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스트

페스트

다른 표기 언어 pest

요약 인간이 환경을 변화시킨 결과, 인간의 경쟁자로 인식되는 종의 수가 크게 늘어나게 되었다. 이러한 경쟁자들을 페스트라고 한다. 대부분의 종은 환경적인 변화에 따라 페스트가 되며, 이러한 전환은 대개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일어난다. 페스트는 동물계에서도 발견된다. 대부분의 동물 페스트는 무척추동물로 그중에는 원생동물·편충·선충·달팽이·곤충 등이 있다. 말라리아와 황열병은 모기에 의해 전염되며, 흑사병은 벼룩에 의해, 티푸스는 사람에 의해 전파된다.
페스트의 방제는 18세기 이후 점점 중요시되었다. 그러나 합성유기살충제의 출현과 함께 화학적 방제법이 강조되면서 강력한 화학물질의 광범위한 사용으로 인해 환경문제가 발생했다. 현재 사용되는 페스트 방제기술은 살충제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생물학적 방법과 결합시킨다.

원시시대에 사람이 동물을 사냥하고 양식을 찾아 돌아다닐 때, 사람은 공동체 내에서 다른 생물들과 자연자원을 공유했다.

사람의 문화가 발달하고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자원에 대한 요구가 계속 증가하게 되었다. 인간이 환경을 변화시킨 결과, 인간의 경쟁자로 인식되는 종(種)의 수가 크게 늘어나게 되었다. 이러한 경쟁자들을 대개 페스트라고 한다. 물론 페스트의 정의는 주관적이다. 생태학자는 식물의 잎을 먹는 모충을 모두 페스트로 간주하지 않는 반면, 식물을 재배하는 정원사는 이들을 페스트로 취급할 것이며 집 안에서는 단 1마리의 박쥐나 쥐, 생쥐도 충분히 페스트로 간주될 수 있다.

자연군집에는 변함 없이 경제적으로 의미 있는 유기체가 있다. 예를 들어 메뚜기는 역사상 끊임없이 인간을 괴롭혀왔고, 석기시대부터 곡식은 흑수병과 맥각증에 감염되어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은 환경적인 변화에 따라 페스트가 되며 이러한 전환은 때로는 자연적 원인에 의해 발생하지만 대개는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일어난다.

페스트에 대항하기 위해 고안된 몇 가지 방법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의 진보가 한편으로 유해한 곤충 종의 수를 얼마나 증가시켜왔는가를 고려해야만 한다.

자연 식생을 넓은 지역에서의 단작(單作)농업으로 변화시킴으로써 3가지 결과를 낳았다. 첫째, 보다 단일한 먹이가 주어지자 몇몇 식물을 먹고 사는 종의 수효가 엄청나게 늘어났다. 둘째, 단일식물은 쉽게 페스트의 침입을 받는다. 셋째, 넓은 지역에 새로운 작물이 도입되면 이전에는 해롭지 않았던 곤충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던 원래의 식물들로부터 새롭고 풍부한 경작지로 이동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비료, 관개시설, 흔히 많은 양의 곡물이삭들을 들판에 남기는 현대적 수확장비의 사용 등은 페스트 종의 급속한 증가능력을 향상시킨다. 이외에도 페스트 박멸계획에 따라 페스트와 경쟁하거나 페스트를 잡아먹는 종을 제거하면 또다른 특정한 페스트 문제가 악화된다. 또한 사람이나 상품들이 전세계로 운반되기 쉬워져서 많은 지역에 외국산 페스트가 도입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페스트는 동물계에서도 발견된다. 균류·세균·바이러스 등과 같은 미생물은 대개 병원체로 여겨지지만 페스트로 간주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동물 페스트는 무척추동물로 그중에는 원생동물·편충·선충·달팽이·곤충 등이 있다. 척추동물 중에서는 토끼·말코손바닥사슴·사슴 등과 여러 종류의 설치류 등이 때때로 곡물에 해를 입힌다. 곤충 역시 질병의 전파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심각한 페스트이다.

특히 열대지방에서는 매년 수백만의 생명이 곤충에 의한 질병으로 위협을 받는다. 말라리아와 황열병은 모기에 의해 전염되며, 흑사병은 벼룩에 의해, 티푸스는 사람에 의해, 수면병은 체체파리에 의해, 샤가스병은 빈대에 의해, 레슈마니아증은 모래파리에 의해 전파된다. 다른 질병들은 곤충의 습성 때문에 우연히 전파될 수도 있다.

