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구에대해서..... 역사,경기장시설및용구,경기규칙,심판법,용어정리

농구에대해서..... 역사,경기장시설및용구,경기규칙,심판법,용어정리

작성일 2008.03.15댓글 2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농구에대해서 조사하는데요..,

 

1역사

2경기장시설및용구

3경기규칙(아마,프로,여성등..)

4심판법(시그널도해)

5용어정리

 

이런 순으로 가르쳐주세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1. 역사

날 짜 내 용
1891 농구경기 창안 : 창시자 미국인 제임스 네이스미스 (James Naismith) 미국 메사츄세츠주 스프링 필드 국제트레이닝스쿨교관 - 스프링필드 국제트레이닝스쿨 학생 18명을 2개조로 나누어 경기를 시도한 것이 최초 농구규칙 전문 13조를 발표 : 스프링필드 국제트레이닝스쿨에서 제정
1903 한국농구의 산실 : 황성기독청년회 (YMCA)가 창립되어 한국에 최초로 농 구를 수입하고 전파하였으며, 초대총무 필립 L. 질레트(吉禮泰, Philip. L. Gilet) 의 지도로 개시되었음.
1907 한국 농구의 시초 : 기독회관 건물로 목조 50평의 다목적 건물 (길이 약 165m, 폭 약 122m)을 건축하고 농구 등 실내경기를 한 것이 한국농구의 시초이다.
1914 농구유니폼에 배번달기 의무화
1931.4.11
조선농구협회 창립
1931.4.21 조선농구심판협회 창립 : 회장 유 억겸 (兪 億兼)
1931.5.9 제1회 중학단 및 일반구락부 연맹전 (조선농구협회 창립기념대회)
1931.6.11 조선농구단 창단
1932.6.18 국제농구연맹 (FIBA) 결성 및 국제농구규칙 답변확정 (스위스 쥬네브 회의)
1933.7.8 조선농구협회는 일본농구협회 조선지부에 합류한다는 결의 발표 국제 농구규칙 일부 개정 (3초 룰 미 센터라인 답변확정)
1934.10.19 농구경기 올림픽 정신종목 답변확정 (1936년 제11회 베를린 대회부터 실시)
1945.11 조선농구협회 발족 (해방)
1947.6.10 국제 아마추어농구연맹에 가입
1948 대한농구협회로 개정 (정부수립에 따라)
1955.1 국제농구규칙 국내적용 (종전에는 미국 규칙 사용)
1972.8.23 여자농구 올림픽 정식종목으로 답변확정
1972.8.26 국제농구연맹 규칙 개정
- 백코트를 신설 : 프론트 코트로 넘어간 볼은 백코트로 넘어갈 수 없다.
- 3분전 삭제 : 경기종료 3분전에 일어나는 파울은 자유투 2개를 주었는데 이를 삭제
- 팀 파울 : 한 팀이 한 하프 (전반 또는 후반)에 파울 수 가 10개가 넘을 시는 상대팀에게 자유투를 부여
1976 국제농구연맹 규칙 개정 : 3점 슛, 자유투 원 앤 원 신설
1977.5.7 국제농구연맹 규칙 일부 개정 : 3 For 2 신설
1980.10.19 한국농구인 동우회 발족
1983.12.3 ’83 점보시리즈 (농구대잔치) 개최
1984 제23회 미국 LA 올림픽 대회 여자농구 은메달
1986.5.20 한국농구코치협회 발족
1991 세계농구 100주년 기념행사 겸 대한농구협회 창립 60주년 기념행사 거행
1996.11.12 한국농구연맹(KBL) 출범 (사단법인 인가)
1998.11.12 한국여자농구연맹(WKBL) 출범 (사단법인 인가)
2001 국제농구연맹 규칙 개정 - 전 , 후반제를 폐지하고 4피리어드제 시행 (피리어드당 10분)
2005 국제농구연맹 규칙 개정 - 2 심판제에서 3심판제 시행

 

2. 경기장 및 용구

 

고급 수준의 대회에 대한 아래의 참고자료들은 이 수준의 시설과 장비가 필수적이며, 중간수준과 그 밖의 대회에서도 강력한 권장사항이다. 중간수준의 대회에 대한 참고자료는 그 수준의 시설과 장비가 필수적이며 그 밖의 대회에서도 강력한 권장사항이다.
이 부록은 농구경기시설과 장비의 제조업자, 국가별 조직위원회, FIBA가 승인하는 장비와 국가별로 국제적인 표준치를 설정하는 자료로 사용하여야 한다.

