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산도대첩

한산도대첩

다른 표기 언어 閑山島大捷

요약 임진왜란 초기 이순신이 이끄는 조선 수군은 일본군을 대파했다. 이에 일본군은 육상으로 전라도를 공격하여 조선 수군의 후방을 교란하는 한편 수군의 총역량을 전라도에 집결시켜 반격하는 작전을 수립했다. 이를 탐지한 조선 수군은 1592년 7월 6일 전라좌수사 이순신이 전라우수사 이억기와 함께 전선 48척을 이끌어 노량에 이르렀고, 경상우수사 원균이 7척의 배를 이끌고 합류했다.
적함대가 머물던 견내량은 판옥선을 많이 가졌던 조선에게 불리했고 일본군이 육지로 도망갈 수 있는 길이 열려 있었다. 따라서 이순신은 견내량으로부터 일본군을 유인하여 한산도 앞바다로 이끌어낸 후, 학익진을 치고 각종 총통을 발사해 적선 2~3척을 쳐부수었다. 이에 당황하여 도망가는 일본군을 맹렬히 공격하여, 47척을 쳐부수고 12척을 나포했으며 무수한 적을 섬멸하였다.
조선 수군은 이 전투로 적의 주력을 크게 대파하여 남해안의 제해권을 장악함으로써 일본 육군의 보급로를 차단하는 커다란 타격을 주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초기 옥포·적진포·당포·당항포·율포 등의 해전에서 이순신이 이끄는 조선 수군은 일본군을 대파했다. 일본군은 당초에 부산에서 한반도의 서남 해안을 돌아 육해병진 작전을 펴려다가 실패했다. 이에 일본군은 육상으로 전라도를 공격하여 조선 수군의 후방을 교란하는 한편 수군의 총역량을 전라도에 집결시켜 반격하는 작전을 수립했다. 그리하여 웅천 방면에 있던 와키사카[脇坂安治]가 73척을 이끌고 출동하고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특명을 받은 구키[九鬼嘉降]가 42척을 이끌고 뒤를 따랐다.

한산도대첩
한산도대첩

이러한 일본 수군의 동향을 탐지한 조선 수군은 1592년 7월 6일 전라좌수사 이순신이 전라우수사 이억기와 함께 전라좌우도의 전선 48척을 이끌어 노량에 이르렀고, 경상우수사 원균이 7척의 배를 이끌고 합류했다. 7월 7일 적함대 70여 척이 견내량에 머무르고 있다는 정보를 받은 이순신은 7월 8일 아침 견내량으로 진공했다. 그런데 견내량의 지세는 포구가 좁고 암초들이 많아서 함대로 판옥선을 많이 가졌던 조선에게 불리했으며, 일본군에게는 위급하면 육지로 도망갈 수 있는 길이 열려 있었다.

따라서 이순신은 견내량으로부터 일본군을 유인하여 한산도 앞바다로 이끌어낼 계획을 세웠다. 그리하여 먼저 판옥선 약간으로 일본의 함대를 유인하여 한산도 앞바다로 이끌어내고는, 급히 뱃머리를 돌려 학익진을 치고 각종 총통을 발사해 적선 2~3척을 쳐부수었다. 이에 당황하여 도망가는 일본군을 맹렬히 공격하여, 47척을 쳐부수고 12척을 나포했으며 무수한 적을 섬멸하는 전과를 올렸다. 일본군 장수 와키사카는 남은 전선 14척을 이끌고 도망가고, 한산도로 도주한 왜병 400여 명이 간신히 탈출했다.

조선 수군은 이 싸움으로 일본 수군의 주력을 크게 대파하여 남해안의 제해권을 장악했다. 남해안의 제해권을 잃은 일본 수군은 해로를 통한 수륙병진 계획을 포기했을 뿐 아니라, 육군에게 식량도 공급하지 못하게 되어 일본 육군의 활동에도 커다란 타격을 주게 되었다. 한산도대첩은 진주대첩·행주대첩과 함께 임진왜란의 3대 대첩의 하나로 역사에 기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