페스트의 방제는 18세기에 주목을 받기 시작했고, 그후 점점 중요시되었다.

방제 프로그램이 개발됨에 따라 이 프로그램들을 어느 정도 상호 배타적인 2개의 범주인 화학적 방제와 생물학적 방제로 분류하게 되었다. 또한 점착성 차단벽, 가열살균, 지면 위의 페스트를 방제하기 위한 범람법(flooding) 등을 비롯한 물리적 또는 기계적 방법도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실용성이 적고 짧은 기간 동안만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화학적·생물학적 방법으로 대부분 대체되었다.

화학적 방법의 하나인 살충제의 살포는 독성이 있는 식물성 화합물의 사용으로 시작된 듯한데, 1763년경 프랑스에서 진드기를 죽이는 데 그라운드 토바코를 사용한 것이 처음이다. 19세기에는 니코틴·로테논·석유·등유·크레오소트·터펜틴과 같은 다른 자연 생성물들이 사용되었다. 파리그린(Paris green)·황화석회·보르도액·시안화수소·비산연 등과 같은 무기화합물 또한 1800년대에 도입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동안에 합성유기화합물이 개발됨에 따라, 페스트 방제에 극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디니트로페놀과 같은 일부 유기화합물은 이전부터 사용되어왔지만, DDT(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BHC(benzene hexachloride) 같은 살충제들은 페스트가 전혀 없는 농작물이라는 개념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1930년대 식물 호르몬 및 그 관련 화합물에 대한 연구는 선택적 제초제인 2, 4-D(2, 4-dichlorophenoxyacetic acid)의 개발을 유도했고, 이것은 DDT와 비슷한 시기에 상업화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합성유기화합물의 출현에 뒤이어 일련의 새로운 살충제·살진균제·제초제·식물성장조절제 등이 차례로 도입되었다. 비록 고대 중국인들이 잎을 먹는 곤충들을 방제하기 위해 육식개미를 사용했지만, 생물학적 방법으로 페스트를 방제하기 시작한 것은 1762년 붉은메뚜기를 방제하기 위해 쇠찌르레기를 미국에서 모리셔스로 수입하면서부터인 것으로 추정된다. 포식동물을 이용한 빈대의 방제는 일찍이 1776년 제시되었던 방법이다.

1800년대에도 생물학적 방제법을 이용한 많은 다른 계획들이 실행되었지만 생물학적 방제의 현대적 기원은 1888년 캘리포니아감귤깍지벌레를 방제하기 위해 베달리아무당벌레를 캘리포니아로 수입한 것에서 시작되었다. 베달리아무당벌레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도입되어 감귤산업을 구해냈다.

곤충에 대한 저항력이 있는 식물의 사용은 1788년경 밀의 페스트인 헤시안 파리를 방제하는 방법으로 제안되었다.

이러한 고전적인 방법의 예는 유럽의 포도나무의 뿌리부분을 공격하여 유럽의 포도주산업을 거의 파괴시킨 포도나무뿌리진드기의 방제였다. 해결책은 유럽의 포도나무를 이 진드기에 저항력이 있는 미국의 포도나무 밑둥에 접목시키는 방법이었다. 1900년경 하와이에서 란타나를 방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곤충을 도입한 것은 생물학적으로 잡초를 억제하기 위한 첫번째 시도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곤충 페스트를 전멸시키기 위해 미생물을 사용한 것은 1800년대 후반과 1900년대 초반에 시작되었다.

그러나 합성유기살충제의 출현과 함께 화학적 방제법이 강조되었고 생물학 방법은 소홀히 여겨졌다. 그러나 강력한 화학물질을 광범위하게 사용하게 되면서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환경문제가 발생했다. 그결과 현재 사용되는 페스트 방제기술은 살충제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생물학적 방법과 결합시키는 통합방제에 의한 접근법이다. 예를 들면 곡물을 공격하는 곤충에 대한 통합방제는 페스트에 저항력이 있는 곡물의 변종을 개량하는 것, 페스트의 증식을 억제하는 곡물재배법을 개발하는 것, 페스트의 포식자나 기생충을 살포하는 것, 성적 유인물인 페로몬을 미끼로 덫을 놓는 것, 단종된 페스트를 풀어놓음으로써 경쟁적으로 페스트의 번식을 억제하는 것 등과 마지막 수단으로 화학살충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여러 현대적 페스트 방제법이나 수입품에 대한 단속이 외국산 페스트의 도입을 방지하기 위해 고안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