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봉한

홍봉한

다른 표기 언어 洪鳳漢 동의어 익여, 翼汝, 익익재, 翼翼齋
요약 테이블
출생 1713(숙종 39)
사망 1778(정조 2)
국적 조선, 한국
본관 풍산(豊山,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익여(翼汝)
익익재(翼翼齋)

요약 조선 영조의 탕평책에 호응하는 정책을 펼친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 자는 익여, 호는 익익재로 1735년 생원시에 합격한 후 음보로 참봉이 되었으며, 1743년 딸이 세자빈이 되었다. 시무6조의 건의와 백골징포·환곡작폐의 금지, 은결 재조사 등 백성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영조대 중반 이후 탕평당계 척신들이 남당으로 결집하면서 청류적 정치관을 가진 장헌세자와 반목했다. 그결과 1762년 장헌세자가 죽음을 당할 때 이를 방관하는 중립적 입장을 취했다.

홍봉한(洪鳳漢)
홍봉한(洪鳳漢)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익여(翼汝), 호는 익익재(翼翼齋). 아버지는 예조판서 현보(鉉輔)이다. 1735년(영조 11) 생원시에 합격하고, 음보(蔭補)로 참봉이 되었다. 1743년 딸이 세자빈(혜경궁 홍씨)이 되었다. 1744년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사관이 된 이후 어영대장·광주부윤·예조참판·동지경연사를 역임했다.

1753년 비변사당상으로서 청인(淸人)들이 애양책문(靉陽柵門) 밖에서 거주하며 개간하는 것을 금지시켰다. 그뒤 평안도관찰사·좌참찬을 거쳐 1761년 우의정이 되었고, 이어 좌의정·판돈녕부사·영의정을 역임했다. 1763년 박세채의 문묘배향(文廟配享)을 적극 추진했다. 1771년 영중추부사로 재임중 장헌세자(사도세자)의 아들 은신군(恩信君)·은언군(恩彦君)의 관작이 삭탈되고 세손(뒤의 정조)까지 그 지위를 위협당하자 이를 저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다음해 청명당(淸名黨) 사건을 계기로 김귀주(金龜柱) 세력에게 탄핵을 당했으나, 영조가 〈영수백세록 永垂百世錄〉을 간행하여 이들을 당론으로서 처단함으로써 무사했다. 정조 즉위 후에 은퇴하여 봉조하가 되었다.

그는 영조대 중반 이후 탕평당계(蕩平黨系) 척신들이 남당으로 결집하면서 청류적(淸流的) 정치관을 가진 장헌세자와 반목했다. 그 결과 1762년 장헌세자가 죽음을 당할 때 이를 방관하는 중립적 입장을 취했다(→ 사도세자사건). 그후 영조에게 세손 보호를 부탁받고 자파 세력을 결집하여 북당(北黨:洪黨)을 이루면서 남당과 대립했다.

영조의 탕평책에 부합하는 입장에서 전권을 행사하여 탕평당으로 불렸으나, 의리(義理)·명절에 투철하지 못한 권귀(權貴)로 비난받기도 했다. 정조연간에는 그의 행적에 대한 시비가 시파(時派)·벽파 대립의 한 주제가 되기도 했다. 그러나 시무6조(時務六條)의 건의와 백골징포·환곡작폐(還穀作幣)의 금지, 은결(隱結) 재조사 등 백성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노력했다. 저서로는 국정운영에 대한 주장을 정조가 직접 편찬한 〈어정홍익정공주고 御定洪翼靖公奏藁〉와 〈정사휘감 正史彙鑑〉·〈익익재만록 翼翼齋漫錄〉 등이 있다. 시호는 익정(翼靖)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