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영강사 되는법

수영강사 되는법

작성일 2023.10.2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구체적으로 답변해주시는 분 채택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2024년 1월부터 수영을 시작할 예정인 대학생입니다. (1월 전에 작은 수술이 예정되어있어서 그 전까지는 다니지 못합니다.)
평일 매일 새벽반으로 다닐것이고 학창시절 방학에 잠시 배영까지 했던게 다라서 처음부터 시작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수영강사를 하기위해 kspo 생활체육지도자 2급은 무조건 취득해야한다고 들었고, 적십자 라이프가드(=인명구조) 자격증도 개인적으로 필요해 꼭 따려고 생각하고있습니다.

1-1. 평일 매일 1시간씩 수영을 한다고 쳤을때 2025년 4월 말(수영 시작 후 1년반)에 생체 2급을 딸 수 있을까요?
1-2. 생체2급을 따기 위해서는 수영 기간이 평균 어느정도 필요한가요?
2. 2024년에 생체2급 미리 필기만 따놓고 2025에 실기를 치는 전략은 괜찮을 것 같나요?
3. 아니면 라이프가드 자격증을 먼저 취득하는것이 나을까요? 2024년 안에 라이프가드 자격증을 딸 수 있을까요?
4.수영강사가 되려면 생체2급, 라이프가드 자격증만 있어도 될까요?
5. 연수반, 마스터반 뜻이 뭔가요?
7. 생체 2급 필기 공부는 평균 몇개월정도 하나요?

자격증을 취득해보셨거나, 수영강사이신 분들의 친절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또 수영강사를 위해 필요한 것이 있거나 제가 잘 모르는 부분이 있다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수영강사 되는법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1. 평일 매일 1시간씩 수영을 한다고 쳤을때 2025년 4월 말(수영 시작 후 1년반)에 생체 2급을 딸 수 있을까요?

평균의 체력, 감각을 갖고 있다고 보고, 꾸준히 열심히 하신다고 봤을 때 가능합니다.

시험 타이밍만 안맞아서 그렇지 맞기만 하면 더 빨리도 가능하다고 봅니다.

1-2. 생체2급을 따기 위해서는 수영 기간이 평균 어느정도 필요한가요?

셍체2급은 시작후 몇달만에 취득한 경우도 있습니다만, 시험과 타이밍이 맞아야하겠지만, 4대영법을 다 배우고, 기록을 당겨야하기때문에 꽤 빡세게 연습했겠죠.

생체와 라이프가드 2개를 묶어서 말씀드리면, 강습반 중에 초중상 다음의 연수반에 들어갈 정도의 실력을 최대한 빨리 갖추는 것을 목표로 삼으시기 바랍니다. 우겨서 들어가라는 뜻이 아니고^^ 연수반에서 몇달 구를 정도의 실력이면 시험도 통과하고, 훈련도 견딜 체력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2024년에 생체2급 미리 필기만 따놓고 2025에 실기를 치는 전략은 괜찮을 것 같나요?

상황이 그렇다면 괜찮습니다만 개인적으로는 일단 수영을 하시면서 생각해서 결정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3. 아니면 라이프가드 자격증을 먼저 취득하는것이 나을까요? 2024년 안에 라이프가드 자격증을 딸 수 있을까요?

몇달정도 수영을 하시면서 자신의 발전속도를 보시고 나서 판단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부연합니다. 라이프가드는 지원 시험 합격하고 훈련과정까지 이수해야 자격증이 나오는데 이 훈련이 어려워서 매번 훈련과정에서 20% 탈락자가 나오죠. 수력이 오래된 사람들은 체력안배를 잘 하기 때문에 견딜만헌데 힘으로 수영하는 사람들은 힘듭니다. 그래서 최소한 연수반에서 하라는대로 할 수 있어야한다는겁니다. 연수반에서 오래 하면 할수록 그만큼 기술로나 체력으로나 적응을 잘 한다는 뜻이죠. 수영장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저희 수영장의 경우 초급에서 연수반까지 올라가는데 보통 반년 걸린다고 합니다.

생체, 라이프가드 실기 시험 합격 기준은 아시죠? 각각 IM, 자유형과 평영 차이가 있는 것 같지만, 기술만 놓고 볼 때는 큰 차이가 있는 건 아닙니다.

거리를 딱 100m, 200m를 목표로 하지마시고 500m나 1000m 장거리도 연습하시기 바랍니다. 시험에서는 장거리를 보지 않지만 장거리를 할 정도의 실력과 체력이 있어야 훈련을 견딜 수 있거든요. 연수반에 가면 500 도는 건 흔한 일이고 1000도 돌라면 돌고 빡쎈 강사 만나면 2000도 돌립니다. 그정도는 할 수 있어야(하기 싫지만^^;) 훈련을 견딜 수 있습니다.