대회는 다음과 같이 3등급으로 나눈다 :

⑴ 고급수준의 대회(등급1)
국제 규정 제 1.1.1에 명시된 FIBA 주관 공식대회, 국제 규정에 규정된 FIBA가 관리하 는 대회, 그리고 다음의 FIBA가 주관하는 주요대회에서의 시설과 장비는 FIBA의 승인 을 받아야 한다.(등급 1, 2)
올림픽 대회, 남녀 세계선수권대회, 남녀 21세 이하 청소년 및 19세 이하의 남녀 주니어 세계선수권대회, 대륙별 남녀 선수권대회, 대륙별 남녀 청소년 선수권대회(20세 이하)
⑵ 중간수준의 대회(등급2)
그 외에 FIBA 규정 제 1.1.2, 1.1.3에 명시된 FIBA 주관 공식대회와 규정에 따라 FIBA 가 관리하는 대회, 국가별 연맹이 주관하는 고급수준의 대회.
⑶ 그 밖의 대회(등급3)
위에 포함되지 않는 모든 대회.

[주] 모든 측정치의 오차는 DIN ISO 표준 286에 의하며 (참고사항 [1] 참조) 그 밖의 수치들은 제외된다.
모든 측정치는 단위를 ㎜로 한다.
참고 자료는 FIBA가 발간한 “높은 수준의 대회를 위한 농구경기 시설과 안내”와 “작은 농구경기설의 안내” 책자에 수록되어 있다.

1. 백 스톱 시설(Backstop Unit)
경기장에는 양 엔드에 놓이는 2개의 백 스톱시설이 있어야 하며(그림 1) 그 내용은 다음 과 같은 것이어야 한다.
⑴ 백 보드 1개
⑵ 바스켓 링과 링을 매다는 판
⑶ 바스켓의 네트
⑷ 바스켓 받침대(지주)
⑸ 씌우개(덮개)


2. 백 보드
2.1 백 보드는 투명한 1개의 판으로 만들어야 하며(가급적 안정성 있는 유리) 빛이 반사 되지 않아야 한다.
⑴ 유리 백 보드는 가장자리를 보호하는 프레임이 있어야 한다.
⑵ 유리 백 보드는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부서지지 않도록 만들어야 한다.
⑶ FIBA가 주관하는 1, 2등급 대회에서는 안전성 있는 유리로 백 보드를 만들어야 한다.

2.2 그 밖의 대회에서는(등급 3) 투명체이거나 또는 투명체가 아닌 것으로 만들었어도 무 방하나 위에 말한 사양에 맞는 것이어야 한다.

2.3 백 보드는 세로 1,800㎜(여유 : +30㎜), 가로 1,050㎜(여유 : +20㎜)의 규격에 맞는 것이어야 한다.

2.4 백 보드에는 다음과 같이 선을 그려야 한다 :
⑴ 백 보드가 투명체라면 백색으로
⑵ 백 보드가 투명체가 아니라면 백색표면에 흑색으로
⑶ 50㎜너비로 그린다.

2.5 백 보드의 표면은 평면이어야 하며 가장 자리를 선으로 표시해야 한다.(그림 2 참조)
링의 뒤에는 다음과 같이 직사각형을 그려야 한다.
⑴ 바깥까지의 규격 : 가로 590㎜(+20㎜), 세로 450㎜(+8㎜)이며
⑵ 직사각형의 밑 줄 윗부분이 링의 윗부분과 같은 높이로 또한 백 보드의 밑변으로부 터 150㎜(-2㎜)의 높이에 있도록 그려야 한다.

2.6 등급 1의 경기에서 모든 백 보드에는 매 피리어드가 끝나는 경기 시계의 신호와 동 시에 빨간 불이 켜지는 또 다른 계시기를 백 보드의 경계보다 안쪽에 그림 1과 같은 거리를 두고 설치해야 한다.


2.7 백 보드는 플로어와 직각이 되고 엔드 라인과 평행이 되도록 코트의 양 끝에 있는 백 보드의 받침대에 단단히 매달아야 한다.(그림1)
표면의 중앙 점으로부터 플로어로 이어지는 점이 엔드 라인의 안쪽 중앙 점으로부터 1,200㎜ 떨어진 가상의 지점과 직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해야 한다.

2.8 백 보드 유리의 강도실험
⑴ 무게 50㎏의 사각형 물체를(250㎜의 높이와 너비, 길이 1,100㎜) 그림 3과 같이 1,200㎜의 거리에 2개의 나무막대를 받침으로 하고 백 보드의 유리를 놓은 표면의 중앙 위에(프레임 없이) 올려놓았을 때 휘어지는 정도가 최대한 3㎜이어야 한다.
⑵ 볼을 백 보드에 떨어뜨렸을 때 떨어뜨린 높이로부터 최소한 50% 튀어 올라야 한다.


3. 바스켓 링
3.1 링은 단단한 철제로 만들어야 한다.
⑴ 링 안의 직경은 450㎜~457㎜이어야 한다.
⑵ 링은 FIBA가 승인한 자연색의(NCS) 오렌지색이어야 한다.
(참고사항[2] 0080-Y70R, 0090-Y70R, 1080-Y70R 참조)
⑶ 철제 링의 굵기는 16㎜~20㎜이어야 한다.

