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경

효경

다른 표기 언어 孝經

요약 유교 경전의 하나.

공자와 증자(曾子)가 효도에 관하여 문답한 것을 기록한 책으로 13경(十三經) 중의 하나이다. 저자에 대해서는 공자가 지었다는 설, 증자가 지었다는 설, 증자의 제자들이 집록했다는 설 등 여러 가지가 있어 확실하지는 않으나 증자 문인들의 저술로 보는 견해가 가장 유력하다.

대개 진(秦)의 분서갱유 때 안지(顔芝)가 보관하고 있던 것을 한(漢)대에 그의 아들 정(貞)이 펴낸 〈금문효경 今文孝經〉과 공자의 옛 집을 헐 때 발견된 〈고문효경 古文孝經〉의 2가지가 있는데, 〈고문효경〉에 규문장(閨門章)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면 내용에 큰 차이가 없다. 이 책에서는 부모에 대한 효도를 바탕으로 집안의 질서를 세우는 일이 치국의 근본이며, 효도야말로 천·지·인(天地人) 3재를 관철하고 모든 신분계층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최고덕목·윤리규범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중국·한국·일본 봉건사회에서 '효'가 통치사상과 윤리관의 중심으로 자리잡게 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필수교과목으로 중시했으며, 특히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여러 차례 간행하여 보급했다.

주석서로는 한대의 정현(鄭玄)·공안국(孔安國)이 각각 〈금문효경〉·〈고문효경〉에 주를 붙인 것이 있고, 이밖에도 당나라 현종(玄宗) 때의 〈어주효경 御注孝經〉, 송나라 진종 때의 〈효경정의 孝經正義〉, 주희(朱熹)의 〈효경간오 孝經刊誤〉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유가(儒家)
유가(儒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