9단에서 곱하여 27단이라는 것은 사실은 사기입니다. 12단 정도 밖에 활용이 안되거든요.)  

 

12. 추천해줄  자전거와 가격대는?

3번 질문과 겹치네요.... 3 번 질문의 답변에 제시해 두었습니다.(50만원 예산 정도로 해서...)

 

13.사이클 중에서 으뜸가는 브랜드....

자전거는 하나만 찍어서 최고라고 할 수는 없고요... 각 경기에서 성적을 내었거나 내고 있는 메이커죠.

제가 타고 있는 비앙키, 트렉, 데로사, 룩, 라이트스피드, 콜나고, 리들리, 윌리어, 스캇, 오베아, 피날렐로 등입니다. 그외 도 많이 있지만 최고의 메이커들이지요................

 

 

합니다. 답변 부탁드려요!! 내공 ㄱㄱㄱ

트렉 1.1C ,트렉 1.2C, 에포카 2200, 메리다 로드라이더 880... 부탁드려요~ *혹, 추천해주고 싶은 자전거 있으시면 해주세요 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음......

로드자전거 기어/변속/팁 좀 알려주세요...

... 제 스팩은 174 / 64~66 정도 왔다리갔다리 합니다 헬스경력... 로드 자전거 팁 같은것은 없나요? 기어변속방법이라던가 ㅎㅎ 아시는데로 부탁드려요 내공 최대 100점까지네요...

로드바이크 입문 관련

여태껏 자전거를 그냥 이동수단으로 잠깐씩만 타다가 이번에... 설명 부탁드려요 내공드립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우선 로드바이크의 가격부터 알려드리겠습니다. 생활용...

50만원대 로드자전거

... 자전거 프레임치수를 얼만큼 해야할까요?? 내공 100 갑니다 (이왕이면 좀 자세하게 부탁드려요........ 듯 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채택...

산악자전거 입문하려면.. 내공만땅

안녕하세요 로드바이크3년차입니다. 자전거는 에포카 r1... 성실답변 부탁드려요~ 1. 시마노 부품 기준으로 데오레급이 입문용입니다. 가격은 100만원 초중반. 2. MTB바퀴...

MTB 자전거 추천좀 부탁드려요! 내공 50...

... 설명좀 부탁드리겠습니다 ^^ 질문이 조금 많네요, 그만큼 내공은 팍팍 걸겠습니다 ! 답변 성심성의껏 적어주세요!... 부품도 내게 맞게 맞추곤 합니다. 자전거 우리나라...

자전거입문 종류선택장애

... 그리고 자전거입문용 추천도부탁드려요 친절한답변부탁드립니다 내공100점걸어욥ㅎㅎ 고민이 깊어진다한들... 괜찮아보이긴 합니다. 많이 타시는 것도 아니고...

로드바이크 입문 - 변속기...

... 질문드려요. 그리구 제가 지금 보고잇는 자전거 변속레버가... 뭐구요 답변 부탁드릴게요 ㅎㅎ.. 소라가 클라리스보다 높은등급으로 클라리스가 로드구동계 최하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