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리장성

천리장성

다른 표기 언어 千里長城 동의어 고려장성, 고려천리장성

요약 626년 당나라 태종이 즉위한 뒤부터 당나라와 고구려의 관계는 점차 악화되기 시작했다. 고구려는 당나라의 침략이 있을 것을 예상하고, 이해부터 장성을 쌓기 시작했다. 이는 동북쪽으로는 부여성에서 서남쪽으로는 발해만의 비사성에 이르기까지 1,000리에 걸친 장성으로 16년 만인 647년에 완성되었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연개소문의 주청으로 천리장성이 축조되었다고 했으나, <삼국사기>에는 영류왕의 명으로 연개소문이 642년 1월 공사를 감독했다고 한다. <봉천통지>, <회덕현지>에 기재된 천리장성 유적에 관한 기록을 토대로 조사한 결과 보존상태가 가장 좋은 삼황묘와 동황화전자 일대의 성벽은 그 너비가 6m, 높이가 2~3m 되며 높낮이가 일정하지 않은 토축성으로 밝혀졌다. 천리장성으로 연결되어 있는 랴오허 강 동쪽의 기존 성곽들은 적의 침입을 막는 주요 방어거점으로서의 구실을 했다.

천리장성(千里長城)
천리장성(千里長城)

626년 당나라 태종이 즉위한 뒤부터 당나라와 고구려의 관계는 점차 악화되기 시작했다. 특히 631년(영류왕 14) 당나라 사신 장손사(長孫師)가 와서 고구려가 지난 날 수나라와의 전쟁에서 승리한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세운 경관을 헐어버린 사건이 발생하자 고구려의 당에 대한 경계심은 극에 달했다. 그리하여 고구려는 당나라의 침략이 있을 것을 예상하고, 이해부터 장성을 쌓기 시작했다.

이는 동북쪽으로는 부여성(扶餘城:지금의 눙안[農安])에서 서남쪽으로는 발해만의 비사성(卑沙城:지금의 다롄[大連])에 이르기까지 1,000리에 걸친 장성으로 16년 만인 647년에 완성되었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연개소문의 주청으로 천리장성이 축조되었다고 했으나, 〈삼국사기〉에는 영류왕의 명으로 연개소문이 642년 1월 공사를 감독했다고 한다. 어쨌든 천리장성의 축조는 연개소문과 깊은 관련이 있다. 특히 공사를 감독하던 연개소문은 642년 10월 군사를 이끌고 평양성으로 들어가 영류왕 이하 자신의 반대파를 대량 학살하고 스스로 대막리지가 되어 정권을 잡았다.

〈봉천통지 奉天通志〉·〈회덕현지 懷德縣志〉에 기재된 천리장성 유적에 관한 기록을 토대로 조사한 결과 보존상태가 가장 좋은 삼황묘(三皇廟)와 동황화전자(東黃花甸子) 일대의 성벽은 그 너비가 6m, 높이가 2~3m 되며 높낮이가 일정하지 않은 토축성으로 밝혀졌다. 한편 천리장성에는 성문·각루·돈대(墩臺) 등과 같은 시설이 없는 것을 볼 때 일종의 보조시설에 불과한 것으로서 당나라 군대의 동진을 저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던 것임을 알 수 있다. 곧 천리장성은 고구려 변경선 밖의 방어선에 축조된 것이 아니라 각각의 변경성곽들을 서로 연결시켜놓은 형태로서 천리장성으로 연결되어 있는 랴오허 강[遼河] 동쪽의 기존 성곽들은 적의 침입을 막는 주요 방어거점으로서의 구실을 했다.