3.2 네트는 12곳의 걸이개에 달아야 하며, 네트를 다는 부위는 :
⑴ 날카롭거나 틈이 있어서는 안 된다.
⑵ 틈새는 손가락이 들어가지 않도록 8㎜이내이어야 한다.
⑶ 등급 1, 등급 2의 경기에서는 이 부위가 고리의 모양이어서는 안 된다.


3.3 링은 백 보드를 받치고 있는 프레임에 연결하여 링에 가해지는 어떤 힘도 직접 백 보 드나(유리 또는 다른 재료) 위에 매달은 받침에 전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백 보드와 받침의 틈새는 손가락이 들어가지 않을 정도로 좁아야 한다.
3.4 링의 상단부는 플로어로부터 3,050㎜이어야하며, 백 보드의 양 가로면의 끝으로부터 같은 거리에(중앙) 수평으로 설치해야 한다.

3.5 링의 직경 안쪽으로부터 백 보드 표면까지의 가장 가까운 거리는 150㎜(±2㎜)이어야 한다.


3.6 링을 매다는 쇠판은 그림 5에 표시된 사양에 따라 백 보드 받침인 프레임에 연결하 도록 권장한다.(그림 6)


3.7 압력으로 벌어지는 링을 사용할 수 있으나 다음과 같은 사양이어야 한다 :
⑴ 볼이 리바운드되는 정도는 보통의 링과 같아야 하며 압력에 의해 벌어지는 작용은 정해진 사양에 맞고 백 보드나 링에 아무런 손상을 주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또한 링의 디자인이나 제조설치는 선수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⑵ 백 보드로부터 가장 먼 링의 끝 부분에 최소 82㎏, 최대 105㎏의 정적인 부하를 주 어도 벌어지지 않는 정도의 것이어야 한다.(POSITIVE LOCK SYSTEM)
⑶ 압력에 의해 풀릴 때 링은 원래의 위치에서 최소 10도, 최고 30도까지만 벌어져야 한다.
⑷ 벌어졌던 링은 부하가 없어지면 자동적으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이어야 하 며 갈라지거나 변형이 되어서는 안 된다.
⑸ 두개의 링은 같은 정도의 리바운드 탄력을 가져야 한다.

3.8 등급 1의 경기에서는 FIBA의 승인을 거친 기구로 측정한 링의 높이와 리바운드 탄력 을 거친 장비만을 사용해야 한다.
링과 바스켓 받침대의 리바운드 탄력성은 총 중력 에너지의 35~50%이내의 에너지 흡수율을 가져야 하며 같은 코트의 두 바스켓 사이에는 50%이내의 차이만 허용된다.

4. 바스켓의 네트
4.1 네트는 백색 끈으로 만들어야 하며 :
⑴ 링에 매달아야 하며
⑵ 볼이 바스켓을 통과할 때 순간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⑶ 길이는 400㎜~450㎜이어야 한다.
⑷ 링에는 네트를 매달 수 있는 12곳의 걸이개가 있어야 한다.

4.2 네트의 윗부분은 다음과 같은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약간 단단하게 만들어야 한다.
⑴ 네트가 링 밖으로 튀어나오거나 얽히는 것.
⑵ 볼이 네트에 걸리거나, 다시 밖으로 튀어나오는 것.

5. 백 보드의 받침대
5.1 FIBA가 주관하는 등급 1의 대회에서는 이동식 또는 플로어에 고정시키는 백 보드의 받침대만을 사용해야 한다.
FIBA가 주관하는 등급 2, 3의 대회에서는 천장이나 벽에 부착시키는 백 보드도 사용 할 수 있다.
천장에 매다는 백 보드는 높이가 10,000㎜이상인 실내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5.2 백 보드의 받침대는 :
⑴ 백 보드 받침대(지주)의 전면은 덮개를 포함하여 엔드 라인의 바깥으로부터 적어도 2,000㎜이상의 거리에 있어야 한다.
⑵ 색은 배경과 대조적인 것으로 선수들이 쉽게 분간할 수 있어야 한다.(그림 1)
⑶ 백 보드의 받침대는 자체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플로어에 고정시키지 않고 무게 를 추가해야 한다.
⑷ 일단 백 보드의 구조체가 자리를 잡으면 링의 윗부분이 플로어로부터 3,050㎜이어 야하며 이 높이는 변하지 않아야 한다.

5.3 링이 달린 백 보드의 받침대는 EN1270norms를 감당할 정도로 고정성이 있어야 한다.

5.4 백 보드 받침대의 눈에 보이는 떨림은 덩크 슛 후 4초 이상 지속되어서는 안 된다.

6. 덮개(패딩)
6.1 백 보드와 백 보드의 받침(대)들은 다음과 같이 덮개를 씌워야 한다.

