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다른 표기 언어 cholesterol
요약 테이블
녹는점 148~150℃
끓는점 360℃

요약 주로 동물의 조직에서 발견되는 지질의 일종. 동물 세포를 둘러싸는 세포막의 주성분이다. 순수한 상태의 콜레스테롤은 흰색의 결정성 물질로 냄새와 맛이 없다. 콜레스테롤은 혈류를 따라 순환하고, 간과 몇몇 기관에서 합성되며, 음식물을 통해서도 상당량의 콜레스테롤이 섭취된다. 콜레스테롤에는 고밀도, 저밀도의 두 종류가 있으며, 혈류 내에 콜레스테롤 수치가 크면 동맥경화의 주요 원인이 된다.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기 위해서는 콜레스테롤이 많은 식사를 피해야 하고, 꾸준히 운동을 하여야 한다.

목차

접기
  1. 개요
  2. 형성 과정
  3. 종류
  4. 질병과의 관계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개요

주로 동물의 조직이나 달걀의 노른자 등에서 발견되는 지질의 일종. 콜레스테롤은 화학적으로 스테로이드계 화합물로 분류되며, 분자식은 C27H46O, 분자량은 386.6, 녹는점은 148~150℃, 끓는점은 360℃이다. 순수한 상태의 콜레스테롤은 흰색의 결정성 물질로 냄새와 맛이 없다.

형성 과정

콜레스테롤은 각각의 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세포막의 주성분으로, 체내에서 이 물질을 출발물질 또는 중간물질로 하여 담즙산, 스테로이드 호르몬, 비타민 D 등이 합성된다. 콜레스테롤은 혈류를 따라 순환하며 간과 몇몇 기관에서 합성된다. 사람은 음식물을 통해 상당량의 콜레스테롤을 섭취한다. 간에서 합성되는 콜레스테롤의 양은 보상 메커니즘으로 조절된다. 즉 식사를 통해 섭취한 콜레스테롤의 양이 증가하면 간에서 콜레스테롤의 합성이 감소한다.

종류

콜레스테롤은 혈액에 녹지 않으므로 혈액을 따라 이동하려면 지단백질이라는 특정 단백질 복합체에 달라붙어야 한다. 저밀도지단백질(LDL, low-density lipoprotein)은 콜레스테롤이 합성되는 간에서 조직과 세포로 콜레스테롤을 운반한다. 콜레스테롤은 이곳에서 지단백질과 분리되어 세포에서 사용된다. 고밀도지단백질(HDL, high-density lipoprotein)은 세포에서 소모되지 않은 과량의 콜레스테롤을 조직에서 다시 간으로 운반해주며, 운반된 콜레스테롤은 간에서 분해되어 담즙산으로 분비된다. 주로 LDL에 붙어 있는 콜레스테롤이 동맥경화를 유발시키는 반면 HDL은 동맥경화를 지연시키거나 감소시킨다.

질병과의 관계

새 페이지 1
구분(단위: mg/dL) 낮음 적정 정상 경계 높음 매우 높음
총 콜레스테롤   ~200   200~239 240~  
저밀도 콜레스테롤   ~100 100~129 130~159 160~189 190~
고밀도 콜레스테롤 ~40       60~  
한국인의 이상지질혈증 진단 기준(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제정위원회, 2015)

혈류 내에 콜레스테롤 수치가 크면 동맥경화의 주요 원인이 된다. 콜레스테롤과 혈액 속을 순환하고 있는 다른 지방성 물질들이 혈관 내벽에 쌓이면, 혈관을 두껍게 하고 경화시켜 결국 혈관을 손상시킨다. 혈관에 쌓인 지방층은 혈관을 좁게 함으로써 혈액의 흐름을 억제하여 심장마비와 뇌출혈을 일으킨다. 혈액 내 콜레스테롤의 수치가 커지면(혈장 100ml당 콜레스테롤이 240㎎ 이상인 경우) 혈관 내벽에 콜레스테롤이 퇴적하는 속도가 더 빨라진다. 혈액 내 콜레스테롤의 수치가 큰 사람은 관상 심장질환에 걸리기 쉽다.

혈액중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주요방법은 콜레스테롤이 많은 식사를 피하는 것이다. 콜레스테롤은 동물성 지방(포화 또는 다포화지방)에 들어 있고 식물성 지방에는 없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콜레스테롤 섭취량을 줄일 수 있다. ① 지방의 총섭취량을 줄인다. ② 포화지방 대신 불포화지방을 섭취한다. ③ 콜레스테롤이 들어 있는 음식의 섭취를 줄인다. 따라서 돼지기름·버터·치즈·전유·살코기·캔디 등 포화지방산이 많이 들어 있는 식품과 쇼트닝으로 구운 과자는 피해야 한다.

콜레스테롤이 다량으로 들어 있는 달걀의 노른자, 작은 새우와 오징어 류의 연체 동물, 뇌와 다른 동물의 기관 등의 과다한 섭취도 피하는 것이 좋다. 동물성 지방 대신 물고기 기름과 옥수수, 땅콩, 잇꽃, 그리고 콩기름과 같은 불포화지방으로 대신할 수 있다. 연어·참치·고등어 등의 바닷고기에서 얻는 물고기 기름이 HDL 수치를 높이고 동맥경화로 진행되는 것을 지연시키거나 감소시킨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콜레스테롤이 많이 들어있는 식사,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것과 관상 심장 질환 사이에는 분명히 서로 인과관계가 있음이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 지단백질

새 페이지 1
식품군 권장(섭취량은 과다하지 않게) 주의(섭취 횟수와 섭취량 주의)
어육류/두류 생선
콩이나 두부
기름기 적은 살코기
껍질을 벗긴 가금류
고기, 갈비, 육류의 내장
가금류 껍질, 튀긴 닭
고지방 육가공품(소시지, 햄, 베이컨 등)
생선과 해산물의 알, 내장
난류 달걀 흰자 달걀 노른자, 메추리알, 오리알 노른자
유제품 탈지유, 탈지분유
저(무)지방 우유와 제품
저지방 치즈
전유, 연유와 그 제품
치즈, 크림치즈
아이스크림
커피 크림
지방 해바라기유, 옥수수유
대두유, 들기름, 올리브유 등
불포화지방산
저지방/무지방 샐러드 드레싱
견과류
코코넛기름, 야자유
버터, 돼지기름, 쇼트닝, 소기름
난황, 전유로 만든 샐러드 드레싱
단단한 마가린
곡류/곡물가공식품 잡곡, 통밀 달걀과 버터가 주성분인 빵
케이크, 고지방 크래커, 버터팝콘 등
파이, 도넛, 고지방 과자
조리 후 지방을 제거한 국 기름이 많은 국, 크림 스프
채소/과일 신선한 채소, 해조류, 과일 튀기거나 버터, 치즈가 첨가된
채소와 과일 요리
가당 가공식품(통조림 등)
기타   당류, 초콜릿, 튀긴 간식류
식품선택요령(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제정위원회,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