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사식

컴퓨터 사식

다른 표기 언어 computerized typesetting 동의어 전산사식, computer photocomposing

요약 컴퓨터로 글자들을 만들어 빛에 민감한 종이나 필름 위로 보내는 식자 방법. 전산사식이라고도 함.

레이저 광선의 펄스(pulse)를 만들어 보내거나 스트로보스코프나 음극선관(cathode-ray tube/CRT)으로부터의 이동 광선을 이용한다. 이 시스템은 입력을 위한 자기테이프를 만들어내는(이전에는 천공된 카드를 만들어냄) 키보드와, 하이픈을 붙이거나 각 줄의 끝을 맞추거나 페이지를 짜기 위한 컴퓨터, 그리고 출력을 위한 식자장치로 구성된다.

키보드는 작업자가 편집할 수 있도록 글자들의 간격과 놓은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표·공식·방정식을 쓰는 데 적합한 계산용 키보드이거나 연속적으로 글자들로만 차 있는 문장들에 적합한 값싸고 빠른 비(非)계산용 키보드이다. 컴퓨터는 글자 간격을 알맞게 띄우고 하이픈을 알맞게 맞출 수 있도록 세심하게 프로그램되어야 한다.

구식의 식자기에는 음화나 이미지 매스터(image master)의 형태로 전송되는 광학적인 활자체를 갖는 광학장치가 있는데, 이것은 그리드, 디스크, 드럼, 영사용 필름들 중 하나이다. 문자들에 쪼여진 빛은 렌즈를 통해 문자들을 빛에 민감한 종이나 필름에 조사된다. 광시스템은 컴퓨터가 만들어낸 전기 펄스들에 대해 각 문자들의 여러 부분들을 만들어내는 레이저 광선에 의한 보다 새로운 장비들로 대체되고 있다.

몇몇 시스템들은 키보드와 CRT 화면으로 구성되는 비디오 출력 단말기(video display terminal/VDT)를 갖고 있어서 작업자가 그들이 지금 친 글자가 옳은지 확인하고 고칠 수 있게 한다. 만일 시스템에 라인 프린터가 있으면 조판한 내용을 종이 위에 출력할 수 있다. 광학문자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OCR) 시스템은 입력된 내용을 읽고 글자들을 기계가 읽을 수 있는 테이프에 기록한다. 이 테이프는 인식단위로 들어가는 전기신호로 바뀌고 키보드에서의 조작 없이도 출력된다.

옮길 수 있는 조판이 개발된 이후 조판의 가장 중요한 혁신은 아마 사진조판과 다른 형태의 컴퓨터화된 조판이 금속주물을 할 필요가 없게 한 것과 금속조판으로 만들어진 페이지와 거의 똑같은 페이지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 혁신의 가장 중요한 장점은 빠르다는 것이다. 행주기 기계(linecasting machine)는 1초당 5글자를 만들고 초기 사진조판 시스템은 30~100자를 만들 수 있지만 완전 컴퓨터화된 조판기는 초당 1만 자까지 만들 수 있으며 실제 속도는 필름 전송 기법의 빠르기에 따라 좌우된다.→사진식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