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카인

코카인

다른 표기 언어 cocaine

요약 관목식물인 코카나무의 잎에서 추출되는 성분이다. 눈·코·인후의 점막을 자극하는 것을 방해해 마취제로 사용한다. 소량을 취하면 식욕감퇴·피로회복·각성효과가 커져 쾌감을 느낀다.
많은 양을 취하거나 반복해 사용하면 우울증·불안감·자극과민성·수면장애·만성피로·정신혼란·편집증 및 죽음에 이르는 경련이 일어난다.
코카인은 정신생리학적 의미에서 심한 탐닉성을 유발시켜 특정 환자들은 이 약을 중단했을 때 금단증상으로 고생하는데 가장 흔한 금단증상은 우울증이다.
1980년대 코카인의 새로운 제조법인 크랙의 소비는 가장 해로운 형태 가운데 하나이다. 탐닉성이 큰 코카인의 다른 형태는 코카인 연고제이다. 20세기 후반에 미국과 다른 몇몇 나라에서 코카인 남용에 대한 경각심이 증가되고 있다.

코카인 (cocaine)
코카인 (cocaine)

페루·볼리비아·에콰도르에서 야생으로 자라며 다른 많은 나라에서 재배되는 관목식물인 코카나무(Erythroxylum coca)의 잎에서 추출되는 성분이다.

코카인의 화학식은 C17H21NO4이다. 코카인은 신경, 특히 눈·코·인후의 점막을 자극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마취제로 사용한다. 소량의 코카인을 취하면 식욕감퇴·피로회복·각성효과가 커져 쾌감을 느낀다. 하지만 많은 양의 코카인을 취하거나 연속적으로 반복해서 사용하면 우울증·불안감·자극과민성·수면장애·만성피로·정신혼란·편집증 및 죽음에 이르는 경련이 일어난다. 수세기 동안 페루와 볼리비아의 인디언들은 작은 석회석 조각과 코카나무잎 또는 이 식물의 재를 섞은 혼합물을 쾌감을 위해서나 힘든 노동, 굶주림, 목마름을 이겨내기 위해서 씹었다. 다른 문화권에서는 코카나무 잎에서 활성 알칼로이드를 화학적으로 추출해 코카인의 염산염 형태인 염산 코카인으로 전환했다. 이 미세한 백색 분말을 속이 빈 관을 사용해 흡입하면 코의 점막을 통해 혈류 속으로 빠르게 흡수된다. 그런데 코카인은 혈관수축 작용을 하기 때문에 만성 코감기를 일으키며 심한 경우에는 비강에 궤양을 일으키기도 한다. 코카인을 흡입했을 때 생기는 쾌감의 효과는 비교적 일시적으로 30분쯤 뒤에는 없어진다. 코카인은 습관성과 신체적 탐닉성이 있지만 코카인이 유도하는 특이한 쾌감은 정신생리학적 의미에서 더 심한 탐닉성을 유발시킨다. 특정 환자들 경우에는 이 약을 중단했을 경우 금단증상으로 고생하는데 가장 흔한 금단증상은 우울증이다. 인체는 코카인에 대해 헤로인처럼 현저한 내성이 생기지 않으므로 코카인 복용자가 쾌감을 느끼기 위해 점점 더 많은 양을 취할 필요는 없다. 코카인을 유리염기의 형태로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용액으로 주사하거나 피우는 방법은 모두 코카인을 점점 더 강박적으로 복용하게 만든다. 1980년대에 크랙이라고 하는 코카인의 새로운 제법이 나타났는데 크랙을 피움으로써 훨씬 더 강력하고 단시간 지속되는 쾌감을 얻을 수 있는데 이것은 극심한 정신적 탐닉성을 가져온다. 이러한 형태의 코카인 소비는 가장 해로운 것 가운데 하나이다. 피울 수 있고 탐닉성이 큰 코카인의 다른 형태는 코카나무 잎이 코카인이 되는 중간 과정에 있는 코카인 연고제이다.

정제된 형태의 코카인은 어떤 것이든 계속해서 강박적으로 복용하면 극심한 인성장애·수면장애·식욕저하 그리고 폭력적 경향이나 비이성적이고 반사회적인 행동의 증가 등을 유발한다. 피부 밑에서 무엇인가 기어다니는 것을 느끼는 환촉(幻觸)으로 고생하며, 편집성 망상으로 진전될 수도 있다. 코카인의 남용은 20세기 전반에 걸쳐 그리 심각한 문제는 아니었으나 20세기 후반에 미국과 다른 몇몇 나라에서 코카인에 대한 경각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약물로 인한 사망률 증가에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