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한집

파한집

다른 표기 언어 破閑集

요약 고려시대의 문인 이인로(李仁老:1152~1220)의 시화집.

3권 1책. 목판본. 저자의 생존시에 완성한 것이나 간행되지 못하다가 그가 죽은 지 40년 만인 1260년 아들 세황이 간행했다. 그러나 당시의 초간본, 1493년 〈보한집 補閑集〉과 함께 펴낸 〈이한집 二閑集〉도 전하지 않으며, 1659년(효종 10) 엄정구가 각판한 중간본이 현재 전한다. 끝에 부기된 아들의 발문에 보면 "우리나라의 명유와 운승들이 시를 잘 지어 이미 중국에까지 이름을 떨쳤으나 그것을 기록해두지 않으면 후세에 전하지 못할까 염려하여 본받을 만한 것을 가려 엮어 정리한 것"이라 했다.

내용은 주로 시화와 문학에 얽힌 일화·기사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권상에 24조, 권중에 26조, 권하에 33조 등 모두 83조의 단락으로 구성되었다. 중요한 내용을 살펴보면, 문장은 빈부귀천으로 척도를 삼지 않는 유일한 일이며 영향력이 크고 가치 있는 일이라는 것을 강조했다. 그래서 큰 벼슬은 노력에 의해 구할 수 있으나 문장은 타고난 예술적 재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 했다.

시는 두보(杜甫)와 같이 나라를 생각하는 깊은 마음으로부터 밖으로 발현하여 구구절절이 읽은 이로 하여금 뜻을 세울 수 있게 해야 한다며, 시의 내용은 충의와 절조에 근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가 예술적으로 승화되어야 한다는 입장이었으므로 시어의 자연스런 표현을 중시하는 태도를 보여, 다듬은 흔적이 없는 시를 최고의 시로 보았다. 용사가 정묘하게 이루어진 시에 대해 많이 언급한 것은 그가 송대의 시풍을 숭상했기 때문이다.

그는 자신의 시에서도 고사의 인용을 빈번히 하고 시평을 할 때도 지나치게 중국의 문인을 모범으로 삼아 비교했다. 그러나 이를 통해 다른 문집에 실리지 않거나 문집이 남아 있지 않은 시인의 시를 몇 구절이라도 소개하고 있으므로, 자료를 제공해주는 면에서 시화로서 큰 의의가 있다. 시화는 송나라 구양수의 〈육일시화 六一詩話〉 이후 시비평의 한 형태로 널리 행해졌는데, 한국에서는 단편적인 시평을 적은 기록은 있었으나 문학의 본질에 대해 논하고 문학이 정신적 산물이므로 남의 지배와 구속을 받지 않는 독자적인 것이라는 주장을 펴서 문학의 권위를 높인 것은 이 시화가 처음이다.

시작법이나 작품평 외에도 우리나라의 한시를 신라 때부터 자기 시대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시인의 작품과 시풍을 평하고 또한 중국 시와 비교하기도 하는 등 당대 문단의 기준을 세우는 역할을 했다. 서술방식은 수필이나 잡록의 형태로 전개해 나갔으므로 자신의 시 짓는 태도에 대한 소개나 주변인물의 시에 얽힌 일화 등 수필적인 내용이 많은데, 이런 부분은 작가론의 자료를 제공해준다. 시에 관한 이야기 외에 신라의 옛 풍속이라든지 서경·개경의 당시 풍물에 대해서도 소개하고 있어서 패관문학으로서의 성격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이 책은 이러한 양식의 효시가 된다.

〈파한집〉에 이어 최자의 〈보한집〉, 이제현의 〈역옹패설 櫟翁稗說〉, 이규보의 〈백운소설 白雲小說〉 등 시화집이 계속 만들어졌다. 1911년 조선고서간행회에서 활자본으로 출간했으며, 1964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에서 역주본을 냈고,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서 〈고려명현집 高麗名賢集〉 2권으로 영인해 출간했다. 규장각·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