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공의 과학

야구공의 과학

작성일 2009.05.03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저 야구공에 대해서 과학보고서를 쓰려고하는데요.

야구공의유래,

야구공의실밥이하는역활등을
써서적어주면감사하겠습니다.


#야구공의 과학적 원리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일단 퍼온것임을 알려드립니다.

 

 

야구공은 위의 사진처럼 내부가 이뤄져 있고 야구공의 과학이란 것은 공의 내부에 있다기 보다는 108개의 실밥<솔기>에 있습니다.

 

실밥을 꿰멘 이유에서 야구공의 과학을 찾을 수 있겠는데, 공이 받는 저항을 줄이기 위해 실밥이 존재합니다.

 

야구공을 자세히 보면 고무로 만든 작은 중심 주위를 실로 촘촘히 감고, 가죽 두 쪽을 굵은 실로 108 바늘 꿰매 만듭니다.

 

그 실밥이 하는 역할은  공 표면의 돌기들로 공기의 흐름을 부분적으로 불규칙하게 만들어 압력이 낮아지는 부분을 줄이기 위해서이고 매끈했을 경우 힘이 충분히 전달되지 않아 투수가 강한 공을 던질 수 없게 되고 미끄러지게 되겠죠?

 

야구공이 받는 마찰을 줄여 속구와 공에 변화를<변화구> 주기 위해 실밥이 존재하는 것입니다. 

 

야구공의 숨어 있는 과학은 물체 표면을 울퉁불퉁하게 해 유체와의 저항을 줄여 속도 감소를 막는 현상을 이용한 과학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1. 야구 경기에 사용되는 공. 한국야구위원회공인구코르크(cork), 고무 또는 이와 비슷한 재료로 만든 작은 심()에 실을 감고, 흰색 말가죽 또는 쇠가죽 두 쪽으로 이것을 싸서 단단하게 만든다. 중량은 141.7~148.8g 둘레는 22.9~23.5cm이어야 한다

 

 

 

 

야구공의 소재와 구조

야구는 200살이 넘은 나이를 가지고 있지만, 정확하게 그 시초와 시작이 알려져 있지 않다. 하지만 19세기 중반부터 미국의 프로야구가 시작되어 150년 넘게 많은 대중으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고 있다. 이런 긴 역사의 원동력은 뭐니뭐니해도 야구공이라고 할 수가 있는데 작은 야구공을 치고 던지고 받고 달려야 하는 스포츠이니만큼 야구공 하나가 사각의 마운드에서 선수들과 관중의 희로애락을 책임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그 책임이 무거운 공이니만큼 만들어지는 과정 또한 그리 쉬운 것은 아니다. 야구공은 다른 공들과 달리 속이 꽉 차 있는 것이 큰 특징.. 코르크와 고무로 야구공의 핵을 만들고 규정에 맞게 야구공의 핵을 목화실과 양모실로 동여매게 된다. 그리고 나서 8자로 자른 2장의 소가죽을 야구공에 덧붙이게 되는데 이때 216개의 구멍을 뚫어서 붉은 실로 기워내면 야구공이 일단 완성된다.


이렇게 탄생된 야구공은 무게 141.7g-148.8g 둘레 22.8-23.5cm 복원계수 0.514∼0.578을 가져야만 실전에 투입되게 되는 것이다.

무게와 둘레, 복원계수에 탄성까지 공인구가 되기 위해서는 그 조건도 까다로운데 이렇게 까다로운 조건이 야구를 좀더 재미있게 만드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야구공의 크기와 무게가 달라지면 어떻게 될까??
야구공과 비슷한 크기의 테니스 공이 야구공 대신 쓰인다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

테니스 공으로 타격을 할 경우, 처음에는 빠른 속도로 공이 날아가기 시작하지만, 테니스 공의 가벼운 무게는 공기의 저항을 이겨내지 못하고 내야에서 포물선을 그리면서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투수가 던질 때는 18.8m의 짧은 거리를 비행하기 때문에 공기의 저항이 크지 않고 테니스 공은 투수의 힘을 그대로 포수의 미트에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야구공보다 10Km 정도 빠른 속도로 날아 갈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공을 좀더 멀리 쳐내려는 타자와 좀더 빨리 던지려는 투수, 타자와 투수의 평균치가 야구공의 현재 크기라고 할 수 있다




공이 조금 커지거나 무거워지면 타자에게 유리하고 무게가 가벼워지거나 작아지면 투수에게 유리한 공. 좀더 잘 치려는 타자와 좀더 잘 던지려는 투수의 속마음 중앙에는 누구의 편도 들지 못하는 야구공이 자리잡고 있다.

 

야구공의 과학

... 좀더 잘 치려는 타자와 좀더 잘 던지려는 투수의 속마음 중앙에는 누구의 편도 들지 못하는 야구공이 자리잡고 있다. [출처] [스포츠와 과학] 야구공의 소재와 구조|

과학탐구활동보고서 야구공의원리

중3 과학탐구활동보고서를 쓰려고하는데 야구공의원리라고 주제를정했는데 뭘 탐구해야하고 어떤내용을적어야하는지 고민중입니다 무엇을 탐구해야하는지 알려주세요...

야구공의 회전(과학)

야구공이 노란색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때 공을 어느 숫자쪽으로 나라가나요? 원리에 대한 설명과 답 부탁드립니다. 공의 회전은 반시계, 이동방향이 오른쪽일때는. 공...

야구공 속력 과학

야구공을 던지면요, 공중에서 야구공이 날라가면서 속력이 점점 감소하나요?아니면 증가하나요? 야구공이 공중에서 날라갈 때, 속력은 점점 감소합니다. 이는 공이 공기...

야구공을 어떻게 하면 더 멀리 보낼

야구공을 어떻게 하면 더 멀리 보낼 수 있을까??(타자가) 이거 과학 원리 설명해주세요 야구공을 더 멀리 치는 것은 몇 가지 요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아래에는 야구공을 멀리...

야구공의 관한 과학법칙?

야구공 구속이 50km/h 나온다고 했을때 A가 공에 맞았을때 받는 충격이 5일때 야구공 구석이 150km/h 나온다고 했을때 A가 공애 맞았을때 받는 충격은 xx 이다 이게 충격이...

야구공의 솔기는 왜 108개일까요?

... [야구는 과학이다―야구공의 진화] ‘통통 튀는공’슬쩍쳐도 담장 훌쩍 과학기술의 발전은 야구의 본질에도 많은 변화를 주고 있다. 공과 야구 배트,글러브 등 많은...

야구공은 생일이 언제일까?

야구공은 언제 생겼나요 궁금해요 [야구는 과학이다―야구공의 진화] ‘통통 튀는공’슬쩍쳐도 담장 훌쩍 과학기술의 발전은 야구의 본질에도 많은 변화를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