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 연도별 최고 타자

프로야구 연도별 최고 타자

작성일 2008.07.04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원년부터 2007년까지 최고의 타자를 꼽아주세요..

 

뭐.. 기준은 딱히 없습니다만

 

가장 인상적인 활약과

 

활약상좀 써주세요

 

길어도 상관 없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프로야구 연도별 우승팀 #프로야구 연도별 연봉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개인마다 기준이 다르고 어떤면을 높이 볼것이냐에 따라서

다르다는걸 먼저 알려드리고 제 개인적인 생각임을 밝히고

글을 시작합니다.  단순한 숫자에 의한 평가도 있고 활약상을 기준으로 뽑은것도 있습니다.

글이 조금 길어질듯합니다.

그리고 중간중간 딱히 꼽을 선수가 없어서 건너뛰는 경우도 있음을 밝혀둡니다.

 

먼저 원년인 82년엔 백인천을 꼽겠습니다.

43년생으로 우리나이로 딱 마흔이던 82년에 아직까지 깨지지않는

4할1푼대의 타율을 포함해서 타격4관왕(타율, 안타, 장타율, 출루율)을 차지하고

홈런에서도 2위에 오르는 활약을 했지요... 일부 팬들은 당시 막 시작해서 어수선하고 자리가 잡히지

않은 상황에서 일본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룬 성적이라고 폄하하는 분들도 있지만

같은 상황에서 타율2위가 당시 최고령선수였던 윤동균이 기록한 3할2푼대 라고 봤을때

그리고 지금까지도 3할2푼대면 5위권이나 적어도 10위권에 드는 성적임을 감안할때

당연히 최고로 인정받아야 할 기록이라고 생각합니다.

83년엔 김봉연을 꼽습니다.

82년 원년 홈런왕으로 83년에도 전기리그 홈런1위를 달렸으나

불의의 교통사고로 후기리그를 제대로 뛰지 못하고 이만수에게 홈런왕을 내줬지만

한국시리즈에서 맹활약을 하며 MVP에 뽑히면서 인간승리의 모습을 보여줬지요....

84년엔 이만수를 꼽습니다.

비록 말도 많고 탈도 많았지만 어찌되었든 최초의 타격 트리플크라운을 달성했지요....

85, 86년엔 이렇다할 선수가 보이지않아 넘어갑니다.

87년엔 장효조를 꼽습니다. 85년부터 타격1위를 3년연속 차지하고 백인천의 4할이후 최고인

3할8푼7리의 타율(이종범의 3할9푼대에 이어 역대 3위)을 기록하고 데뷔해인 83년부터

5년연속 출루율 1위를 차지하면서 시즌 MVP가 됩니다.

88년, 89년엔 김성한을 꼽습니다.

85년에 삼성선수들사이에서 어부지리로 시즌 MVP가 되어서 본인도 어이없어 했던 기억속에

제대로 본인실력으로 MVP를 차지한 해가 88년입니다. 최초로 30홈런을 넘기고, 타점, 장타율등

3관왕을 차지합니다. 이듬해인 89년엔 홈런과 장타율에서 2년연속 1위를 하고 최초로 20-20을 달성합니다.

90년부터 92년까지는 장종훈입니다.

90년 최초로 홈런1위에 오르면서 타점, 장타율등에서 1위를 하며 3관왕에 올라 자신의 존재를

알리고 92년까지 3년연속 홈런, 타점, 장타율 1위를 차지하면서 91, 92 2년연속 MVP를 차지합니다.

93년엔 양준혁입니다.

데뷔 첫해에 바로 타율, 장타율, 출루율 세개부문 1위를 차지하며 신인왕에 오릅니다.

94년엔 두말이 필요없이 이종범입니다.

홈런과 타점을 제외한 타격 5관왕을 차지합니다.(전무후무한 기록)

백인천이후 처음으로 4할에 가까운 타율을 기록했고(3할9푼대), 현재까지 유일하게

한시즌 80개이상의 도루를 기록했고, 200안타에 가까운 안타를 쳐냈습니다.(196개)

시즌 MVP역시 당연히 그의 몫이었고요...

95년엔 딱히 떠오르는 타자가 없으나 잠실구장선수 최초로 홈런왕에 오르고

100타점을 돌파해서 MVP가 된 김상호를 살짝 올리고 싶네요....

96, 97 2년동안은 이종범을 꼽겠습니다.

방위복무로 절반인 63경기만 나오고도 한시즌을 다 뛴 선수들보다 나은 성적을 올렸던

95년을 지나서 96년엔 20-20을 넘어서 25-50 을, 97년엔 30-60을 기록하며

팀을 정상으로 이끌었고 그 결과 97년 한국시리즈 MVP가 되기도 합니다.

98년엔 우즈를 꼽습니다.

최초로 용병이 활약한 해인데요....

장종훈의 41홈런기록을 42홈런으로 갈아치우고, 타점1위까지 차지하면서

시즌 MVP가 됩니다. 참으로 어이없고 웃겼던건 MVP가 되고도 골든글러브는

투표인단의 애국심(?)덕분에 이승엽에게 뺐겼다는 겁니다.

