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츠 2세

프란츠 2세

다른 표기 언어 Franz II
요약 테이블
출생 1768. 2. 12, 피렌체
사망 1835. 3. 2, 빈
국적 신성 로마

요약 빈 회의(1815) 이후 독일 및 유럽에서 메테르니히의 보수적 정치체제를 지지했다. 후에 황제가 된 레오폴트 2세와 스페인의 마리 루이제의 아들로 태어나 삼촌인 황제 요제프 2세에게서 정치교육을 받았다. 1792년 아버지가 죽자 왕위를 계승하여 프랑스 대혁명으로 야기된 제반 문제를 떠맡게 되었다. 어떠한 형태의 의회주의도 반대한 절대주의자였기 때문에 프랑스에 반대하여 오스트리아의 제1차 동맹(1792~97)을 지원했고, 때로는 직접 전장에 나가기도 했다. 나폴레옹이 프랑스 황제로 즉위하자 이에 대항하기 위해 오스트리아를 제국으로 승격시켰다. 1805년 오스트리아는 3번째로 프랑스에 대항해 싸웠으나 역시 패배했고, 나폴레옹은 신성 로마 제국을 해체하도록 명했다. 프란츠는 1806년 자신의 황제 칭호를 포기했다. 이로써 1789년 프랑스에서 종말을 고했던 구체제는 독일에서도 사라졌다. 오스트리아는 1809년에 4번째로 나폴레옹에 대해 전쟁을 일으키지만 또다시 실패했다. 이 기간 동안 혁명과 민중운동을 혐오하던 프란츠는 프랑스와 바이에른에 대항한 친합스부르크 티롤 반군세력을 저버렸다. 그러나 프란츠는 1813~14년 프랑스와 많은 전쟁을 몸소 수행하여 결국 프랑스 제국을 멸망시켰다.

빈 회의(1815) 이후 독일 및 유럽에서 메테르니히의 보수적 정치체제를 지지했다. 후에 황제가 된 레오폴트 2세와 스페인의 마리 루이제의 아들로 태어나 삼촌인 황제 요제프 2세에게서 정치교육을 받았다. 삼촌은 조카의 융통성 없는 견해와 완고함을 싫어했지만, 의무와 정의를 준수하는 태도에 대해서는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1792년 아버지가 죽자 왕위를 계승하여 프랑스 대혁명으로 야기된 제반 문제를 떠맡게 되었다. 어떠한 형태의 의회주의도 반대한 절대주의자였기 때문에 프랑스에 반대하여 오스트리아의 제1차 동맹(1792~97)을 지원했고, 때로는 직접 전장에 나가기도 했다. 그러나 캄포포르미오 조약(1797)으로 롬바르디아와 라인 강 좌안의 땅을 상실했고, 1799~1801년에 다시 프랑스에 패배했다.

나폴레옹이 프랑스 황제로 즉위하자 이에 대항하기 위해 오스트리아를 제국으로 승격시켰다. 1805년 오스트리아는 3번째로 프랑스에 대항해 싸웠으나 역시 패배했고, 나폴레옹은 신성 로마 제국을 해체하도록 명했다. 프란츠는 1806년 자신의 황제 칭호를 포기했다. 이로써 1789년 프랑스에서 종말을 고했던 구체제는 독일에서도 사라졌다.

오스트리아는 1809년에 4번째로 나폴레옹에 대해 전쟁을 일으키지만 또다시 실패했다. 이 기간 동안 혁명과 민중운동을 혐오하던 프란츠는 프랑스와 바이에른에 대항한 친합스부르크 티롤 반군세력을 저버렸다. 그리고 나폴레옹을 경멸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딸 마리 루이제와 나폴레옹의 결혼(1810)을 감히 거절할 수 없었다. 그러나 프란츠는 1813~14년 프랑스와 많은 전쟁을 몸소 수행하여 결국 프랑스 제국을 멸망시켰다.

빈 회의(1815) 이후 메테르니히 총리를 지지해 보수적인 정치체제, 즉 메테르니히 정치체제를 구축했다. 자유주의를 억압하고 요제프 2세 치하에서 약화된 로마 가톨릭의 세력을 회복하는 일에 힘을 쏟았지만, 한편으로는 예술과 과학을 후원했다. 신기술을 적극 도입하여 도나우 강에 증기선을 띄우고 철도를 건설하는 일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V. 비블의 〈프란츠 황제 Kaiser Franz〉가 1938년에 출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