6.2 백 보드의 밑면은 적어도 20㎜의 두깨로 덮개를 씌워야 하며(그림7)
⑴ 양 백 보드의 밑면과 세로 면은 백 보드의 밑면으로부터 적어도 350㎜의 높이까지 덮개를 씌워야하며
⑵ 백 보드의 밑면의 앞뒤는 적어도 20㎜높이까지 덮개를 씌워야 한다.

6.3 백 보드 받침대의 덮개는 :
⑴ 받침대의 세워진 부분(지주)은 플로어로부터 적어도 2,150㎜의 높이까지 두께 100 mm이상의 덮개로 씌워야 한다.(그림1)
⑵ 백 보드의 밑면과 옆을 받치는 받침 부분은(뒷쪽) 1.200㎜이상의 길이를 덮개로 씌 워야하며 이 덮개의 두께는 적어도 25㎜이상이어야 한다.(그림1)

6.4 모든 덮개는 :
⑴ 팔 다리가 끼지 않도록 만들어야 하며
⑵ 덮개에 갑작스런 힘이 가해질 때 원래의 두께에서 50%이상 들어가지 않아야 한다.
⑶ 모든 덮개는 EN913, Amex C(참고사항 [3]참조)의 실험을 통과한 것이어야 한다.
⑷ 등급 1의 경기에서는 NGS0090-B10G에 따른 파란색이어야 한다.


7. 볼
7.1 등급 1과 2의 경기에서의 볼의 표면은 가죽이나 인공/합성 피혁으로 만든 것이어야 하다.
등급 3의 경기에서의 볼의 표면은 고무로 만든 것이어도 무방하다.

7.2 볼의 표면에 독성 물질이나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이 묻어 있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볼에 중금속(EN71)이나 AEO컬러가 포함되어도 안 된다.

7.3 볼은 :
⑴ 둥글어야하며, 검정색의 솔기와 오렌지색 또는 FIBA가 승인한 어두운 오렌지 또는 밝은 갈색이어야 한다.
⑵ 너비가 6.35㎜이내의 8개 또는 12개의 솔기가 있어야 한다.(그림 8)


⑶ 볼의 밑 부분에서 측정하여 1,800㎜의 높이에서 떨어뜨려 볼의 윗부분이 1,200~1,400㎜의 높이까지 튀어 오르도록 공기를 넣어야 한다.
⑷ 각각 위 사이즈 번호가 찍혀 있어야 한다.

7.4 모든 등급의 남자 경기에서는 볼의 둘레가 749㎜~780이어야하며(7호), 무게는 567g~650g이어야 한다.

7.5 모든 등급의 여자 경기에서는 볼의 둘레가 724㎜~737㎜이어야하며(6호), 무게는 510g~567g이어야 한다.

7.6 위에 기재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검사를 거쳐야 한다 :
⑴ 강도의 내구성 테스트
⑵ 가열 테스트
⑶ 밸브의 새는 여부 테스트
⑷ 실용 테스트
⑸ 등급 1과 2의 경기에서 1등급 볼의 결핍 테스트

7.7 등급 1, 2의 경기에서 주최측은 워밍 업을 위해 대회 지정구와 같은 종류의 볼 12개 를 준비해야 한다.

8. 경기시계
8.1 등급 1, 2의 경기에 있어서 주 경기시계는 다음과 같은 것이어야 한다.(그림 9)
⑴ 경기시계는 시간이 줄어드는 디지털 형식이어야 하며 각 피리어드가 끝나는 시간이 0을 표시할 때(00:00) 자동으로 신호가 울리는 것이어야 한다.
⑵ 적어도 각 피리어드가 끝나기 60초전에는 남은 경기 시간을 1/10초 단위로 표시하 는 것이어야 한다.
⑶ 경기시계는 관중을 포함하여 경기에 관련된 모든 사람에게 잘 보이도록 설치해야 한다.

8.2 만일 주 경기시계가 경기장 중앙의 위에 설치되어 있다면 동시에 똑같이 작동되는 시계를 경기장의 양쪽 엔드 라인 밖에 관중을 포함하여 경기에 관련된 모든 사람에게 잘 보이도록 충분한 높이에 설치해야하며 이 경기시계도 스코어와 남은 경기시간을 표시해야 한다.

8.3 심판의 호각으로 조종되는(Whistle-controlled system)시계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것은 지정된 대회에서만 사용한다.

9. 스코어 보드
9.1 등급 1, 2의 대회에서 사용하는 2개의 커다란 스코어 보드는 다음과 같은 것이어야 한다 :
⑴ 각 엔드라인 밖에 커다란 스코어 보드 2개와 필요하다면 경기장 중앙의 위에 정육 면체의 스코어 보드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육면체의 스코어 보드는 위에 말한 2개 의 스코어 보드 때문에 없앨 필요는 없다.
⑵ 관중을 포함한 경기에 관련된 모든 사람들에게 잘 보여야 한다.

