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도하 아시안게임 유도 남녀 각체급에 대해 궁금합니다

이번 도하 아시안게임 유도 남녀 각체급에 대해 궁금합니다

작성일 2006.12.05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이번 도하 아시안게임 유도 남녀 각 체급에 대해 궁금합니다 몇체급으로 나누고 그리고 체중무게등 시원한 답변기다리게염^^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남자체급은 -60kg,-66kg,-73kg,-81kg,-90kg,-100kg,+100kg,OPEN WEIGHT(무차별급)으로 나뉩니다.체급차는 6,7,8,9,10kg씩 늘어나고 +100kg과 무차별급은 사실상 동체급이라 보시면 됩니다.타체급 선수의 이중출전도 가능한 체급이라 2관왕이 나오기도 합니다.다만 말그대로 무차별급이기 때문에 체중이 100kg 이상 나가지 않는 선수들도 출전해서 작은선수가 큰선수를 이기는 재미도 있습니다.그러나 역시 체급차를 무시하기 힘들기 때문에 대부분 -100kg,+100kg급 선수들이 순위권을 차지합니다.이 무차별 체급은 올림픽에선 폐지되었습니다.여자체급은 -48kg,-52kg,-57kg,-63kg,-70kg,-78kg,+78kg,무차별급으로 나뉩니다.체급차는 4,5,6,7,9kg씩 늘어나고,이번 대회 여자 무차별급에서 -52kg급 선수가 +78kg급 선수를 이겨서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이번 대회 체급별 순위는 이렇습니다.


남자부

-60kg

1.에구사 타츠아키(일본)
2.조남석(한국)
3.하지 아콘자데(이란) / 살라마트 우타르바예프(우즈베키스탄)

-66kg

1.하산바타르 차칸바타르(몽골)
2.아라쉬 미레스마일리(이란)
3.김광섭(한국) / 아키모토 히로유키(일본)

-73kg

1.이원희(한국)
2.다카마쓰 마사히로(일본)
3.쇼키르 무미노프(우즈베키스탄) / 라술 보키예프(타지키스탄)

-81kg

1.담딘수렌 냠쿠우(몽골)
2.알마스 아타예프(카자흐스탄)
3.궈 레이(중국) / 오노 타카시(일본)

-90kg

1.황희태(한국)
2.막심 라코프(카자흐스탄)
3.람지딘 사이도프(우즈베키스탄) / 이즈미 히로시(일본)

-100kg

1.장성호(한국)
2.이시이 사토시(일본)
3.아샤트 지트케예프(카자흐스탄) / 우트키르 쿠르바노프(우즈베키스탄)

+100kg

1.무네타 야스유키(일본)
2.모하마드 레자 로다키(이란)
3.압둘로 탄그리예프(우즈베키스탄) / 옐도스 이카산갈리예프(카자흐스탄)

OPEN WEIGHT

1.김성범(한국)
2.미란 파산디(이란)
3.아샤트 지트케예프(카자흐스탄) / 다카이 요헤이(일본)


여자부

-48kg

1.가오 펭(중국)
2.김영란(한국)
3.켈베트 누르가지나(카자흐스탄) / 미사토 나카무라(일본)

-52kg

1.안금애(북한)
2.분드마아 문카바타르(몽골)
2.리 잉(중국) / 유키 요코사와(일본)

-57kg

1.슈 얀(중국)
2.사토 아이코(일본)
3.강신영(한국) / 홍옥성(북한)

-63kg

1.슈 유화(중국)
2.공자영(한국)
3.다니모토 아유미(일본) / 원옥임(북한)

-70kg

1.우에노 마사에(일본)
2.배은혜(한국)
3.킨 동야(중국) / 리우 슈 윤(대만)

-78kg

1.나카자와 사에(일본)
2.이소연(한국)
3.양 시울리(중국) / 르캄데그드 푸레브자르갈(몽골)

+78kg

1.통 웬(중국)
2.체렌칸드 도르고토프(몽골)
3.김나영(한국) / 신타니 미도리(일본)

OPEN WEIGHT

1.리우 후안유안(중국)
2.체렌칸드 도르고토프(몽골)
3.다테야마 마이(일본) / 굴잔 이사노바(카자흐스탄)

외국선수들 이름 표기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