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왕사의 변

흥왕사의 변

다른 표기 언어

요약 1363년(공민왕 12) 김용(金鏞)이 흥왕사의 행궁에 머무르고 있던 공민왕을 시해하려고 한 사건.

1359, 1361년의 2차례에 걸친 홍건적의 침입으로 공민왕은 복주(福州 : 안동)로 피신했고, 1362년 전란이 평정된 뒤 환도하여 1363년 2월에 흥왕사를 시어궁(侍御宮)으로 삼고 그곳에 머물렀다. 그해 3월 부원배들과 결탁한 김용은 반원개혁정책을 시도했던 공민왕을 살해하기 위해 흥왕사에 그의 도당 50여 명을 보내 침범하게 했다.

공민왕
공민왕

이에 왕의 호위인원은 다 달아났으며 안도적(安都赤)·왕자(王梓)·김한룡(金漢龍)·홍언박은 김용의 일당에게 죽음을 당했다. 그러나 최영(崔瑩)·우제(禹磾)·안우경(安遇慶)·김장수(金長壽) 등이 서울에서 군사를 거느리고 와 반란을 평정했다. 왕은 이인복(李仁復)·정찬(丁贊)·우제·홍선복에게 명령하여 역적들을 순군(巡軍)에서 국문하게 했으며 곧바로 흥왕토적공신을 봉록했다. 김용은 초기에는 반란군 진압에 나서는 등의 행위로 모면했으나 그의 음모가 드러나서 곧 체포되어 밀성(密城 : 지금의 밀양)으로 귀양갔다가 계림부로 옮겨진 뒤 유배지에서 처형당했다.

이러한 김용의 공민왕 살해기도가 실패로 끝나자, 5월 원나라가 직접 개입하여 반원정치를 시도하는 공민왕을 일방적으로 폐위하고 원나라에 있는 충숙왕의 아우 덕흥군을 왕으로 삼았다. 또 최유(崔濡)에게 요양의 군사 1만 명을 주어 고려를 침입하게 했으나 수주(隨州 : 지금의 定州)의 달천(達川)에서 최영과 이성계의 활약으로 참패하고 돌아갔다. 이에 원은 할 수 없이 공민왕을 복위시키고 최유를 보냈지만, 이를 계기로 고려와 원의 관계는 더욱 냉각되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