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사

할사

다른 표기 언어 Khalsa

요약 시크교의 지배적 종단.
('순수한'이라는 뜻의 페르시아어 khāleṣ에서 유래).

대부분의 시크 소년과 소녀들은 사춘기가 되면 할사단에 입회한다. 파훌(세례)이라고 불리는 의례는 5명의 할사 단원이 집행하는데, 그들은 찬송가를 암송하면서 양날단도로 물에다가 단것을 넣어 섞는다. 신입자도 카스트의 차이를 제거한다는 의미로 똑같은 컵으로 준비된 물을 마신다.

소년들에게는 싱(수사자)이라는 성이, 소녀에게는 카우르(암사자)라는 성이 붙게 된다. 남자 신입자는 할사 종단의 상징인 5K를 반드시 지니는 데 동의해야 한다. 5K란 케사(keṣa:머리와 수염을 자르지 않는 것)·캉하(kaṅghā:빗)·카치(kacch:짧은 바지)·카라(karā:강철 팔찌)·키르판(kirpān:양날단도)이다. 또 담배와 술을 금하고 자트카 고기(일격에 죽은 짐승고기)만을 먹으며 간통을 하지 않겠다고 맹세한다.

할사단은 1699년 아난드푸르에서 구루 고빈드 싱에 의해 호전적인 결사로서 창설되었는데, 그때는 시크교도가 무굴 제국 통치 아래에서 혹독한 박해를 받고 있었다. 며칠 만에 8만 명의 회원들이 할사에 가입했으므로 할사 단원이 곧 시크교의 지도권을 차지했다. 이 종단에 참여하지 않고 깨끗이 면도한 채로 남아 있는 시크교도는 사하즈다리('고르는 데 느린 사람들')로 알려졌으며, 할사와 사하즈다리의 구분은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