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코슬로바키아

체코슬로바키아

다른 표기 언어 Czechoslovakia

요약 수도는 프라하였다. 191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면서 탄생했으며, 1968년 기존의 모라비아 지방과 보헤미아 지방이 합쳐져 체크 공화국을 이루고, 슬로바키아는 슬로바키아 공화국이 되면서 연방공화국이 되었다.
1939년 나치 독일에 점령되었다가 1944년 소련군에 의해 해방을 맞이했다.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은 소련의 지원과 지도하에서 쿠데타로 마침내 공산정부가 수립되었다.
공산당의 억압적인 정치와 악화되는 경제로 어려움을 겪다가 1968년 두프체크의 개혁으로 '프라하의 봄'을 맞이했으나 소련의 침공으로 민주화에 실패했다.
1990년 자유총선에서 시민 포럼이 압승을 거두었으나 1992년 6월 연방 및 지방 의원선거가 실시 결과 연방해체의 가능성이 높아졌고 1993년 체크와 슬로바키아로 분할되었다.

체코슬로바키아
체코슬로바키아

남쪽으로 오스트리아와 헝가리, 동쪽으로 우크라이나, 북동쪽으로 폴란드, 북서쪽과 서쪽으로 독일과 국경을 이루었으며 수도는 프라하였다. 191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면서 보헤미아·모라비아·슬로바키아·루테니아 지방이 합쳐져 단일국가인 체코슬로바키아가 탄생했으며, 1968년 기존의 모라비아 지방과 보헤미아 지방이 합쳐져 체크 공화국을 이루고, 슬로바키아는 슬로바키아 공화국이 되면서 연방공화국이 되었다. 1939년 체코슬로바키아는 히틀러가 이끄는 나치 독일에 점령되었다가 제2차 세계대전중 1944년 소련군에 의해 해방을 맞이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체코슬로바키아의 공산당은 급속히 지지기반을 늘릴 수 있었으나 절대다수당이 되지는 못했다. 이에 소련의 지원과 지도하에서 쿠데타를 일으켜 마침내 공산정부가 수립되었다. 그후 체코슬로바키아는 공산당의 억압적인 정치와 악화되는 경제로 어려움을 겪다가 1968년 당 제1서기가 된 알렉산데르 두프체크가 개혁을 단행하여 이른바 '프라하의 봄'을 맞이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와 자유화운동을 불만스럽게 여긴 소련이 바르샤바 조약군을 이끌고 침공해와 체코슬로바키아를 소련의 지도권에 순응하는 체제로 묶어두었다. 이후 당국은 경제를 활성화시키고 정치반대세력을 억누르는 데 전력을 다했다. 1989년 동유럽을 강타한 민주화의 물결 속에서 체코슬로바키아 역시 급격한 변화를 맞이했다. 1989년말에 공산정권은 민주화 개혁을 요구하는 대규모 반정부 시위에 굴복하여 12월에는 비(非)공산당원들과의 연립정부를 구성하기에 이르렀으며, 12월 29일 반정부 인사였던 바츨라프 하벨이 대통령에 취임했다. 이듬해 1990년 6월에 실시된 자유총선에서 민주화운동을 주도해온 시민 포럼이 압승을 거두었다. 한편 개혁의 과정에서 상대적인 소외감을 느꼈던 슬로바키아에서 민족주의가 확산되는 가운데 1992년 6월 연방 및 지방 의원선거가 실시된 결과 체크 공화국에서는 시민민주당(시민 포럼의 후신 가운데 하나)이, 슬로바키아 공화국에서는 좌익 민족주의 성향의 민주 슬로바키아 운동이 승리를 거두어 연방해체의 가능성이 높아졌다. 5월 20일 양측 당수는 74년 동안 이어져온 연방을 분리, 해체하기로 합의하여 1993년 1월 1일 체크와 슬로바키아는 각각 독립국으로서 새로 출발했다.→ 슬로바키아, 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