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럼비아 강

컬럼비아 강

다른 표기 언어 Columbia River

요약 북아메리카 대륙에서 태평양으로 흘러나가는 강들 중 최대 수량의 강.

컬럼비아 강(Columbia River)
컬럼비아 강(Columbia River)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주의 캐나디안로키 산맥에서 발원하여 미국 워싱턴 주의 중동부를 거쳐 오리건 주의 애스토리아에서 태평양으로 흘러든다.

그곳까지 이르는 480㎞가량의 구간에서 워싱턴 주와 오리건 주의 경계를 이룬다. 강의 총면적은 66만 8,000㎢이며, 총길이는 2,000㎞인데, 그중 800㎞는 캐나다 지역을, 1,200㎞는 미국 지역을 흐른다. 주요지류들로는 쿠트네이·스네이크·판더레이·스포캔·오커노건·얘키모·카울리츠·월래멋 강들을 꼽을 수 있다. 북아메리카에서 컬럼비아 강보다 유출량이 더 많은 강은 미시시피·매켄지·세인트로렌스 강뿐이다.

이 강은 세계 굴지의 수력발전원 가운데 하나이다(포장수력).

1792년 보스턴 상인 로버트 그레이가 강을 발견하고 자신의 배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 1805~06년 루이스와 클라크 원정대가 강 하구에서 겨울을 지냈으며, 1811년 영국 지리학자 데이비드 톰프슨이 노스웨스트사의 요청에 의해 이 강의 대부분을 탐험했는데 당시 그가 항구에 닿았을 때는 애스토리아 요새가 건설되고 있었다.

강 상류유역은 노스웨스트사가 1807~11년에 탐험했다.

컬럼비아 강은 너무 깊게 파여 있어 초기 관개에는 부적절했으나, 내륙으로 통하는 단 하나의 수로였으므로 철도가 개설되기 전까지는 주요교통로 구실을 했다(미국 북서부). 모피 상인이나 초기 이민자들이 썼던 카누나 바지선(바닥이 편편한 거룻배)은 1850년대에 이르러 증기선에 밀려났다.

급류(스네이크 강 어귀에 이르기까지 21곳이나 있음)가 많아 항해가 쉽지 않았다. 항해가 거의 불가능한 지점은 노새가 끄는 운반차가 달렸던 길이 2.4㎞의 나무철로를 이용해 왕래했는데, 1863년 이 철로는 9.7㎞의 증기기차 철로로 바뀌었다. 컬럼비아 강 유역에서의 왕성한 농산물 및 광산업 거래는, 강의 증기선들과 기차 연결지점들을 독점했던 포틀랜드에서 거의 이루어졌다. 그러나 1887년 노던퍼시픽 철도가 캐스케이드 산맥 바로 위, 퓨젓사운드에 있는 터코머까지 연결되면서 컬럼비아 수로의 독점은 끝나게 되었다.

이 강에 연어가 많다는 사실이 초기 탐험가들에 의해 밝혀졌다. 1866년 컬럼비아 강변에 최초의 통조림 제조공장이 들어섰으며, 1881년에 이르러서는 약 30여 개의 통조림 공장이 세워져 그물·덫·외륜선 등에 잡힌 연어들을 세계시장, 특히 영국에 공급했다. 그러나 현대식 댐 건설과 오염 때문에 연어의 수가 현저히 감소하여 어업을 위협하고 있다.

컬럼비아 강의 다목적 개발을 두고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특히 민간·공공 기구 사이의 책임 분담, 개발이 어류에 미치는 영향, 연방에서 동력을 얻기 위해 투자한 재원에 대해 부과되어야 하는 이자율의 적정선,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주에 있는 강 상류의 저수지에 대해 전력 수입과 전력을 얻기 위한 비용을 캐나다와 어떻게 공동으로 부담·분배하느냐 하는 문제 등이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컬럼비아 강 주류의 다목적 개발은 1930년대에 미국 정부가 그랜드쿨리 댐과 보너빌 댐을 건설하면서 시작되었다.

그후 50년이 지나자 미국 땅을 흐르는 컬럼비아 강의 393m 낙차 중 24m를 제외한 모든 부분이 연방에서 건설한 댐과 연방에서 건설하지 않은 5개의 댐에 의해 계단형으로 바뀌었다. 최대 규모이며, 가장 복합적인 그랜드쿨리 댐은 전력 수요가 최대이면서 자연방출유량이 적은 겨울에 미리 저수해두었던 물을 이용해 방출량을 늘린다. 또한 그랜드쿨리 댐 바로 뒤에 있는 저수지인 프랭클린 D. 루스벨트 호로부터 물을 끌어와 컬럼비아 강 유역 관개사업에 이용하는데, 이 사업은 북서부에서 단일 관개사업으로는 최대 규모이며 컬럼비아 강 자체를 대대적으로 관개에 이용하는 최초의 사업이었다.

이 사업으로 전에는 쑥과 다른 사막 식물뿐이었던 이 지역에 1952년 처음으로 용수가 공급되었다. 이 강변의 모든 발전소는 연방의 고압 송전선으로 연결되며, 바로 이 송전선들이 참여하는 초강력출력망의 근간이 된다. 1964년 의회의 승인을 받아 컬럼비아 수계를 캘리포니아와 남서부에 연결하는 퍼시픽노스웨스트-사우스웨스트 인터타이(전류를 두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연결) 사업이 시행되었다. 미국 내무부와 전력회사들의 합의하에 여름에는 컬럼비아 강에서 얻은 초과전력을 남서부에, 겨울에는 증기에 의해 발전시킨 전력을 북서부에 팔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