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하이

칭하이

다른 표기 언어 Koko Nor , 靑海

요약 중국 칭하이 성[靑海省]에 있는 호수.
(병). Qing Hai. (웨). Ch'ing Hai. (관). Blue Lake. 몽골어로는 Koko Nor.

중앙 아시아에서 가장 큰 산중 호수로, 배수되지 않는다. 난산[南山] 산계의 고도 3,205m 지점, 대략 북위 37°, 동경 100° 되는 곳에 있는 저지대에 자리잡고 있다. 몽골족이 북쪽 기슭에 거주하고 있으며, 티베트족이 남쪽 기슭을 차지하고 있다.

칭하이(Koko Nor)
칭하이(Koko Nor)

장시거우[江西溝]와 다라마허[大喇嘛河]등의 비교적 큰 마을들이 호수의 남쪽 기슭 가까이에 있으며, 이곳으로 시닝[西寧]과 라싸[拉薩]를 연결하는 도로가 지난다. 호수의 북쪽 기슭에는 강차[剛察]라는 작은 마을이 있다.

호수의 길이는 105㎞, 너비는 64㎞에 달한다. 표면적은 수위가 높은 해에는 6,000㎢, 수위가 낮은 해에는 약 4,200㎢이다. 가장 깊은 곳의 수심은 37m이다.

호수의 물빛은 감청색이며, 호수의 이름도 '하늘처럼 푸르다'는 뜻의 몽골어에서 비롯된 것이다.

칭하이 호 저지대는 제3기 최신세(最新世)와 갱신생(更新生) 사이인 대략 250만 년 전에 형성되었다. 저지대 안에 형성된 이 호수는 원래 황허 강[黃河 : 마취강이라고도 함]으로 흘러갔으나, 유역에서 산악구조가 융기함에 따라 더이상 흘러갈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적어도 1만 년 전인 갱신생 말기에 오래된 빙하에서 녹은 물이 축적되어 크고 깊은 호수가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당시의 호수는 지금보다 1/3배가 컸으며, 수심은 거의 48m에 달했다. 그러나 그뒤에 일어난 빙하의 고갈로 인해 호수의 수역(水域)이 현재의 크기로 줄어들었다.

칭하이 호 유역의 기후는 대체로 건조기후로 구분된다. 겨울에는 3월 초순까지 눈보라가 거세게 불지만 강설량은 많지 않다. 강우량은 7~8월에 70% 이상이 집중되며, 때때로 뇌우와 폭우를 동반하기도 한다.

호수의 남서쪽 기슭과 칭하이난산 산맥 기슭의 연강우량은 250~300㎜이며, 북쪽 기슭은 350~400㎜이다. 저지대의 북쪽 산지에서는 연강수량이 500㎜에 이른다. 여름에는 호수의 수온이 18~20℃까지 올라가며, 11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물이 얼어붙는데, 얼음의 두께가 60㎝에 달한다.

호수 부근은 여러 가지 곡식이 풍부하게 나는 대초원지대이며, 난산 산맥에서 가장 훌륭한 방목지에 속한다. 주요식물로는 쓴쑥과 데리스가 있다. 쐐기풀·접시꽃·과꽃도 흔하며, 다른 식물도 많이 발견된다.

산지에는 젓나무숲이 우거져 있다. 호수에는 물고기도 살고 있는데, 잉어과에 속하는 어류가 주종을 이룬다. 부근 지역에는 주민이 많이 살기 때문에 대형 포유류가 거의 없다. 그러나 쿨란키앙(야생 당나귀)과 프르제발스키호스는 이곳에서 볼 수 있다. 산지에는 오란쿠쿠야만(푸른 양)과 늑대가 서식한다. 호숫가와 인근 산기슭에는 종달새·뇌조·깝작도요새·가마우지·새매·독수리·기러기와 몇 종류의 오리 및 갈매기를 포함한 큰 새들이 많이 서식하고 있다. 이 지역 주민들의 으뜸 가는 생업은 양·말·낙타를 사육하는 가축방목이다.

지도
칭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