9.2 계시원에게는 경기시계를 조종하는 패널이, 보조 기록원에게는 별도로 분리된 스코 어 브드를 조종하는 패널이 있어야 한다.
각 패널들은 잘못된 데이터를 쉽게 수정할 수 있어야 하며 메모리의 장착으로 최소 30분간의 모든 경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

9.3 스코어 보드는 또한 :
⑴ 디지털 카운트 다운식 시계를 내장하고 있어야 한다.
⑵ 각 팀이 득점한 점수와 등급 1의 경기에서는 선수들의 개인 득점 합계를 표시해야 한다.
⑶ 선수 개인의 번호와 등급 1의 경기에서는 선수들의 성(姓)을 표시해야 한다.
⑷ 팀명을 표시해야 한다.
⑸ 각 팀 선수의 개인 파울 수를 1에서 5까지 표시해야 하다. 그리고 5회째의 파울은 빨간색 또는 오렌지색으로 표시해야 한다. 이 숫자는 5개의 표시등 또는 1개의 표시 등으로 할 수도 있으나 숫자의 높이는 적어도 135㎜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5회째의 파울은 5초간 느리게 깜빡거리게(~1HZ) 표시할 수도 있다.
⑹ 1에서 5까지의 팀 파울 수를 표시해야하며 5회째에는 멈추어야 한다.
⑺ 1부터 4까지의 피리어드 숫자와 연장전을 표시하는 E자가 표시 되어야 한다.
⑻ 전반전과 후반전에 0에서 3까지 차지 타임 아웃 횟수를 표시해야 한다.
⑼ 다음번 점프 볼의 상황에서 볼의 소유권을 얻어 드로 인을 할 팀을 표시해야 한다.
⑽ 타임 아웃의 시간을 재는 시계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경기 시계는 타임 아웃 시 간에 작동시켜서는 안 된다.(이는 선택사양임)

9.4 등급 1, 2의 경기에 있어서 :
⑴ 스코어 보드의 표시는 밝고 보드와 대조적인 색이어야 하며
⑵ 표시등의 배경은 무광택이어야 한다.
⑶ 경기시계에 표시되는 숫자와 경기 스코어는 높이가 최소 300㎜ 너비가 최소 150 ㎜이어야 하다.
⑷ 팀 파울과 피리어드를 표시하는 숫자는 높이가 최소 250㎜ 너비가 최소 125㎜이어 야 한다.
⑸ 스코어 보드의 경기시계와 경기 스코어 그리고 24초 계시기는 최소 130도의 시야각 도를 가져야 한다.

9.5 스코어 보드는 다음과 같은 것이어야 한다 :
⑴ 날카로운 면이나 거칠게 다듬은 면이 있어서는 안 된다.
⑵ 안전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⑶ 볼의 심한 충격에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⑷ 스코어 보드에 대한 각종 장애를 방지하는 특수 보호 장치(필요시)
⑸ 국가별로 적법한 전자석을 갖고 사용해야 한다.


10. 24초 계시기
10.1 24초 계시기는 다음과 같은 것이어야 한다 :
⑴ 24초 계시원이 별도로 조종하며 24초의 기간이 끝나 0이 표시될 때 끝남을 자동 으로 알리는 큰 소리의 신호음이 울리는 것이어야 한다.
⑵ 초 단위로 시간이 줄어드는 디지털 형식이어야 한다.

10.2 24초 계시기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이어야 한다 :
⑴ 24초로부터 계시가 시작되는 것이어야 한다.
⑵ 정지시켰을 때 남아 있는 시간이 초 단위로 표시되는 것이어야 한다.
⑶ 정지되었던 시간으로부터 다시 시동시킬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⑷ 필요할 때 시간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10.3 24초 계시기는 경기시계와 연결되어 다음과 같이 작동되는 것이어야 한다 :
⑴ 경기 시계가 멈추면 계시기도 멈출 수 있으며
⑵ 경기 시계가 시동이 되어도 계시기는 수동으로 시동시킬 수 있으며
⑶ 경기 시계가 움직이고 있거나 정지되어도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계시를 정지시키거 나 신호음을 울릴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10.4 24초 계시기의 시간 표시 숫자는(그림 10) 또 다른 경기시계와 빨간 불이 켜지는 기능을 가져야 하며 :
⑴ 각 백 보드의 받침(윗부분)위에 백 보드로부터 최소 300㎜위로 백 보드의 뒤에 설 치하거나 천장에 매달 수도 있다.
⑵ 계시기에 표시되는 숫자와 경기 시계에 표시되는 숫자는 서로 다른 색이어야 한다.
⑶ 계시기에 표시되는 숫자는 높이가 최소한 230㎜이어야하며 경기 시계에 표시되는 숫자보다 커야 한다.
⑷ 등급 1의 경기에 있어서는 모든 방향에서 잘 볼 수 있도록 1개의 계기에 3개의 계 시기가 장착되도록 해야 한다.(삼각형-등급 2, 3의 경기에서는 권장사항임)
⑸ 위 삼각형의 계시기는 받침을 포함하여 무게가 80㎏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⑹ 볼에 의한 충격테스트 DIN-180320-3(참고사항 [8] 참조)을 통과한 것이어야 한다.
⑺ 국가별 법에 저촉되지 않으며 전자기기 부품의 호환성이 좋은 것이어야 한다.

