콥트 교회

콥트 교회

다른 표기 언어 Coptic Church

요약 고대 이집트의 기독교회에 뿌리를 둔 오리엔트 정교회의 한 교파. 451년의 칼케돈 공의회에서 신성과 인성에 대한 견해의 차이로 로마 교회에서 분리되었다. 주로 이집트와 아프리카 북동부를 거점으로 전래되어 왔으며, 19, 20세기에는 콥트 정교회로 자칭해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한 콥트인들 및 주로 그리스인들로 구성된 동방정교회와 스스로를 구별하기 시작했다. 이집트 인구의 약 20%이 콥트 교인으로 알려져 있다. 카이로에 콥트 연구소가 있으며, 콥트 교회의 가르침은 공립학교 그리스도교도 학생들의 종교교육을 위한 교과내용의 바탕이 되기도 한다. 예루살렘에도 콥트 교회가 있으며, 수단 카르토움에는 콥트 주교구가 있다. 한국에는 2010년 무렵 공소가 설치되어 사제가 주기적으로 방문한다.

목차

접기
  1. 개요
  2. 역사
  3. 제도
  4. 현황

개요

이집트와 인근 아프리카 북동 지역에 분포한 오리엔트 정교회의 한 교파. 오리엔트 정교회는 에페수스 공의회와 451년 칼케돈 공의회의 결의를 거부했던 이집트, 에티오피아, 서아시아 지방의 고대 기독교 교회들로, 시리아 정교회,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등이 포함된다. 콥트 교회는 이 가운데 주로 고대 이집트어인 콥트어를 전례언어로 사용하는 교파이다.

콥트 교회
콥트 교회

역사

4, 5세기에 이집트에서 콥트인들과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로마인들인 멜키트파('황제의 사람들') 사이에 단성론을 배격한 칼케돈 공의회(451)를 둘러싸고 신학 논쟁이 있었다. 콥트인들은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이 한 위격 안에서 나누이지도 섞이지도 않으면서 속성을 공유한다는 칼케돈 공의회의 결의를 거부하면서 멜키트파와 결별했다. 이들은 그리스도의 인성과 신성이 하나의 단일 위격 안에서 육신화를 통해 하나로 존재한다고 보았다.

7세기 아랍인이 점령하기 이전의 이집트 민족은 그들 자신과 그들의 언어를 그리스어로 '아이지프티오스'(아랍어로는 qibt, 콥트는 서구화된 발음임)라 불렀다. 그뒤 이집트의 이슬람교도들이 '아이지프티오이'라는 칭호를 쓰지 않자 이 용어는 소수 종교집단인 그리스도교도들만을 가리키게 되었다. 7세기에 아랍인들이 이집트를 정복한 뒤 콥트인들은 그리스어 사용을 중단했다. 이로 인한 언어 장벽은 신학적 논쟁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다.

비잔틴 제국 황제들이 이를 중재하려고 노력했으나 실패했다. 그뒤 아랍 칼리프들은 이슬람을 받아들인 사람들을 우대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그리스도 교회 내부 문제에 간섭하지 않았다. 19, 20세기를 지나면서 이들은 콥트 정교회로 자칭하여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한 콥트인들 및 주로 그리스인들로 구성된 동방정교회와 스스로를 구별하기 시작했다. 콥트 교회는 1890년대 이후 민주적인 치리(治理)제도를 발전시켰다. 이후 콥트 교회와 동방정교회는 여러 가지 교리 문제에 관해 합의를 보았다.

제도

콥트 교회의 총대주교와 12주교구 주교들은 평신도들의 대표로 구성되어 있는 지역공의회의 도움을 받아 교회와 학교의 재정을 감독하고, 결혼과 유산(遺産), 개인의 지위에 관한 규율을 정한다. 총대주교가 죽으면 주로 평신도들로 구성된 선거인단이 50세 이상의 자격을 갖춘 수사들 가운데서 3명을 후보로 뽑는다. 기도를 한 뒤 이 3명 가운데 1명을 제비뽑기로 최종 선출한다. '알렉산드리아와 이집트 총대주교'는 카이로에 주재한다.

성 마르코, 알렉산드리아의 성 키릴루스, 나지안주스의 성 그레고리우스 전례서를 사용하여 만든 기도서는 콥트어(알렉산드리아 보하이리 방언)로 씌어져 있으며, 아랍어가 병기되어 있다. 오늘날 아랍어는 콥트 교회 예배에서 성서일과를 낭독하고 찬송을 부를 때 사용된다. 그러나 모든 교도가 알고 있는 짤막한 후렴구는 아랍어로 부르지 않는다.

현황

콥트 교회의 교인은 이집트 인구의 약 20% 내외로 알려져 있으며 이집트 내 기독교인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집트 여러 곳에서 초·중·고등학교를 운영하며, 콥트 교회 학교에 다닐 수 없는 아동들의 종교교육을 위해서 주일학교 운동을 벌이고 있다. 카이로에는 콥트 연구소가 있으며, 신학대학과 콥트 박물관이 이 연구소와 관계를 맺고 있다. 콥트 교회의 가르침은 공립학교 그리스도교도 학생들의 종교교육을 위한 교과내용의 바탕이 되기도 한다.

예루살렘에도 콥트 교회가 있으며, 19~20세기 성지에 몇 개의 콥트 교회가 세워졌고, 수단 카르토움에는 콥트 주교구가 있다. 에티오피아·아르메니아·시리아 야코부스파 교회들이 콥트 교회와 친교를 맺고 있다. 한국에는 2010년 경 서울시 마포구에 성모 마리아 성당이라는 공소가 설립되었고, 사제가 주기적으로 방문하여 예배를 집전한다.

참고문헌

・ 송병구, 송병구 목사가 쉽게 쓴 십자가 이야기, 신앙과지성사,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