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쟁

쿠쟁

다른 표기 언어 Victor Cousin
요약 테이블
출생 1792. 11. 28, 프랑스 파리
사망 1867. 1. 13, 칸
국적 프랑스

요약 프랑스의 철학자·교육개혁가·역사가.

체계적 절충주의를 주장해 당시 가장 유명한 프랑스 사상가가 되었다. 1811년 에콜 노르말에서 라로미기에르, 콩디야크, 존 로크 등의 철학자들을 연구하면서 이들에게 많은 영향을 받았다. 곧이어 스코틀랜드 상식학파의 철학과 프랑수아 메인 드 비랑, 피에르 폴 로이어 콜라드에게 깊은 인상을 받았는데, 나중에 로이어 콜라드의 조교가 되었다. 에콜 노르말에서 잠시 가르친 뒤 독일을 여행했으며(1817~18), G. W. F. 헤겔과 프리드리히 셸링을 만나 영향을 받았다. 프랑스에서 반자유주의 정치분위기가 고조되면서 1820년 쿠쟁은 조교직에서 해임되었고 에콜 노르말도 1822년 문을 닫았다. 그뒤 쿠쟁은 독일로 갔으며, 지금도 알 수 없는 정치적 고발 때문에 6개월 동안 감옥에 갇혀 있었다(1824~25).

1820년대 초반에 쿠쟁은 〈철학 단편 Fragments philosophiques〉(1826)을 썼고, 그리스 신플라톤주의 철학자 프로클로스와 르네 데카르트의 저서를 편집했으며, 플라톤의 저작을 번역하기 시작했다. 다시 문을 연(1826) 에콜 노르말에 복직하여 철학을 강의했고 유례 없는 인기를 얻었다. 그뒤 20년 동안 프랑스 철학계를 지배했다. 공립교육위원회 위원(1830),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1831), 도덕과학·정치학 아카데미 회원(1832)이 되었다.

1832년 프랑스의 귀족 칭호를 받았고, 2년 뒤 에콜 노르말의 교장이 되었다. 교육방식을 연구하기 위해 독일을 방문한 뒤 프랑스 초등교육을 위한 개혁안을 기초했다(이 안은 정치가인 프랑수아 기조가 1833년에 상정했음). 1840년 기조가 총리가 되자 쿠쟁은 공립교육부장관에 임명되었다. 강의와 공직 활동을 하면서도 많은 글을 썼다. 쿠쟁은 자신만의 독특한 철학체계는 없었으며, 다른 사람들의 저작을 바탕으로 하나의 체계를 짜맞추기는 했지만, 프랑스 철학의 초점을 유물론에서 관념론으로 바꾸어 놓았다.

쿠쟁은 신을 창조자로 설정했고 세계의 분열된 측면들을 통일하기 위해 신 개념을 사용했지만, 세계 속에서 신이 이룩한 업적의 증거를 찾기 위해 역사적 사건들에 관심을 기울였다. 그결과 특히 로마 가톨릭으로부터 신의 계시를 부정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또 철학 전체를 감각론·관념론·회의주의·신비주의의 4가지 체계 유형으로 나눈 것은 자의적이고 단순한 분류라는 비판을 받았다. 그는 이 유형이 모두 어느 정도 진실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쿠쟁은 감각·이성·감정의 영역을 포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면서 이 목적에 가장 알맞는 요소들을 다른 사람들에게서 빌려왔다.

저작으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에 대하여 De la métaphysique d'Aristote〉(1835)·〈진·미·선에 대하여 Du vrai, du beau et du bien〉(1836)·〈현대 철학사 Cours d'histoire de la philosophie moderne〉(1841~46)·〈파스칼의 팡세에 대하여 Des Pensées de Pascal〉(1843) 등이 있다. 또 내용이 풍부한 〈재클린 파스칼 Jacqueline Pascal〉(1845), 두꺼운 부록이 달린 〈롱그빌 부인의 젊음 La Jeunesse de Madame de Longueville〉(1853)·〈사블레 부인 Madame de Sablé·(1854)·〈쉐브뢰즈 부인과 호트포르 부인 Madame de Chevreuse et Madame de Hautefort〉(1856) 등 17세기 여성들에 대한 연구 시리즈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