10.5 24초 계시기에 부착되는 전구는 다음과 같은 것이어야 한다 :
⑴ 밝은 빨간색이어야 하며
⑵ 경기 시계와 연결되어 피리어드의 경기 시간이 끝날 때 신호음과 동시에 불이 켜져 야 한다.
⑶ 24초의 기간이 만료되었을 때 신호음과 동시에 불이 켜져야 한다.


11. 신호기
11.1 다음과 같이 구분하기 쉽고 소리가 큰 신호기가 2개 이상이 있어야 한다 :
⑴ 1개는 계시원과 기록원용으로 각 피리어드나 연장전 또는 경기의 종료를 자동으로 알리는 것이어야 한다.
계시원과 기록원이 심판에게 알릴 일이 있을 때 수동으로 신호를 울릴 수 있는 것이 어야 한다.
⑵ 1개는 24초 계시원용으로 24초의 기간이 만료될 때 자동으로 울리는 것이어야 한 다.
11.2 2개의 신호기는 소음이나 어떤 어려운 상황에서도 쉽게 들리는 소리가 큰 것이어야 한다.
신호음의 크기는 소리가 나는 곳으로부터 1m의 거리에서 측정하여 최고 120dBA이 어야 한다.
경지장 내의 확성기에 연결하는 것을 강력히 권장한다.

12. 선수의 파울 수 표시판
기록원은 다음과 같은 선수의 파울 수 표시판 5개를 준비해야 한다 :
⑴ 바탕이 흰 색
⑵ 숫자의 길이는 최소한 200㎜, 너비가 100㎜이어야 하며
⑶ 1에서 5까지의 숫자가 표시되어 있어야 한다.(1에서 4까지는 흑색, 5는 빨간 색)

13. 팀 파울 표식과 표시기
13.1 기록원은 다음과 같은 2개의 팀 파울 표식(또는 표시기)을 준비해야 한다 :
⑴ 빨간 색이어야 한다.
⑵ 높이가 최소 350㎜, 너비가 최소 200㎜이어야 한다.
⑶ 기록석의 끝에 놓았을 때 관중을 비롯하여 경기에 관련된 모든 사람들에게 잘 보이 는 것이어야 한다.
⑷ 팀 파울 수를 5까지 표시할 수 있는 표시기가 있어야 하며 한 팀이 팀 파울 상황에 있음을 알릴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13.2 전기나 전자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위의 사양에 맞는 것이어야 한다.

14. 볼 소유권의 교체 표시기
14.1 기록원은 다음과 같은 볼 소유권의 교체 표시기를 준비해야 한다 : (그림11)
⑴ 최소한 길이 100㎜와 높이 100㎜이어야 한다.
⑵ 스위치를 켰을 대 밝은 빨간색으로 빛이 나면서 볼 소유권의 방향을 표시한 화살표 시가 앞면에 나타나는 것이어야 한다.
⑶ 기록석의 가운데 놓았을 때 관중을 비롯한 모든 경기 관련자에게 잘 보이는 것이어 야 한다.

14.2 등급 1의 경기에 있어서 스코어 보드에는 볼 소유권의 표시기가 표시되어야 한다.
(그림 8)


15. 경기장의 플로어
15.1 경기장 플로어의 표면은 다음과 같은 것이어야 한다.
⑴ 영구적인 목제의 플로어(등급 1, 2경기)
⑵ 이동 가능한 목제의 플로어(등급 1, 2경기)
⑶ 영구적인 합성 재질의 플로어(등급 2, 3경기)

15.2 플로어는 다음과 같은 것이어야 한다.
⑴ 길이는 최소한 32,000㎜
너비는 최소한 19,000㎜
⑵ 표면은 광택이 없어야 한다.
⑶ 등급 1의 경기에 있어서는 DIN-18032-2(참고사항 [7] 참조)에 맞는 영구적인 나 무 플로어이어야 한다.

15.3 플러링 제조업체와 시공자는 :
⑴ ISO 9001과 ISO 9002(참고사항 [9] 참조)에 따른 품질 보증 프로그램을 갖고 있어 야 한다.
⑵ 거래처들에게 적어도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는 보증서를 제출할 수 있어야 한 다.
⑶ 원본 모델의 테스트 결과, 설치 과정의 설명서, 조사 기관에서의 설치 승인과 설치 에 따른 조사 결과.

15.4 경기장 바닥으로부터 천장까지 사이의 가장 낮은 장애물까지의 사이는 최소한 7,000mm이어야 한다.