99년엔 바로 그 이승엽입니다.

최초로 50홈런을 돌파하고 타점, 장타율, 출루율 등 4관왕이 되면서 시즌 MVP가 되고

당당하게 실력으로 골든글러브를 받습니다.

2000년엔 딱히 떠오르는 선수가 없고요....

01년엔 우즈입니다.

비록 타격에선 타점부문에서만 1위가 되지만 올스타전과 한국시리즈에서

잇따라 MVP가 되면서 98년 시즌 MVP를 포함, 한국프로야구사상 최초로

MVP트리플 크라운을 이룹니다. 한선수가 받을 수 있는 MVP를 모두 받는 건데요...

한국선수중에선 이종범이 2003년 올스타전 MVP가 되면서 이룬게 유일한 기록입니다.

02, 03년엔 이승엽입니다.

01년부터 3년연속 시즌MVP가 되면서 홈런왕도 3연패를 하고요 특히 03년엔

56개의 홈런으로 아시아기록을 세우기도 합니다.

04, 05년엔 없고요.....

06년엔 이대호입니다.

84년 이만수이후 22년만에 타격 트리플크라운을 이루어냈지요.

그리고 장타율1위까지 총 4관왕을 하고도 유현진의 투수트리플크라운에 가리는

아쉬움을 보이기도 했지요....

그리고 작년 07년에도 이렇다할 선수가 보이지 않네요...

굳이 꼽으라면 최하위인 팀성적에도 홀로 타율과 안타부문에서 1위를 한 이현곤과

생애첫 홈런왕에 오르며 만년 2인자에서 벗어난 심정수를 꼽을 수 있겠네요...

이상으로 최고의 타자들을 찾아봤는데요....

다시 말하지만 제 개인적인 판단으로 결정한 것이지 꼭 이게 정답은 아니란것을 밝혀둡니다.

반론을 제기하실분들 얼마든지 제기하세요... 내용을 보고 받아들일건 받아 들이고

아니다 싶은 부분은 다시 반론을 펴겠습니다. 언제든 환영합니다. 단, 인신공격은 삼가해 주시고요...

프로야구 연도별 최고 타자

원년부터 2007년까지 최고타자를 꼽아주세요.. 뭐.. 기준은 딱히 없습니다만 가장... 한국프로야구사상 최초로 MVP트리플 크라운을 이룹니다. 한선수가 받을 수 있는 MVP를...

일본 프로야구 역대 최고 용병은요?...

... 타자는 700안타 이상, 200홈런 이상, 400타점 이상은... 제가 알고 있는 일본 프로야구 역대 최고의 용병... 페타지니의 연도별 성적 2. 제가 언급하지 않은...

한국 최고타자는 누구일까?

한국 최고타자도 뽑아봅시다. 역시 아무 타자나 다... 한국프로야구역사상 가장많은 333개의 홈런을... (88,90,91,92,95) <연도별 기록> ***1987년*** -연습생으로...

LG 유지현 현역연도별 성적

LG 유지현 선수 현역시절 연도별 성적이 어떻게 되나요?... 선수타자 홈런 및 최소경기(633) 개인통산 500득점 기록(6.13 잠실 삼성전). 2000 프로야구...

프로야구 진필중, 구대성선수에대해서...

... 구대성 선수 한국에서 연도별로 구속변화좀... 구대성 선수는 대학시절 최고 154km를 던졌던 강속구... 스윙으로 타자를 요리합니다. 90년대 초반엔 145km 내외의 스피드...

마구 마구 세트덱 질문...

... 그리고 프로야구 드림팀이라구 생겼는데... 제가 99한화세트덱이인데... 99박경완을 타자에 넣으니까...... 연도별 세트덱 추가 “그 때 그 시절, 최고의 선수들을 모아라!...

임창용 선수의 관하여...

... 한국 프로 야구 경력 해태 타이거즈 시절 광주광역시... 간판 타자 양준혁을 내걸 정도로 2년간 막 신예로... 클래식 연도별 성적 (클릭해서 보시면... 자세한 성적을 보실...

이승엽 홈런 평균 비거리...

연도별 까진 필요 없구여 작년이나 한... 있긴있지만 타자, 그것도 홈런타자로서... 암튼...한국프로야구 사랑합시다!!...화이팅!!

기아타이거즈는어떤팀인가여?

... 하는 프로 야구팀이다. 한국야구위원회 소속이며... 3 연도별 포스트시즌 성적 4 응원 4.1 타자 응원가... 수상자(타자 부문) 8.1 최고 타율 8.2 최다 홈런 8.3...

일본롯데에서 활약한 한국인 선수중...

... 340로 다시한번 3할때 타자가 되고 그리고 1981년 긴테쓰 버펄로스를 마지막으로 일본 프로야구 생활을 마치고... (참고로 비하인드 스토리가 있는 짠물야구에는 연도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