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야오방

후야오방

다른 표기 언어 Hu Yaobang , 胡耀邦
요약 테이블
출생 1915. 11., 중국 후난 성[湖南省] 류양[瀏陽]
사망 1989. 4. 15, 베이징[北京]
국적 중국

요약 마오쩌둥의 후계자 화궈평을 밀어내고 공산당 주석이 되었다. 주석이 된 뒤, 중국 지도층의 경제성장을 가속화하기 위해 실용주의적 계획안을 좀 더 폭넓게 받아들였다.
1933년 공산당 일원이 되었고, 장정에 참여한 뒤 후일 당지도자가 된 덩샤오핑과 일했다. 중일전쟁 때는 덩샤오핑 밑에서 제2야전군정치위원으로 활약했다. 1952년 공산주의 청년단 제1서기가 되었고, 1980년에는 중국공산당 총서기가 되었고 1981년 주석이 되었다. 1982년 9월 제12회 전국대표회의에서 당주석제를 폐지하는 데 이바지했으며, 1980년 중엽 완고한 마오쩌둥주의자와 부패하고 무능한 당원들을 숙청, 젊은 간부진으로 교체했다. 1987년초 정치적 정책의 주요 문제에서 저지른 잘못을 이유로 사임했다.

후야오방(胡耀邦)
후야오방(胡耀邦)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난 후야오방은 정식 교육을 받지 못했다. 14세 때 집을 떠나 공산당원들과 어울렸고, 1933년 공산당 일원이 되었다. 장정(1934~35)에 참여한 뒤 후일 당 지도자가 된 덩 샤오핑[鄧小平]과 함께 일했다.

중일전쟁 때는 덩샤오핑 밑에서 제2야전군 정치위원으로 활약했다. 1940년대말 공산군이 국민당 군대로부터 쓰촨 성[四川省]을 빼앗자, 후야오방과 덩 샤오핑은 그 지역으로 들어갔다. 1952년 그는 덩 샤오핑을 따라 베이징으로 가서 공산주의 청년단 제1서기(1952~66)가 되었다.

1966년 문화대혁명이 시작된 이후, 후야오방과 덩 샤오핑은 숙청과 복권을 2번씩 되풀이했다. 1977년에 2번째로 복권된 뒤 후야오방은 공산당 조직부장이 되었고, 그 직후에 정치국원과 선전 책임자로 임명되었다. 1980년 2월 중국공산당 총서기가 되었고, 통치기구의 핵심조직인 정치국 상임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81년 6월 마오쩌둥[毛澤東]의 후계자인 화궈펑[華國峰]을 밀어내고 공산당 주석으로 승진했다. 후야오방의 승진은 그의 스승인 중국의 실권자 덩 샤오핑의 막후 공작으로 이루어졌다. 그가 주석이 된 뒤 중국 지도층은 경제성장을 가속화하기 위해 실용주의적 계획안을 좀더 폭넓게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후야오방은 공산당 총서기로서, 당 기구가 새로 바뀐 중국 지도부의 정책방향을 정확히 수행하도록 하는 책임을 맡았다. 그는 이미 신용을 잃은 공산당의 마오쩌둥 사상을 격하시키고, 그것을 좀더 유연하고 실용적인 정책으로 바꾸기 시작했다. 마오쩌둥에 대한 개인숭배 대신 집단지도체제를 새로이 강조하는 방침을 택한 그는 마오쩌둥이 당주석으로서 행사했던 통제력이 다시 살아나는 것을 막기 위해 1982년 9월 제12회 전국대표대회에서 당주석제를 폐지하는 데 이바지했다. 이어서 1980년대 중엽 완고한 마오쩌둥주의자와 부패하고 무능한 당원들을 숙청하고, 보다 젊고 좋은 교육을 받은 젊은 간부진으로 교체했다. 좀더 많은 서구식 자유를 요구하는 학생시위가 몇 주일이나 계속된 뒤, 1987년초 후야오방은 정치적 정책의 주요 문제에서 저지른 잘못을 이유로 사임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여전히 정치국 상임위원회 위원으로 남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