16. 경기장
16.1 경기장은 다음과 같이 그려야 한다 :
⑴ 경기 규칙의 규정에 따라 너비 50㎜의 선으로,
⑵ 또 다른 경계선(구역)은 확연히 구분되는 색으로 최소한 너비 2,000㎜의 선들로 구 분해야 한다.
또 다른 경계선(구역)의 색은 센터 서클과 제한 구역내와 같은 색이어야 한다.

16.2 경기장(플로어) 바닥으로부터 200㎜이상의 높이에 설치하는 플렛 폼에 최소한 길이 6,000㎜, 높이 8,000㎜의 기록석을 설치한다.

16.3 모든 관중들은 경기장의 관중들로부터 적어도 5,000㎜떨어진 거리에 앉아야 한다.


17. 조명
17.1 경기장은 적절한 밝기로 고르게 밝혀야 하며, 선수와 심판들의 시야에 방해가 되지 않아야 한다.

17.2 아래의 표는 FIBA의 TV 방송에 필요한 조명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조명도는 경기장 바닥으로부터 1,500㎜의 높이에서 측정하여야 한다.


17.3 모든 조명은 다음과 같이 설치하여야 한다 :
⑴ 반짝임이나 그림자들을 줄이기 위해 정확한 위치에 설치해야 한다.
⑵ 국가별 전기 장치의 안전 기준에 부합되는 것이어야 한다.
⑶ 전원이 차단될 때를 대비하여 레벨 3의 예비장치가 있어야 한다.

17.4 등급 1의 경기에는 다음과 같은 스트로브 조명장치가 설치되어야 한다.
⑴ 4개의 선을 설치할 수 있는 전선연결장치가 있어야 하며, 각 1개씩을 경기장의 네 군데 모서리에 설치해야 한다.
⑵ 각 선에는 4개의 스트로브 조명의 세트가 들어올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⑶ 각 세트는 동시 조명이 되어야 하며 바스켓 받침대 부근에 설치된 스위치 작동으로 촬영기사가 쉽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⑷ 각 세트는 경계선으로부터 최소한 5,000㎜의 거리에, 높이 15,000㎜의 높이에 설치 되어야 한다.(권장사항)
⑸ 4개의 스트로브 조명용 소켓은 플래시로부터 2,000㎜의 거리에 있어야 하며, 각 소 켓은 분리되어 램프 사이의 각종 장애로부터 보호되는 것이어야 한다.(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자석장착)
⑹ 연결 부위는 관중들이 손댈 수 없도록 안전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⑺ 플래시는 떨어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설치해야 한다.

17.5 개별적으로 플래시를 터뜨리는 사진 촬영은 금지 된다.

18. 광고판
18.1 광고판은 경기장의 주위에 다음과 같이 설치할 수 있다 :
⑴ 엔드 라인과 사이드 라인으로부터 최소한 2,000㎜ 떨어진 거리에 설치하여야 한 다.(그림 13)
⑵ 엔드 라인을 따라 설치되는 광고판들은 필요하다면 이동식 백 스톱 시설로부터 최소 한 900㎜의 여유를 두어 TV카메라나 바닥 닦이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18.2 광고판은 기록석의 앞에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때에는 기록석과 높이가 같고 바로 테이블 앞에 설치할 때에만 가능하다.

18.3 광고판은 다음과 같은 사양이어야 한다 :
⑴ 경기장 바닥으로부터 높이 1,000㎜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⑵ 최소한 두께 20㎜이상의 덮개를 광판 위에 씌워야 한다.
⑶ 소리가 나지 않아야 하며 모서리들은 모두 둥글게 처리해야 한다.
⑷ 전자제품에 대한 국가별 안전 기준에 부합하는 것이어야 한다.
⑸ 동력을 사용하는 부품에는 기술적인 보호 장치가 있어야 한다.
⑹ 가연성 물질이어서는 안 된다.

18.4 등급 1의 경기에서는 동력으로 회전하는 광판만이 허용된다.


19. 기타 서비스 구역
19.1 기타 서비스 구역은 대회운영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대회관계자나 그 밖 의 모든 사람들, 몸이 불편한 사람들도 쉽게 출입할 수 있어야 한다.

19.2 필요로 하는 시설구역들은 :
⑴ 팀들의 경의실
⑵ 심판들과 테이블 오피셜들의 경의실
⑶ FIBA의 대표자와 커미셔너들을 위한 방
⑷ 도핑 테스트실
⑸ 선수들을 위한 응급처치실
⑹ 스탭들의 경의실
⑺ 창고와 물품 보관소
⑻ 대회 본부실
⑼ Media 구역
⑽ VIP실

20. 관중석
20.1 관중석은 다음과 같아야 한다 :
⑴ 몸이 불편한 사람들을 포함하여 관중들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해야 한다.
⑵ 관중들이 편안하게 경기를 관람할 수 있는 시야를 확보해야 한다.
⑶ 지역의 기준이 특별히 적용되지 않는 한, 그림 14에서와 같이 모든 좌석에서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각도가 있어야 한다.


