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르보나리당

카르보나리당

다른 표기 언어 Carbonari

요약 자유주의적·애국적 이념을 신봉했고, 1815년 나폴레옹 패전 이후 승전한 연합국들이 이탈리아에 강요한 보수주의 정치체제에 대한 반대운동을 주도했다. 이 운동의 영향으로 리소르지멘토 운동의 길이 열렸고, 결국 이탈리아의 통일이 이루어졌다. 최초의 지부는 1800년대초 남부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이들은 공화주의적 성격을 띠었으며 나폴레옹이 임명한 나폴리 통치자 조아생 뮈라를 반대했다. 다른 비밀결사와 마찬가지로 입회절차, 복잡한 상징, 위계질서에 따른 조직체계를 갖추고 있었으며, 대원들은 주로 귀족계급·공직자·소지주층이었다. 1831년 주세페 마치니가 청년 이탈리아라는 새로운 운동을 조직해 민족주의적·공화주의적인 강령을 공공연하게 제기하고 나서자 카르보나리당의 비중은 줄어들기 시작했다.

자유주의적·애국적 이념을 신봉했고, 1815년 나폴레옹의 패전 이후 승전한 연합국들이 이탈리아에 강요한 보수주의 정치체제에 대한 반대운동을 주도했다. 이 운동의 영향으로 리소르지멘토 운동의 길이 열렸고, 이로 인해 이탈리아의 통일(1861)이 이루어졌다.

카르보나리당의 기원과 정치적 강령에 대해서는 단지 추측할 뿐이다. 프랑스에서 상호부조 단체로 출발해 나폴레옹군을 따라 이탈리아로 전파된 것이거나 아니면 18세기에 성행했던 교권반대와 박애주의를 주창한 비밀결사 프리메이슨의 한 분파일지도 모른다.

최초의 지부는 1800년대초 남부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이들은 공화주의적·애국적 성격을 띠었으며 나폴레옹이 임명한 나폴리 통치자 조아생 뮈라에게 반대했다. 운동은 북쪽으로 퍼져나가 1814년경에는 마르케스와 로마냐로 파급되었다. 이들은 대체로 입헌주의적인 대의정부를 지지했으며, 외세에 대항해 이탈리아의 국익을 보호하고자 했다. 그러나 통일된 정강정책을 갖추지 못해 일부는 공화제를, 다른 일부는 제한군주제를 원했으며, 나머지는 연방제나 단일한 이탈리아 국가를 원했다. 당시의 다른 비밀결사와 마찬가지로 카르보나리당은 입회절차, 복잡한 상징, 위계질서에 따른 조직체계를 갖추고 있었으며, 대원들은 주로 귀족계급·공직자·소지주층에서 모집했다. 1815년 이후 나폴레옹 전쟁 후의 타협안에 불만을 품은 사람들 사이에서 특히 프랑스 통치 아래 혜택을 누렸던 중산층을 중심으로 카르보나리당의 지부는 급속히 퍼져나갔다. 지부는 이탈리아 전역에 걸쳐 있었지만, 주요중심지는 이탈리아 중부(교황령)와 남부(나폴리)였다. 1815년 남부에서 부르봉가의 양 시칠리아 왕국이 복고되자 카르보나리당은 결연하게 반부르봉의 입장을 취했다. 이들은 군대의 원조로 1820년 나폴리 혁명을 성공시키고 국왕 페르디난도 1세에게 압력을 넣어 헌법 제정을 약속받았다. 이것은 그들의 업적 중 가장 극적인 성과였으나, 오스트리아의 개입으로 곧 수포로 돌아가고 말았다. 1831년 볼로냐·파르마·모데나에서 일으킨 반란은 거의 성과가 없었다. 같은 해 주세페 마치니가 청년 이탈리아라는 새로운 운동을 조직해 민족주의적·공화주의적인 강령을 공공연하게 제기하고 나서자 카르보나리당의 비중은 줄어들기 시작했다.

프랑스에서는 '샤르보네리'라는 비슷한 운동이 뿌리를 내렸다. 이들은 1821년 봉기에 가담했으며 라파예트는 이 단체의 지도자로 자처했다. 1830년 이후 몇 년 동안 필리포 부오나로티(1761~1837)의 지도 아래 샤르보네리 데모크라티크 위니베르셀이라는 국제조직이 운영되었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