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

진단

다른 표기 언어 diagnosis , 診斷

요약 환자의 병력·증상·증후를 고려하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환자를 검사하여 질병이나 신체이상을 밝혀내는 과정.

진단(diagnosis)
진단(diagnosis)

의사나 다른 검사자에 의해 밝혀진 내용을 가리키기도 한다. 진단은 ① 환자의 과거병력과 환경요건, ② 환자가 호소하는 여러 증상, ③ X선·스캐닝·심전계 등의 실험장비를 이용하거나 또는 이를 이용하지 않은 다양한 진찰법으로 밝혀낸 신체적 증후 등을 파악한 후에 내려진다.

환자의 병력은 질병을 성공적으로 치료하는 데 있어 의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병력에는 언제부터, 어떻게 아프기 시작했으며 동일한 혹은 유사한 증상을 경험한 일이 있는지가 기록되어 있으며, 환자가 과거에 앓았던 모든 질환이 열거되어 있다.

또한 환자의 개인적인 습관, 가정생활, 가족, 직업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의사는 치료를 위해 취한 모든 단계를 여기에 기록한다. 증상이란 환자 자신이 느끼는 신체의 이상을 말한다. 증상의 흔한 예로는 통증·발열·출혈·쇠약감·피로감·체중감소·식욕감퇴와 숨이 차는 것 등이 있다. 증상은 의사가 환자를 진찰할 때 어떤 증후를 살펴야 하는지를 결정해주는 열쇠가 된다. 증후란 의사가 발견한 신체의 이상을 말한다. 의사는 단순히 시진을 통해 발진과 같은 증후를 발견할 수도 있다. 촉진 혹은 '촉감'을 통해 종양을 발견할 수 있고, 청진으로 심잡음(心雜音)을 발견할 수 있다. 혈액·타액·소변·대변·질분비물·정액 등 신체의 분비물이나 체액을 화학적으로 분석해 감염의 증거를 얻을 수도 있다.

이러한 자료들을 수집한 후 의사는 사실들을 재검토하여 병명을 추측한다. 예를 들어 소변에 당이 나오면 당뇨병이라는 진단을 시사한다. 그뒤 의사는 증거와 연관된 것들을 고려한다.

당뇨병 환자는 소변에서 당이 검출되는 증상 외에 혈당치가 비정상적이고 목이 몹시 마르고 소변을 많이 보며 체중이 감소한다는 병력을 의사에게 이미 제공했어야 한다. 다음 단계로 의사는 환자의 상태에 대한 결론이 검사를 통해 얻어진 자료와 일치하는지를 보기 위해 앞서 한 추측과 자료를 비교한다. 만약 예로 들었던 모든 증상이 확인된다면 자료는 추측한 병명과 일치하며 따라서 진단은 당뇨병이 된다.

이것이 의사가 진단을 내리는 과정이다. 환자에 대한 자료, 즉 병력·신체검진·특수검진, 그리고 실험실 검사를 모을 때도 정확한 관찰이 필요하지만, 마지막 분석단계에서의 논리적인 사고가 더욱 중요하다. 오진(誤診)은 그릇된 자료로 인해 생기기보다는 해석을 잘못하여 생기는 경우가 많다.

자료를 모으고 적절한 자료는 이용하고 부적절한 자료는 버리면서 최종 판단에 이르는 과정들은 진단을 내리는 데 매우 중요한 단계들이며 고도의 지적인 능력을 필요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