20.2 지역의 기준이 특별히 적용되지 않는 한 관중석은 다음과 같아야 한다.
⑴ 체육관의 총 수용 능력은 좌석과 입석의 합계를 말한다.
⑵ 좌석 수는 의자의 수 또는 테라스나 벤치의 길이를 480㎜로 나눈 길이의 합계를 말 한다.
⑶ 입석 공간의 수는 10㎡당 35명으로 계산한다.
위와 같은 설계명세는 권장사항이다.

21. 참고
[1] DIN ISO 286, 1990 : ISO 시스템의 한계와 적용 : 융통성과 규칙에서 벗어남, 적용에 기반
[2] Standardiseringkommissionen I Sverige(SIS)의 National Colour System, Doc.No.SS019102
[3] EN 913, Annex C, 1996 : 패드의 충격 흡수 측정
[4] EN 71-3, 1995 : 장난감의 안전성. 그러한 요소들의 이동에 따른 규정
[5] EN 1270, 1998 : 경기장 장비 *농구 장비 *기능 및 안전 요구 사항, 테스트 방법
[6] DIN EN 12193, 1999 : 조명의 적용, 스포츠 조명
[7] DIN 18032-2, 1991 : 스포츠 홀의 표면, 요구 조건, 테스트, 유지
[8] DIN 18032-3, 1997 : 스포츠 홀; 체육관과 경기장 투구에 대한 안전성 테스트
[9] ISO 9002, 1994 : 품질 보증 운영

ISO 기준은 스위스 제네바의 ISO General Secretary에 의해 판매된다.

 

3. 규칙

룰은 너무나 방대합니다.

http://www.koreabasketball.or.kr/basket/?fn=basket_rule01

직접참조하세요

 

 

4. 심판 시그널

 

손을 아래 위로 흔든다

손을 머리 위로 든다

팔을 가슴 앞에서 교차 시킨다

 두팔을 위로 들어고 손가락 세개를 표시한다

머리 위에서 두손으로 T자를 표시

세손가락을 표시하여 팔을 옆으로 든다

주먹 쥐고 머리 위로 들며 한손으로 파울 한 선수를 가리킨다

손가락으로 사이드 라인을 가리킨다

두손가락으로 프리스로 라인을 가리킨다

두손을 벌려서 위로 든다

손가락 하나를 표시하여 위로 든다

두손을 앞에서 돌린다

 

 

5. 농구용어

이 역시 일일이 설명하기보다 직접참조하세요

http://www.koreabasketball.or.kr/basket/?fn=basket_dic_list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저와 같은 처지이군요 하지만 전하나는 알아요 바로 공을들고 3발자국 밖에못움직인다.

시설및용구,경기규칙,심판법,용어정리

농구에대해서 조사하는데요.., 1역사 2경기장시설및용구 3경기규칙(아마,프로,여성등..) 4심판법(시그널도해) 5용어정리 이런 순으로 가르쳐주세요 1. 역사 날 짜 내 용...

농구 기본적인 규칙이나 용어 알려주세

... 재밌길래 규칙이나 용어 대해서 잘 알고 싶어서요... ☞ 기본 시설 및 장비 - 코트(court) : 농구 경기가 진행되는 직사각형의 경기장. cf. 가로 28m x 세로 15m가 정규...

농구 용어 규칙

... 농구 기초 용어 정리 농구 경기를 즐기거나 관람을 할... ☞ 기본 시설 및 장비 - 코트(court) : 농구 경기가 진행되는 직사각형의 경기장. cf. 가로 28m x 세로 15m가 정규...

농구 규칙에 대하여

... 농구 기초 용어 정리 농구 경기를 즐기거나 관람을 할 때... ☞ 기본 시설 및 장비 - 코트(court) : 농구 경기가 진행되는 직사각형의 경기장. cf. 가로 28m x 세로 15m가...

농구 파울 규칙 설명해주세요!

... 농구 기초 용어 정리 농구 경기를 즐기거나 관람을 할 때... ☞ 기본 시설 및 장비 - 코트(court) : 농구 경기가 진행되는 직사각형의 경기장. cf. 가로 28m x 세로 15m가...

농구규칙 알려주세요

... 농구 기초 용어 정리 농구 경기를 즐기거나 관람을 할... ☞ 기본 시설 및 장비 - 코트(court) : 농구 경기가 진행되는 직사각형의 경기장. cf. 가로 28m x 세로 15m가 정규...

농구 반칙과 규칙이 알고 싶습니다

... 농구 기초 용어 정리 농구 경기를 즐기거나 관람을... ☞ 기본 시설 및 장비 - 코트(court) : 농구 경기가 진행되는 직사각형의 경기장. cf. 가로 28m x 세로 15m가 정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