입영, 잠영은 강습반에서 자주 하지 않기때문에 연습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보통 연수반에서는 잠영은 당연히 하고, 빨리 가르치는 수영장은 그 아래 반에서도 하기는 합니다 . 둘 다 평영 동작과 관련있으므로 평영에 집중하셔야 합니다. 평영은 훈련할 때 트랜스젠더영(이름 잘 모름)에도 필수입니다.

입영도 중요합니다. 입영은 입영 자체가 어렵다기 보다 그걸 실제로 할 기회가 없다는게 문제입니다. 4대영법처럼 반복적으로 하면 못할 것 없는데, 강습에서는 거의 다루지 않으니 혼자 연습할 방법을 찾아야 하는거죠. 못하면 훈련과정에서 발목을 잡힙니다. 이 꽉 깨물고 하면 버틸 수 있다지만 입영하다 기진맥진하면 다음 코스가 지옥이 되거든요. 그래서 어지간하면 훈련전에 충분히 연습하고 가는게 좋습니다.

수영강습에서 배울 수 없는 것들을 개인레슨 말고 배우려면 주변에 자격증 있는 친구들이 있는지 찾아보고 없으면 수영 동호회 가입하셔서 도움을 받는 것도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만약 님이 키가 크시면 일반 수영장에서 입영 연습 하시려면 어려울테니 방법을 생각하셔야 합니다.

유튜브에 동영상이 많이 나와있으니 찾아보시면 연습에 도움될겁니다. 그런데.... 혹시나 영상보고 혼자 마스터하겠다는 생각은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될 것 같지만 어렵습니다. 처음 잠깐은 될지 모르지만 이내 한계에 부딪힙니다. 나쁜 버릇만 들어서 그걸 고치는게 더 어렵습니다. 참고만 하시고 꼭 전문가에게 배우시기 바랍니다.

4.수영강사가 되려면 생체2급, 라이프가드 자격증만 있어도 될까요?

일단 강사 지원 자격은 됩니다. 그런데 자격증이나 수상 경력은 많으면 많을수록 서류 지원에서 유리하고 인기있는 수영장에 갈 수 있기때문에 체육, 구조, 강사 관련하여 다른걸 따면 좋습니다.

5. 연수반, 마스터반 뜻이 뭔가요?

가시려는 수영장에 마스터반이 있나요?

수영장에서는 수력, 실력에 따라 강습반 등급을 나누는데 보통은 초급, 중급, 상급(고급), 연수반 이렇게 나눕니다. 이때 연수반이 강습반에서는 최상급 고인물이 모으는 반입니다.^^ 그런데 수영장에 따라 연수반 윗 등급인 마스터반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게 최상급 고인물인거죠.

부연하면,

연수반도 그냥 연수반이라고 퉁 치는게 아니고, 레인수가 허용되면 연수반이 교정반, 연수반 이렇게 나누는 경우도 있었고(요새는 못봤음) 연수반을 A반, B반 이런식으로 둘로 나누고(명칭은 수영장마다 다름) A반은 상급반에서 이제 갓 올라온 회원들이 주류이고 B반은 A반에서 고인물들이 올라갑니다. 어떻게 올라가는지는 처음 생겼을 때는 강습반에서 시험쳐서 합격해야 교정반, 연수반, 마스터반 이렇게 올려보냈는데 지금의 현실은 수영장 분위기에 따라 달라서 사실.... B반 회원중에 A반보다 못하는 회원들도 있다는...속사정이 있습니다만, 만약 님이 실력으로 강습반 최상급반을 후다닥 올라가셔서 적응한다면 그땐 라이프가드 해볼 만합니다. 연수반에서는 IM100은 뻑하면 하는 것이고, 자유형, 평영 200m 5분도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7. 생체 2급 필기 공부는 평균 몇개월정도 하나요?

하루종일 빡쎄게 공부해서 일주일 보고 합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석달정도 꾸준히 공부하면 된다고 합니다.

그럼 앞으로의 계획에 도움되면 좋겠습니다.

수영 강사되는법

수영강사를 하고 싶은데 제가 지금 중3인데 뽑아주나요?? 어렸을 때 대회 나가서 상 탄적 몇번 있기는한데 미성년자도 뽑아주나요??? 고등학교는 졸업해야 하며 생체 자격증이...

수영강사 되는법 급해요

... (지금중3) 제가 수영강사쪽으로 가고싶은데 궁금한게 몇가지 있네요 1. 수영강사가 되려면 대학을 꼭 가야하나요 2. 라이프가드(적십자사)와 생체3급자격증 취득 조건 나이...

수영강사로 잠실새내에서 일하고 있습니

... 수영강사가 근로기준법이 적용되는 근로자인지 여부는 어떤 계약을 체결하였는지(강사계약 or 근로계약), 4대보험 가입 여부, 사용자와 사용종속관계가 인정되는지...

수영강사되는법 알려주세여

... 꿈은 수영강사인대 저를 도와주세요 제발 네! 저진짜 어떡하죠? 생활체육지도사 자격증을 수영종목으로 따셔야하며, 대학은 체육학과를 나오는게 좋습니다. 안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