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자유총연맹

한국자유총연맹

다른 표기 언어 韓國自由總聯盟 , Korea Freedom Federation
요약 테이블
설립 1956년 5월 30일(1989년 4월 1일 개편 설립)
소재지 서울시 중구 장충단로 72
사이트 https://www.koreaff.or.kr

요약 자유민주주의 옹호·발전 및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평화통일을 추구하는 법적 단체. 1956년 창설된 한국아시아민족반공연맹을 모체로 하며, 1964년 1월 한국반공연맹, 1989년 4월 한국자유총연맹으로 개편 설립되었다. 통일준비 민주시민교육, 홍보·출판사업, 기념관 운영사업, 범국민운동, 국민통합 및 자원봉사활동 등을 주요 활동 및 사업으로 전개하고 있다.

목차

접기
  1. 개요
  2. 역사
  3. 주요 사업
  4. 조직 구성 및 현황

개요

<한국자유총연맹 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라 행정안전부에서 담당하는 법적 단체.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를 항구적으로 옹호하고 발전시키며, 자유민주주의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평화통일을 추구하고, 관련된 민간단체와 협조하고 세계 각국과의 유대를 다지는 것을 목적으로 운영된다.

역사

이 단체는 1956년 5월 30일에 설립된 한국아시아민족반공연맹을 모체로 하고 있다. 한국아시아민족반공연맹은 1954년 6월 이승만 대통령의 제창으로 출범한 아시아민족반공연맹(APACL, Asian People's Anti-Communist League)의 한국지부로 설립되었는데, 아시아민족반공연맹은 이승만 대통령과 당시 자유중국 장제스 총통이 주도한 가운데 자유중국, 홍콩, 마카오, 필리핀, 자유월남, 유구 등 당시 태평양 지역 국가들이 참여하여 반공산주의 동맹으로 창설된 국제단체였다.

아시아반공연맹은 이후 12차에 걸친 대회를 통해 반공투쟁행동 강령과 조직원칙의 채택, 반공 헌장의 채택 등을 진행했으며, 1966년 발전적으로 해체하고 60여개 국가가 참여한 세계반공연맹(WACL, World Anti Com­munist League)으로 발족했다. 소련의 붕괴되고 이데올로기 대립의 벽이 해체된 1990년 이 단체는 명칭을 세계자유민주연맹(WAFD, World League for Freedom and Democracy)으로 변경하여 운영되고 있다.

한편 한국아시아민족반공연맹은 1963년 <한국반공연맹법>(법률 제1477호) 이 제정됨에 따라 1964년 법적 단체인 '한국반공연맹'으로 개편되어 그해부터 시·도 지부가 설치되기 시작했다. 이후 1989년 2월, 한국반공연맹의 이사장이었던 정일권 등의 발기로 한국자유총연맹의 설립추진회가 구성되었고, 3월에는 <한국자유총연맹 육성에 관한 법률>(법률 제4107호)이 국회에서 통과됨으로써 마침내 4월 1일 정식으로 창립되었다.

한국자유총연맹(韓國自由總聯盟)
한국자유총연맹(韓國自由總聯盟)

설립 당시 주무부처는 문화공보부였으나 1989년 12월 공보처로 변경되었고, 이후 1998년에는 문화관광부, 1999년에는 행정자치부, 2013년 안전행정부, 2017년 행정안전부로 바뀌었다. 1990년대에는 민주시민교육센터를 개설했고, 2000년대에는 민관교육발전협의회와 통일교육협의회, UN 경제사회이사회 산하의 NGO 단체, UN Grobal Compact 한국협회에 가입하는 등 대외적인 활동을 활발히 전개했다. 2012년 6월에는 오세아니아 연합지부를, 2013년 3월에는 세종특별자치시 지부를, 2015년 5월에는 홍콩과 프랑스, 알래스카 등에 해외지부 조직을 결성했다.

주요 사업

한국자유총연맹은 모든 일을 행함에 있어 최고의 판단 기준을 국민 행복과 국가 발전에 둔다는 국리민복(國利民福) 정신을 실천하기 위한 가치관 정립운동을 포함해서 통일준비 민주시민 교육, 통일관 및 기념관 운영사업, 홍보·출판사업, 범국민 캠페인, 국민통합 및 자원봉사활동, 청년회·여성회 활동, 유엔 NGO 및 국제교류·협력활동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자립기반 강화를 위해 2003년 3월 한국전력㈜ 자회사인 한전산업개발㈜ 경영권을 인수했으며, 월간지 <케이에프에프(KFF) 뉴스>, <자유마당>, <이슈와 통찰> 등을 발간하고 있다. 한편 한국자유총연맹은 UN 경제사회이사회에서 특별협의지위를 획득한 국제 NGO 단체로서 인류 공영과 세계 평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조직 구성 및 현황

한국자유총연맹에는 총회, 이사회, 중앙운영위원회, 자문위원회, 특별위원회 등의 심의·의결기구와 본부 아래 시·도여성협의회, 시·도청년협의회, 중앙여성회, 중앙청년회, 연구원 등이 있다. 서울특별시와 광역 시·도에 17개 지부, 전국 시·군·구에 228개 지회와 해외 32개 지부를 두고 있다. 본부는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단로 72에 소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